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트워크관리자 | 연구직 및 공학 기술직 > 데이터·네트워크 및 시스템 운영 전문가 > 네트워크관리자

하는 일

교육/자격/훈련

    네트워크관리자가 되기 위해서는 대학교 이상의 컴퓨터공학이나 전산, 통신, 전기·전자 등을 전공하고 취업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취업하면 네트워크시스템에 대한 분석, 설계 및 구축에 관련된 일을 하다가 전반적인 네트워크시스템에 대한 관리 업무를 담당하게 된다. 네트워크관리자에게는 네트워크시스템을 설계하기 위한 관련기술과 장비, 소프트웨어 등에 대한 전반적인 지식이 필요하다. 또한 고객에게 필요한 네트워크시스템이 무엇인지, 어떠한 관리를 요하는 것인지를 파악, 주지할 수 있도록 분석적 사고와 효과적인 대화기술이 필요하다.
  • 관련학과
    • 응용소프트웨어공학과 , 전자공학과 , 정보·통신공학과 , 컴퓨터공학과 등이 있습니다.
  • 관련자격
    • 전자계산기조직응용기사, 기술사(국가기술)
    • 정보관리기술사(국가기술)
    • 정보처리기능사, 산업기사, 기사(국가기술)
  • 훈련정보
    • 정보시스템 운영자

임금/직업만족도/전망

  • 임금
    • 하위(25%) 3,315만원, 중위값 3,937만원, 상위(25%) 5,000만원
      위 임금정보는 직업당 평균 30명의 재직자를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로, 재직자의 자기보고에 근거한 통계치입니다. 재직자의 경력, 근무업체의 규모 등에 따라 실제 임금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직업간 비교를 위한 참고자료로 활용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직업만족도
    • 73.1%
  • 일자리전망
    • 감소 (6%), 현상유지 (42%), 증가 (52%)
  • 일자리현황
    • 네트워크관리자

능력/지식/환경

  • 업무수행능력
    • 전산 / 조작 및 통제 / 모니터링(Monitoring) / 고장의 발견.수리 / 기술 설계
  • 지식
    • 통신 / 컴퓨터와 전자공학 / 공학과 기술 / 안전과 보안 / 의사소통과 미디어
  • 업무환경
    • 이메일 이용하기 / 다른 사람과의 접촉 / 앉아서 근무 / 다른 사람과의 상호작용 / 전화 대화하기

성격/흥미/가치관

  • 성격
    • 신뢰성 / 분석적 사고 / 혁신 / 적응성/융통성 / 성취/노력
  • 흥미
    • 관습형(Conventional) / 진취형(Enterprising)
  • 직업가치관
    • 성취 / 개인지향 / 신체활동 / 자율 / 경제적 보상
  • 관련직업
    • 데이터베이스개발자
    • 빅데이터분석가
    • 네트워크시스템개발자
    • 정보시스템운영자
    • IT기술지원전문가
    • 웹운영자

업무활동

  • 업무활동 중요도
    • 자료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 업무활동 수준
    • 자료가 존재하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