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1뎁스 2뎁스 3뎁스 현재 페이지

직업정보 찾기

직업·진로 직업정보 직업정보 찾기
예술·디자인·방송·스포츠직 > 창작·공연 전문가(작가, 연극 제외) > 사진작가 및 사진사
사진작가 및 사진사

임금

사진작가 및 사진사 하위(25%) 3,108만원, 중위값 3,522만원, 상위(25%) 4,000만원

※ 위 임금정보는 직업당 평균 30명의 재직자를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로, 재직자의 자기보고에 근거한 통계치입니다. 재직자의 경력, 근무업체의 규모 등에 따라 실제 임금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직업간 비교를 위한 참고자료로 활용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조사년도: 2021년>

직업만족도

사진작가 및 사진사에 대한 직업 만족도는 71.1% (백점 기준)입니다.

※ 직업만족도는 해당 직업의 일자리 증가 가능성, 발전가능성 및 고용안정에 대해 재직자가 느끼는 생각을 종합하여 100점 만점으로 환산한 값입니다.
<조사년도: 2021년>

전문가가 분석한 일자리전망

향후 5년간 사진작가의 고용은 다소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 국내 사진시장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는 분야는 웨딩, 아기사진, 프로필사진 등과 같은 인물사진 분야이다. 지속적인 출산율 저하, 결혼 감소 등으로 베이비 스튜디오나 웨딩 스튜디오의 일감이 줄어들고 있으며, 소비자들이 경비를 절약하기 위해 셀프 웨딩 촬영을 하거나 렌탈 스튜디오를 이용하는 사람들이 늘면서 경영상의 어려움으로 폐업을 하는 스튜디오가 늘고 있다. 또한 개인화로 인해 가족이 함께 모여 가족사진을 찍는 경우도 줄고, 사진 인화 역시 인터넷으로 신청해 배송 받는 서비스가 보편화되면서 기존 사진관의 운영을 어렵게 하고 있다. 일반인들도 디지털 카메라를 비롯해 전문가용 카메라를 손쉽게 구입해 사용하는 편이고, 사양이 우수한 스마트폰으로 누구나 사진을 잘 찍을 수 있게 됨에 따라 전문 사진가의 입지는 계속해서 줄어들고 있다. 광고사진 분야도 장기적인 경기 침체로 기업이 광고비와 홍보비를 삭감한 탓에 사진촬영 물량이 줄어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에 따라 사진가의 고용 감소 현상은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

※ 위의 일자리전망은 직업전문가들이 「중장기인력수급전망」,「정성적 직업전망조사」,「KNOW 재직자조사」등 각종 연구와 조사를 기초로 작성하였습니다.

재직자가 생각하는 일자리전망

< 조사년도: 2021년 >
재직자가 생각하는 일자리전망 분포
감소 다소 감소 유지 다소 증가 증가
33% 47% 17% 3% 0%

※ 위의 그래프는 직업당 평균 30명의 재직자가 해당 직업의 향후 5년간 일자리 변화에 대해 응답한 결과입니다. 직업전문가와 재직자들의 입장과 견해에 따라 일자리 전망에 차이가 있을 수 있으므로, 참고자료로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일자리현황

‘사진작가 및 사진사’ 더 알아보기

  • 한국직업전망

    사진작가 및 사진사

    사진작가 및 사진사는 사진기를 이용하여 사진을 촬영하고 편집하며 사진을 하나의 작품으로 완성한다. 활동하는 분야에 따라 촬영 대상이나 방법이 다르므로 사진가는 촬영하기 전에 대상물의 특징과 거리, 구도를 결정한 다음 그에 따라 카메라의 각도, 조명, 초점, 노출 정도를 결정해 사진을 촬영한다. 사진 찍는 대상이나 목적에 따라 인상사진가, 생태사진가, 광고사진가, 순수사진가, 보도사진가 (사진기자), 라이브러리 사진작가 등으로 나뉜다. 사진은 그 쓰임새에 따라 실용사진과 창작사진으...

  • 테마별 찾기

    사진가

    사진기가 처음 개발되었을 때, 어떤 이들은 미술의 종말이 찾아온다며 호들갑을 떨었지만, 실제 그런 일은 일어나지 않았습니다. 미술가들은 현실을 있는 그대로 그리는 방법을 버리고 미술가의 내면을 드러내는 기법을 통해 자신들만의 고유한 영역을 구축해나갔습니다. 가장 비싼 미술가인 고흐나 피카소는 모두 사진이 발명된 후에 활동한 화가들입니다. 사진 역시 영화 등 영상촬영기술에 비교하면 담아낼 수 있는 것이 굉장히 제한적이어서 위기감을 느낀 적도 있었습니다. 하지만 오히려 본격적인 영상물의 시대가 오고 나서 사람들은 사진의 위대함을...

    사진작가

    사진기가 처음 개발되었을 때, 미술의 종말이 찾아오나 했지만 그렇지 않았죠. 미술가들은 현실을 있는 그대로 그리는 방법을 버리고 미술가의 내면을 드러내는 기법을 통해 자신들만의 고유한 영역을 구축해나갔습니다. 가장 비싼 미술가인 고흐나 피카소는 모두 사진이 발명된 후에 활동한 화가들이에요. 사진 역시 영화 등 영상촬영기술에 비하면 담을 수 있는 것이 굉장히 제한적이어서 위기감을 느낀 적도 있었답니다. 하지만, 오히려 본격적인 영상물의 시대가 오고 나서 사람들은 사진의 위대함을 느끼게 됩니다. 여러분만 해도 휴대전화기로 동영상 촬영...

    스톡사진가

    관광지에 가면 기념사진 한 장을 찍기 위해 전문 사진사 앞에서 김치! 하며 외치던 시절이 있었어요. 이제는 그런 모습이 거의 자취를 감추고 옛이야기가 되었지만, 그만큼 카메라 보급률이 낮았고 사진이란 일반인에게 쉽게 다가가기 어려운 전문 영역이었죠. 그런데 요즘은 디지털 카메라, 특히 DSLR이 널리 보급되면서 누구라도 조금만 배우고 연습하면 전문가처럼 좋은 사진을 손쉽게 찍을 수 있게 되었어요. 삼청동이나 광화문 광장 등 사진을 찍을만한 장소에 가보면 렌즈가 앞으로 툭 튀어나온 DSLR 카메라를 어깨에 메고 삼각대를 들고 돌아다니...

  • 대상별 찾기

    해당 직업 정보가 없습니다.

  • 이색직업별 찾기

    반려동물사진작가

    개인이나 기업체의 의뢰에 따라 반려동물의 사진을 전문적으로 촬영한다.

  • 신직업별 찾기

    해당 직업 정보가 없습니다.

  • 동영상

    해당 직업 정보 동영상이 없습니다.

담당부서 : 미래직업연구팀
담당자 : 이주현, 이혜나(1577-71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