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원·채석원 및 석재절단원 | 건설·채굴직 > 기타 건설 기능원(채굴포함) > 광원·채석원 및 석재절단원

하는 일

교육/자격/훈련

    광원·채석원 및 석재절단원이 되기 위해서 특별한 자격이나 학력이 필요하지는 않지만, 광산 작업이나 채석, 석재절단 등에 대한 기능이 요구된다. 일반적으로 관련 업체에 취업하여 숙련공의 보조원으로 일하면서 업무를 배운다. 이들은 일단 취업하면 위탁교육이나 현장교육을 통해서 작업공구 및 안전장비 사용법, 장비 및 자재 운반, 갱내 지주설치, 화약발파, 채탄작업, 갱내 배관설치 등의 기초 지식과 기능을 익힌 후 작업현장에 투입된다. 화약을 취급하거나 광산안전과 보안을 책임지는 경우에는 국가기술자격인 화약취급기능사, 화약류관리산업기사, 화약류관리기사, 화약류관리기술사, 광산보안기능사, 광산보안산업기사, 광산보안기사, 시추기능사 등의 자격증이 요구된다.
  • 관련학과
    • 실무종사자들의 설문조사결과자료와 정확히 일치되는 학과정보가 없습니다.
  • 관련자격
    • 광산보안기능사, 산업기사, 기사[전기, 기계, 채광](국가기술)
    • 광산보안기능사[전기, 기계, 채광] 산업기사, 기사(국가기술)
    • 화약취급기능사(국가기술)
    • 화약류관리산업기사, 기사, 기술사(국가기술)
  • 훈련정보
    • 광원, 채석원 및 석재 절단원

임금/직업만족도/전망

  • 임금
    • 하위(25%) 3,800만원, 중위값 4,144만원, 상위(25%) 4,731만원
      위 임금정보는 직업당 평균 30명의 재직자를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로, 재직자의 자기보고에 근거한 통계치입니다. 재직자의 경력, 근무업체의 규모 등에 따라 실제 임금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직업간 비교를 위한 참고자료로 활용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직업만족도
    • 54.3%
  • 일자리전망
    • 감소 (73%), 현상유지 (27%), 증가 (0%)
  • 일자리현황
    • 광원·채석원 및 석재절단원

능력/지식/환경

  • 업무수행능력
    • 신체적 강인성 / 청력 / 작동 점검 / 장비의 유지 / 시력
  • 지식
    • 안전과 보안 / 기계 / 지리 / 물리 / 화학
  • 업무환경
    • 온몸 진동 노출 / 극단적으로 밝거나 부적절한 조명 / 위험한 장비 노출 / 오염물질 노출 / 소음 노출

성격/흥미/가치관

  • 성격
    • 협조 / 정직성 / 타인에 대한 배려 / 혁신 / 책임과 진취성
  • 흥미
    • 관습형(Conventional) / 예술형(Artistic)
  • 직업가치관
    • 성취 / 개인지향 / 이타 / 경제적 보상 / 인정
  • 관련직업
    • 철로설치·보수원
    • 점화·발파·화약관리원
    • 잠수기능원

업무활동

  • 업무활동 중요도
    • 자료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 업무활동 수준
    • 자료가 존재하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