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게이머 | 예술·디자인·방송·스포츠직 > 스포츠·레크리에이션 종사자 > 프로게이머

하는 일

교육/자격/훈련

    프로게이머가 되기 위해 요구되는 학력이나 나이 제한은 없으나 대부분이 중고등학생 때부터 20대까지 프로게이머로 활동하는 경우가 많다. 협회에서 주관하는 준프로선발전인 커리지매치 경기에 참가하여 토너먼트 형식으로 승부를 벌이다 4강에 입상하면 준프로게이머의 자격을 얻게 된다. 준프게이머가 되면 프로게임단 드래프트에 참여할 자격이 생겨 프로게임단에 입단할 수 있다. 만약 드래프트에 참여했으나 지명을 받지 못하면 공인대회에서 한 번 더 입상해야만 프로게이머의 자격이 주어진다. 이 외에도 프로게이머가 속해 있는 길드(일종의 게임유저들의 활동의 장으로 게임동호회 등을 지칭함) 마스터 또는 게임단 코치 등의 추천을 받았거나 실력을 인정받아 소문이 나면 프로게임단 감독에 의해 스카우트되어 프로게이머가 될 수 있다. 일부 전문대학 및 대학교에서 컴퓨터게임 관련 학과가 설치되어 있으며, 인터넷 게임 전략을 가르치는 사설학원도 있어 교육을 통해 프로게이머가 되기 위한 준비를 하기도 한다.
  • 관련학과
    • 실무종사자들의 설문조사결과자료와 정확히 일치되는 학과정보가 없습니다.
  • 관련자격
    • 자료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 훈련정보
    • 직업 운동선수

임금/직업만족도/전망

  • 임금
    • 하위(25%) 3,367만원, 중위값 5,180만원, 상위(25%) 7,000만원
      위 임금정보는 직업당 평균 30명의 재직자를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로, 재직자의 자기보고에 근거한 통계치입니다. 재직자의 경력, 근무업체의 규모 등에 따라 실제 임금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직업간 비교를 위한 참고자료로 활용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직업만족도
    • 61.2%
  • 일자리전망
    • 감소 (0%), 현상유지 (20%), 증가 (80%)
  • 일자리현황
    • 프로게이머

능력/지식/환경

  • 업무수행능력
    • 반응시간과 속도 / 선택적 집중력 / 청력 / 시력 / 정교한 동작
  • 지식
    • 컴퓨터와 전자공학 / 예술 / 심리 / 통신 / 사회와 인류
  • 업무환경
    • 치열한 경쟁 / 갈등 상황 / 사물, 도구, 조종 장치를 다루기 위해 손사용 / 다른 사람과의 상호작용 / 재택근무

성격/흥미/가치관

  • 성격
    • 인내 / 성취/노력 / 혁신 / 독립성 / 분석적 사고
  • 흥미
    • 진취형(Enterprising) / 탐구형(Investigative)
  • 직업가치관
    • 개인지향 / 경제적 보상 / 신체활동 / 인정 / 심신의 안녕
  • 관련직업
    • 스포츠감독 및 코치
    • 직업운동선수
    • 경기심판
    • 스포츠강사
    • 스포츠트레이너
    • 레크리에이션전문가

업무활동

  • 업무활동 중요도
    • 자료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 업무활동 수준
    • 자료가 존재하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