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명과학시험원 | 연구직 및 공학 기술직 > 생명과학 연구원 및 시험원 > 생명과학시험원

하는 일

교육/자격/훈련

    생명과학시험원이 되려면 고등학교 졸업 이상의 학력을 갖춰야 한다. 생물, 미생물, 식품, 농업, 임업, 자원관리나 공업계 및 의료보건 계열의 전문대학을 졸업하면 더욱 유리하며, 일정 기간의 숙련기간과 사내연구과정을 요구하기도 한다. 생명과학시험원이 되기 위한 공인된 국가 자격증은 없으나 화학비료, 살균제, 제초제 및 살충제를 사용하는 데는 면허증이 필요하다. 생명과학시험원은 농학, 의학, 생물학 및 기타 생명과학 분야에 흥미가 있으며, 자연현상을 이해하고 설명할 수 있는 학습능력과 함께 실험절차를 이해하고 적용할 수 있는 능력, 실험기구 및 장비를 다루는 정밀성, 육안으로 물체의 특징을 알아내는 시력 및 색 판별능력 등이 요구된다. 또한. 다른 생명과학자 및 시험원들과 효과적으로 의사교환을 할 수 있는 능력과 반복된 실험 속에서도 침착하게 결과를 끌어낼 수 있는 끈기, 컴퓨터 운용능력 또한 중요하다.
  • 관련학과
    • 간호학과 , 농업학과 , 산림·원예학과 , 생명과학과 , 수산학과 , 수의학과 , 의학과 , 임상병리학과 , 자연계교육과 , 화학과 등이 있습니다.
  • 관련자격
    • 자료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 훈련정보
    • 생명과학 시험원

임금/직업만족도/전망

  • 임금
    • 하위(25%) 3,574만원, 중위값 4,500만원, 상위(25%) 5,284만원
      위 임금정보는 직업당 평균 30명의 재직자를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로, 재직자의 자기보고에 근거한 통계치입니다. 재직자의 경력, 근무업체의 규모 등에 따라 실제 임금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직업간 비교를 위한 참고자료로 활용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직업만족도
    • 68.1%
  • 일자리전망
    • 감소 (3%), 현상유지 (67%), 증가 (30%)
  • 일자리현황
    • 생명과학시험원

능력/지식/환경

  • 업무수행능력
    • 물적자원 관리 / 기술 분석 / 모니터링(Monitoring) / 판단과 의사결정 / 행동조정
  • 지식
    • 화학 / 생물 / 물리 / 산수와 수학 / 영어
  • 업무환경
    • 질병 혹은 감염 위험 노출 / 위험한 상태 노출 / 오염물질 노출 / 보호장비 착용 / 이메일 이용하기

성격/흥미/가치관

  • 성격
    • 분석적 사고 / 혁신 / 독립성 / 꼼꼼함 / 정직성
  • 흥미
    • 탐구형(Investigative) / 관습형(Conventional)
  • 직업가치관
    • 고용안정 / 경제적 보상 / 자율 / 지적 추구 / 심신의 안녕
  • 관련직업
    • 의학연구원
    • 약학연구원
    • 농학연구원
    • 수산학연구원
    • 임학·산림학연구원
    • 축산학·수의학연구원
    • 농림어업시험원

업무활동

  • 업무활동 중요도
    • 자료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 업무활동 수준
    • 자료가 존재하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