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사 | 교육·법률·사회복지·경찰·소방직 및 군인 > 법률 전문가 > 검사

하는 일

교육/자격/훈련

    검사가 되기 위해서는 변호사 자격이 있는 사람이나 사법시험에 합격하여 사법연수원 과정을 마친 후 임명되어야 한다. 변호사 자격은 2017년까지는 사법시험에 합격한 후 사법연수원 과정을 수료하는 것이 가능하였으나 2018년부터는 사법시험이 폐지되어 법학전문대학원 3년 과정을 수료하고 변호사시험에 합격하여야 취득할 수 있다. 검사는 법무부의 검찰인사위원회 심의에 의해 법무부장관이 임명하며, 직급에 따라 검찰총장, 검사장, 차장검사, 부장검사, 검사 등으로 구분된다.
  • 관련학과
    • 법학과 등이 있습니다.
  • 관련자격
    • 변호사(국가전문)
  • 훈련정보
    • 판사 및 검사

임금/직업만족도/전망

  • 임금
    • 하위(25%) 7,000만원, 중위값 7,480만원, 상위(25%) 8,000만원
      위 임금정보는 직업당 평균 30명의 재직자를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로, 재직자의 자기보고에 근거한 통계치입니다. 재직자의 경력, 근무업체의 규모 등에 따라 실제 임금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직업간 비교를 위한 참고자료로 활용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직업만족도
    • 80.1%
  • 일자리전망
    • 감소 (3%), 현상유지 (63%), 증가 (33%)
  • 일자리현황
    • 검사

능력/지식/환경

  • 업무수행능력
    • 협상 / 범주화 / 추리력 / 듣고 이해하기 / 글쓰기
  • 지식
    • 법 / 국어 / 철학과 신학 / 심리 / 인사
  • 업무환경
    • 실수의 심각성 / 다른 사람들을 조율하거나 이끌기 / 다른 사람과의 접촉 / 공문, 문서 주고받기 / 결과에 대한 책임

성격/흥미/가치관

  • 성격
    • 자기통제 / 정직성 / 사회성 / 책임과 진취성 / 분석적 사고
  • 흥미
    • 현실형(Realistic) / 관습형(Conventional)
  • 직업가치관
    • 이타 / 타인에 대한 영향 / 인정 / 경제적 보상 / 애국
  • 관련직업
    • 판사
    • 변호사
    • 법무사 및 집행관
    • 변리사

업무활동

  • 업무활동 중요도
    • 자료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 업무활동 수준
    • 자료가 존재하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