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우 | 예술·디자인·방송·스포츠직 > 연극·영화·방송 전문가 > 성우

하는 일

교육/자격/훈련

    성우가 되기 위해서는 지상파와 케이블 방송국에서 매년 혹은 격년으로 실시하는 공채에 합격해하는데, 방송사에 따라 고졸 이상, 전문대졸 이상으로 학력 및 연령제한을 두기도 한다. 시험형식은 방송사마다 다소 차이가 있지만 1, 2차에 걸친 실기와 면접을 통해 채용되며 주어지는 대본의 연기, 해설 등을 실제로 해보는 것으로 치러진다. 대학에서 연기를 전공하거나 연기 동아리 활동을 하는 등 연기경험을 쌓거나 성우학원에서 발성, 호흡, 낭독 등의 전문적인 훈련을 받고 진출하고 있다. 또 성우지망생들이 모임을 만들어 발음교정, 대본연습 등의 공부를 하면서 공채시험을 준비하기도 한다. 성우는 자신의 목소리에 잘 어울리는 캐릭터를 개발하는 것이 필요하며 연기력을 바탕으로 영화나 연극에 출연하기도 한다.
  • 관련학과
    • 방송·연예과 , 연극·영화학과 등이 있습니다.
  • 관련자격
    • 자료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 훈련정보
    • 배우 및 모델

임금/직업만족도/전망

  • 임금
    • 하위(25%) 3,004만원, 중위값 3,678만원, 상위(25%) 4,537만원
      위 임금정보는 직업당 평균 30명의 재직자를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로, 재직자의 자기보고에 근거한 통계치입니다. 재직자의 경력, 근무업체의 규모 등에 따라 실제 임금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직업간 비교를 위한 참고자료로 활용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직업만족도
    • 73%
  • 일자리전망
    • 감소 (46%), 현상유지 (33%), 증가 (20%)
  • 일자리현황
    • 성우

능력/지식/환경

  • 업무수행능력
    • 청력 / 선택적 집중력 / 기억력 / 읽고 이해하기 / 듣고 이해하기
  • 지식
    • 국어 / 예술 / 의사소통과 미디어 / 심리 / 철학과 신학
  • 업무환경
    • 치열한 경쟁 / 규칙적인 근무 / 장비 속도에 보조 맞추기 / 마감시간 / 다른 사람과 신체적 접촉

성격/흥미/가치관

  • 성격
    • 사회성 / 적응성/융통성 / 자기통제 / 성취/노력 / 인내
  • 흥미
    • 예술형(Artistic) / 탐구형(Investigative)
  • 직업가치관
    • 다양성 / 신체활동 / 지적 추구 / 이타 / 타인에 대한 영향
  • 관련직업
    • 방송연출가
    • 영화감독
    • 연극연출가
    • 광고영상감독
    • 기술감독
    • 영화배우 및 탤런트
    • 모델
    • 연극·뮤지컬배우
    • 개그맨 및 코미디언
    • 아나운서
    • 리포터
    • 촬영기사
    • 음향·녹음기사
    • 영상·녹화·편집기사
    • 조명기사

업무활동

  • 업무활동 중요도
    • 자료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 업무활동 수준
    • 자료가 존재하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