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학연구원 | 연구직 및 공학 기술직 > 생명과학 연구원 및 시험원 > 약학연구원

하는 일

교육/자격/훈련

    약학연구원이 되기 위해서는 생물학과, 생물공학과, 생명과학과, 생명공학과, 유전공학과, 농업생명과학과, 의·약학계열 등 관련 학과의 석사학위 이상의 학력이 필요하다. 대학원 과정에서 자신이 관심 있는 세부 전공을 집중적으로 공부하고 연구원이 되면 보통 석사과정의 세부전공을 중심으로 연구를 수행하게 된다. 학생 시절 다양한 연구에 참여하여 관련 논문을 저널에 제출하는 등 연구 경력을 쌓는 것이 필요하며, 연구보조원으로 일해보거나 일부 정부출연연구소에서 시행하고 있는 현장연수프로그램에 참여하면 관련 기관의 입직 시 많은 도움이 된다.
  • 관련학과
    • 생명과학과 , 수의학과 , 약학과 등이 있습니다.
  • 관련자격
    • 자료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 훈련정보
    • 생명과학 연구원

임금/직업만족도/전망

  • 임금
    • 하위(25%) 4,477만원, 중위값 5,000만원, 상위(25%) 6,004만원
      위 임금정보는 직업당 평균 30명의 재직자를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로, 재직자의 자기보고에 근거한 통계치입니다. 재직자의 경력, 근무업체의 규모 등에 따라 실제 임금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직업간 비교를 위한 참고자료로 활용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직업만족도
    • 75.5%
  • 일자리전망
    • 감소 (7%), 현상유지 (37%), 증가 (56%)
  • 일자리현황
    • 약학연구원

능력/지식/환경

  • 업무수행능력
    • 범주화 / 판단과 의사결정 / 행동조정 / 듣고 이해하기 / 기술 분석
  • 지식
    • 화학 / 생물 / 의료 / 물리 / 영어
  • 업무환경
    • 질병 혹은 감염 위험 노출 / 위험한 상태 노출 / 반복적인 신체행동, 정신적 활동 / 공문, 문서 주고받기 / 보호장비 착용

성격/흥미/가치관

  • 성격
    • 분석적 사고 / 정직성 / 꼼꼼함 / 혁신 / 스트레스 감내성
  • 흥미
    • 탐구형(Investigative) / 관습형(Conventional)
  • 직업가치관
    • 자율 / 애국 / 지적 추구 / 경제적 보상 / 심신의 안녕
  • 관련직업
    • 의학연구원
    • 농학연구원
    • 수산학연구원
    • 임학·산림학연구원
    • 축산학·수의학연구원
    • 생명과학시험원
    • 농림어업시험원

업무활동

  • 업무활동 중요도
    • 자료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 업무활동 수준
    • 자료가 존재하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