공연·영화·음반기획자 | 경영·사무·금융·보험직 > 광고·조사·상품기획·행사기획 전문가 > 공연·영화·음반기획자

하는 일

교육/자격/훈련

    공연기획자가 되기 위해서는 특별히 학력이나 전공에는 제한이 없으나 대학의 예술경영, 공연기획과, 연극영화 등의 관련학과에서 공연기획에 대한 이론과 기획실습을 익힐 수 있다. 또한 공연기획사, 극장 및 극단의 직원으로 시작하여 실무를 익히기도 하며 방송아카데미와 사설교육기관의 공연기획 프로그램에서 교육을 받을 수 있다. 공연기획을 하기 위해서는 무대, 조명, 음향, 의상 등 공연 전반에 대한 지식을 고루 갖추어야 하며 공연을 무대에 올려 많은 관객을 모으려면 홍보나 마케팅 관련 역량도 필요하다. 공연기획사에 취업하는 것 이외에 프리랜서로 활동하거나 협동조합을 창업하는 등 활동분야도 점차 다양해지는 추세이다.
  • 관련학과
    • 경영학과 , 만화·애니메이션학과 , 무용학과 , 방송·연예과 , 사진·영상예술학과 , 실용음악과 , 연극·영화학과 , 음악학과 , 정보미디어학과 등이 있습니다.
  • 관련자격
    • 무대예술교육사(국가전문)
  • 훈련정보
    • 행사 기획자

임금/직업만족도/전망

  • 임금
    • 하위(25%) 3,868만원, 중위값 4,579만원, 상위(25%) 5,180만원
      위 임금정보는 직업당 평균 30명의 재직자를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로, 재직자의 자기보고에 근거한 통계치입니다. 재직자의 경력, 근무업체의 규모 등에 따라 실제 임금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직업간 비교를 위한 참고자료로 활용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직업만족도
    • 65.9%
  • 일자리전망
    • 감소 (26%), 현상유지 (36%), 증가 (36%)
  • 일자리현황
    • 공연·영화·음반기획자

능력/지식/환경

  • 업무수행능력
    • 인적자원 관리 / 가르치기 / 읽고 이해하기 / 말하기 / 창의력
  • 지식
    • 예술 / 의사소통과 미디어 / 디자인 / 국어 / 영어
  • 업무환경
    • 공문, 문서 주고받기 / 이메일 이용하기 / 전화 대화하기 / 재택근무 / 다른 사람과의 접촉

성격/흥미/가치관

  • 성격
    • 혁신 / 적응성/융통성 / 분석적 사고 / 사회성 / 리더십
  • 흥미
    • 예술형(Artistic) / 진취형(Enterprising)
  • 직업가치관
    • 다양성 / 신체활동 / 지적 추구 / 심신의 안녕 / 타인에 대한 영향
  • 관련직업
    • 광고·홍보·마케팅전문가
    • 조사전문가
    • 상품기획자
    • 행사기획자

업무활동

  • 업무활동 중요도
    • 자료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 업무활동 수준
    • 자료가 존재하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