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감독 | 예술·디자인·방송·스포츠직 > 연극·영화·방송 전문가 > 기술감독

하는 일

교육/자격/훈련

    연극·영화 및 방송기술감독이 되기 위해서는 보통 대졸 이상의 학력과 관련 실무경력이 필요하고, 창의력과 예술적 재능이 요구된다. 가장 일반적인 길은 조감독으로 5년~10년간 도제식으로 연출 수업을 받은 후 감독이 되며, 그 밖에 대학에서 영화관련 학과를 졸업하거나 단편영화제 공모에 당선되어 입문할 수도 있다. 독립영화(단편영화)를 통해 제작실습을 한 감독이 극영화 감독으로 입문하기도 하며, 해외에서 영화를 전공하는 사람도 상당수 있다.
  • 관련학과
    • 방송·연예과 , 사진·영상예술학과 , 신문방송학과 , 연극·영화학과 , 정보미디어학과 등이 있습니다.
  • 관련자격
    • 무대예술전문인[음향, 조명](국가전문)
  • 훈련정보
    • 감독 및 기술감독

임금/직업만족도/전망

  • 임금
    • 하위(25%) 4,144만원, 중위값 4,973만원, 상위(25%) 5,300만원
      위 임금정보는 직업당 평균 30명의 재직자를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로, 재직자의 자기보고에 근거한 통계치입니다. 재직자의 경력, 근무업체의 규모 등에 따라 실제 임금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직업간 비교를 위한 참고자료로 활용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직업만족도
    • 67.4%
  • 일자리전망
    • 감소 (25%), 현상유지 (64%), 증가 (9%)
  • 일자리현황
    • 기술감독

능력/지식/환경

  • 업무수행능력
    • 공간지각력 / 선택적 집중력 / 모니터링(Monitoring) / 조직체계의 분석 및 평가 / 창의력
  • 지식
    • 예술 / 디자인 / 통신 / 의사소통과 미디어 / 철학과 신학
  • 업무환경
    • 극단적으로 밝거나 부적절한 조명 / 장비 속도에 보조 맞추기 / 다른 사람과의 상호작용 / 주말 및 공휴일 근무 / 고지대 작업

성격/흥미/가치관

  • 성격
    • 리더십 / 혁신 / 분석적 사고 / 독립성 / 협조
  • 흥미
    • 예술형(Artistic) / 현실형(Realistic)
  • 직업가치관
    • 다양성 / 타인에 대한 영향 / 인정 / 지적 추구 / 심신의 안녕
  • 관련직업
    • 방송연출가
    • 영화감독
    • 연극연출가
    • 광고영상감독
    • 영화배우 및 탤런트
    • 모델
    • 연극·뮤지컬배우
    • 개그맨 및 코미디언
    • 성우
    • 아나운서
    • 리포터
    • 촬영기사
    • 음향·녹음기사
    • 영상·녹화·편집기사
    • 조명기사

업무활동

  • 업무활동 중요도
    • 자료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 업무활동 수준
    • 자료가 존재하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