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관급 장교 | 교육·법률·사회복지·경찰·소방직 및 군인 > 군인 > 위관급 장교

하는 일

교육/자격/훈련

    육군장교가 되려면 대학과정에 준하는 교육을 이수하여야 하는데 가장 일반적인 방법은 육군사관학교를 입학하면 된다. 이외에 학군사관후보생(ROTC) 또는 학사사관후보생(학사장교)으로 선발되어 일정기간의 교육·훈련 후 장교로 임관하는 방법이 있다. 그리고 육군3사관학교에 입학하면 대학 3, 4학년 과정의 전문교육을 이수한 후에 장교로 임관한다. 여군의 경우 장교가 되기 위해서는 육군사관학교에 입학하거나 간호사관학교에서 일정기간 교육·훈련을 이수한 후 임관하면 된다. 이 외에도 4년제 일반대학을 졸업하고 소정의 훈련을 이수한 후 여군사관으로 임관되기도 한다. 해군장교가 되려면 대학과정에 준하는 교육을 이수하여야 하는 데 해군사관학교를 입학/졸업 후 임관하는 방법이 있다. 이외에 학군사관후보생(ROTC) 또는 학사사관후보생(학사장교)으로 선발되어 일정기간의 교육·훈련 후 장교로 임관하는 방법이 있다. 그리고 육군3사관학교(확인 필요함)에 입학하면 대학 3, 4학년 과정의 전문교육을 이수한 후에 장교로 임관할 수 있다. 또한 해군으로 복무 경험이 있는 부사관 출신이 지원하여 해군장교가 되는 방법이 있다. 여군의 경우 장교가 되기 위해서는 해공군사관학교에 입학하거나 간호사관학교에서 일정기간 교육·훈련을 이수한 후 임관하면 된다. 이 외에도 4년제 일반대학을 졸업하고 소정의 훈련을 이수한 후 여군사관으로 임관되기도 한다. 일반적으로 임관일 기준으로 만 20세 이상에서 만 27세 이하일 경우(군미필자)에 지원할 수 있다. 공군장교가 되려면 4년제 대학졸업 또는 동등학위 취득자로 공군사관학교에 입학하거나, 공군 학군단이 설치된 대학(항공대, 한서대, 교통대) 1~2학년 재학 시 학군사관후보생(ROTC)으로 지원할 수 있다(남·여 가능, 단 조종은 남학생만 가능). 또는 국·내외 4년제 대학졸업자로 학사사관후보생(학사장교)으로 선발되어 일정기간의 교육·훈련 후 장교로 임관하는 방법이 있다. 이외에도 공군 협약 지정대학학과(세종대·영남대)에 입학하면 조종 장학생으로 선발, 공군 협약 지정대학학과(아주대)에 입학하면 정보통신 장학생으로 선발, 국내 4년제 주간대학 1~4학년 재학생 중 전형 합격자는 조종 장학생으로 선발, 국내 4년제 주간대학 1~3학년 재학생 중 전형합격자는 예비 장교후보생 선발하는 방법이 있다. 단, 연령은 임관일 기준 만 18세 이상 27세 이하 대한민국 국적 소지자여야 하고 예비역의 경우 복무기간에 따라 최대 3년까지 연장이 가능하다.
  • 관련학과
    • 실무종사자들의 설문조사결과자료와 정확히 일치되는 학과정보가 없습니다.
  • 관련자격
    • 자료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 훈련정보
    • 위관급 장교

임금/직업만족도/전망

  • 임금
    • 하위(25%) 3,154만원, 중위값 3,600만원, 상위(25%) 4,276만원
      위 임금정보는 직업당 평균 30명의 재직자를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로, 재직자의 자기보고에 근거한 통계치입니다. 재직자의 경력, 근무업체의 규모 등에 따라 실제 임금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직업간 비교를 위한 참고자료로 활용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직업만족도
    • 71.4%
  • 일자리전망
    • 감소 (33%), 현상유지 (63%), 증가 (3%)
  • 일자리현황
    • 위관급 장교

능력/지식/환경

  • 업무수행능력
    • 신체적 강인성 / 인적자원 관리 / 공간지각력 / 유연성 및 균형 / 반응시간과 속도
  • 지식
    • 교육 및 훈련 / 지리 / 안전과 보안 / 인사 / 상담
  • 업무환경
    • 건강 및 안전에 대한 책임 / 갈등 상황 / 연설, 발표, 회의하기 / 결과에 대한 책임 / 다른 사람들을 조율하거나 이끌기

성격/흥미/가치관

  • 성격
    • 리더십 / 자기통제 / 책임과 진취성 / 성취/노력 / 꼼꼼함
  • 흥미
    • 관습형(Conventional) / 진취형(Enterprising)
  • 직업가치관
    • 애국 / 이타 / 인정 / 타인에 대한 영향 / 고용안정
  • 관련직업
    • 부사관

업무활동

  • 업무활동 중요도
    • 자료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 업무활동 수준
    • 자료가 존재하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