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상그래픽디자이너 | 예술·디자인·방송·스포츠직 > 디자이너 > 영상그래픽디자이너

하는 일

교육/자격/훈련

    영상그래픽디자이너가 되기 위해서는 전문대학 및 대학교에서 시각디자인을 전공하는 것이 유리하며, 컴퓨터 프로그램을 통한 그래픽 처리 기술을 습득하는 것도 필요하다. 최근에는 공공 혹은 민간 훈련기관에서 그래픽 디자인과 관련한 다양한 과정들이 개설되어 있어, 비전공자도 훈련 이수 후 영상그래픽디자이너로 취업하는 경우도 빈번한다. 영상그래픽디자이너로 취업하기 위해서는 실무능력과 관련 기술의 보유가 취업에 중요한 역할을 하기 때문에, 영상그래픽디자이너로서 자신의 능력을 보여줄 수 있는 포트폴리오를 축적해 나아가는 것이 보다 효과적이다. 특히 영상그래픽을 처리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은 지속적으로 발전하기 때문에 새로운 기술을 습득하기 위한 자기계발 노력도 필요하다. 관련자격증으로 하는 아래와 같은 자격증이 있다. - 국가자격증: 웹디자인기능사, 게임그래픽전문가, 컴퓨터그래픽스운용기능사(한국산업인력공단 시행), 멀티미디어 콘텐츠제작 전문가 - 민간자격증: 공인민간자격 - GTQ(그래픽기술자격)
  • 관련학과
    • 만화·애니메이션학과 , 사진·영상예술학과 , 산업디자인학과 , 시각디자인학과 등이 있습니다.
  • 관련자격
    • 시각디자인 산업기사, 기사(국가기술)
    • 컴퓨터그래픽스운용기능사(국가기술)
  • 훈련정보
    • 미디어 콘텐츠 디자이너

임금/직업만족도/전망

  • 임금
    • 하위(25%) 2,797만원, 중위값 3,300만원, 상위(25%) 4,144만원
      위 임금정보는 직업당 평균 30명의 재직자를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로, 재직자의 자기보고에 근거한 통계치입니다. 재직자의 경력, 근무업체의 규모 등에 따라 실제 임금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직업간 비교를 위한 참고자료로 활용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직업만족도
    • 70.6%
  • 일자리전망
    • 감소 (9%), 현상유지 (42%), 증가 (48%)
  • 일자리현황
    • 영상그래픽디자이너

능력/지식/환경

  • 업무수행능력
    • 시력 / 가르치기 / 기술 설계 / 재정 관리 / 조작 및 통제
  • 지식
    • 디자인 / 의사소통과 미디어 / 예술 / 국어 / 역사
  • 업무환경
    • 재택근무 / 앉아서 근무 / 마감시간 / 이메일 이용하기 / 갈등 상황

성격/흥미/가치관

  • 성격
    • 적응성/융통성 / 혁신 / 꼼꼼함 / 협조 / 신뢰성
  • 흥미
    • 예술형(Artistic) / 탐구형(Investigative)
  • 직업가치관
    • 다양성 / 지적 추구 / 신체활동 / 인정 / 개인지향
  • 관련직업
    • 제품디자이너
    • 의상디자이너
    • 패션소품디자이너
    • 실내장식디자이너
    • 시각디자이너
    • 웹디자이너
    • 게임그래픽디자이너
    • UX·UI디자이너

업무활동

  • 업무활동 중요도
    • 자료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 업무활동 수준
    • 자료가 존재하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