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는 일
교육/훈련/자격
관련자격 & 훈련정보
임금/직업만족도/전망
하위(25%)
3,885만원,
중위값
4,500만원,
상위(25%)
6,308만원
※ |
위 임금정보는 직업당 평균 30명의 재직자를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로, 재직자의 자기보고에 근거한 통계치입니다. 재직자의 경력, 근무업체의 규모 등에 따라 실제 임금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직업간 비교를 위한 참고자료로 활용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조사년도: 2021년> |
게임프로그래머에 대한 직업 만족도는 70.8%입니다.
※ | 직업만족도는 해당 직업의 일자리 증가 가능성, 발전가능성 및 고용안정에 대해 재직자가 느끼는 생각을 종합하여 100점 만점으로 환산한 값입니다. |
(연평균 증감률 %)
향후 10년간 게임프로그래머의 일자리는 현 상태를 유지할 것으로 전망된다.
게임프로그래머는 컴퓨터게임 개발을 위해 게임프로그램의 구조를 설계하고 프로그래밍을 한다. 한국콘텐츠진흥원의 「2022 대한민국 게임백서」에 따르면, 국내 게임산업의 전체 매출액은 2012년 9조 7,525억원에서 2021년 20조 9,913억원으로 지난 10년간 꾸준히 높은 성장세를 유지하여 왔다. 게임 제작 및 배급업체 수는 2021년 1,170개로 전년대비 124개(11.9%) 증가하였다. 코로나19 팬데믹의 영향으로 2020년 한국 경제성장률이 ?1%로 역성장한 시기에도 게임산업은 여전히 높은 성장률을 기록하였다. 2024년 전망에서도 매출액 25조 8,578억원으로 2023년 대비 7.2% 성장할 것으로 전망하였다. 이는 코로나19 팬데믹의 영향에 더해 모바일기기의 보급 확대와 편리한 접근성, 하드웨어 사양 향상 등의 요인이 더해진 것으로 분석된다. 향후 국내 게임 시장(게임 제작 및 배급 시장)은 모바일 게임을 중심으로 성장을 이어갈 것으로 예측된다. 게임 엔진의 발달로 모바일이나 PC 게임을 콘솔로 전환하는 사례가 증가하고 있어 국내의 콘솔 게임 개발도 점차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국내 게임 시장 전체 규모 및 성장률(2012~2021)
단위 : 명, %
연도 | 2012 | 2013 | 2014 | 2015 | 2016 | 2017 | 2018 | 2019 | 2020 | 2021 |
---|---|---|---|---|---|---|---|---|---|---|
매출액 | 97,525 | 97,197 | 99,706 | 107,223 | 108,945 | 131,423 | 142,902 | 155,750 | 188,855 | 209,913 |
성장률 | 10.8 | -0.3 | 2.6 | 7.5 | 1.6 | 20.6 | 8.7 | 9.0 | 21.3 | 11.2 |
자료 : 한국콘텐츠진흥원, 「2022 대한민국 게임백서」(2022)
국내 게임 시장의 규모와 전망(2020~2024년)
구분 | 2020년 | 2021년 | 2022년(E) | 2023년(E) | 2024년(E) | |||||
---|---|---|---|---|---|---|---|---|---|---|
매출액 | 성장률 | 매출액 | 성장률 | 매출액 | 성장률 | 매출액 | 성장률 | 매출액 | 성장률 | |
PC 게임 | 49,012 | 2.0 | 56,373 | 15.0 | 56,238 | -0.2 | 54,789 | -2.6 | 57,634 | 5.2 |
모바일 게임 | 108,311 | 39.9 | 121,483 | 12.2 | 138,559 | 14.1 | 150,891 | 8.9 | 164,489 | 9.0 |
콘솔 게임 | 10,925 | 57.3 | 10,520 | -3.7 | 10,078 | -4.2 | 10,376 | 3.0 | 11,160 | 7.6 |
아케이드 게임 | 2,272 | 1.6 | 2,733 | 20.3 | 3,031 | 10.9 | 3,283 | 8.3 | 3,604 | 9.8 |
PC방 | 17,970 | -11.9 | 18,408 | 2.4 | 19,192 | 4.3 | 21,015 | 9.5 | 20,883 | -0.6 |
아케이드 게임장 | 365 | -48.1 | 396 | 8.6 | 625 | 57.6 | 816 | 30.6 | 808 | -1.0 |
합계 | 188,855 | 21.3 | 209,913 | 11.2 | 227,723 | 8.5 | 241,170 | 5.9 | 258,578 | 7.2 |
자료 : 한국콘텐츠진흥원, 「2022 대한민국 게임백서」(2022)
중장기적으로는 게임 관련 기술혁신 및 생산 환경 변화가 게임산업 노동환경에 지속적인 영향을 줄 것으로 보인다. 상용 게임엔진과 인공지능(AI), 5G 등 기술 및 인프라의 변화는 자동화 또는 외주화를 촉진할 수 있고, 엔진프로그래머와 같은 일부 직군들에 대한 노동시장 수요를 감소시킬 수 있다. 유니티와 언리얼로 대표되는 세계 양대 게임엔진이 기술 지원을 강화하는 가운데, 게임엔진은 게임개발 외에 영화, 방송, 건축, 시뮬레이션 분야까지 영역을 확대하고 있다. 상용 게임엔진의 보급은 게임 생산기술 및 제작 플랫폼을 표준화하고, 1인 개발 및 스타트업의 업계 진입장벽을 낮추는 데는 긍정적이다. 한편 게임 분야는 다양한 기술과 결합하며 새로운 시장으로 진화할 수 있다. 메타버스를 비롯하여 VR(가상현실)?AR(증강현실) 기술, 블록체인 기술을 기반으로 한 게임으로 확대할 수 있다. 또 디지털 치료기기(디지털 기술을 이용해 의학적 장애나 질병을 예방?관리?치료하는 소프트웨어 의료기기) 분야 등 다양한 영역에서 활용이 확대될 것이다. 정부에서도 게임산업 진흥을 위해 규제를 일부 완화하고 있지만, 게임 유사 분야(메타버스 등)에서 규제정책이 상존하는 것은 게임산업 일자리 성장에 한계로 작용할 것이다.
종합하면, 게임산업의 지속적인 성장이 예상되지만, 개발보다는 기획이나 마케팅 영역으로 직무 중심이 이동하고, 상용 엔진기술의 발전으로 개발과 제작 업무가 자동화?표준화함으로써 게임프로그램의 수요를 억제할 가능성이 있어, 향후 10년간 게임프로그래머의 일자리는 현 상태를 유지할 것으로 전망된다. (2022년 작성, 2023년 수정)
전망 요인 | 증가 요인 | 감소 요인 |
---|---|---|
인구구조 및 노동인구의 변화 | - | - |
가치관과 라이프스타일의 변화 |
|
- |
과학기술의 발전 |
|
|
국내외 경기 변화 | - | - |
기업 등의 경영전략 변화 |
|
|
산업 특성 및 산업구조의 변화 | - | - |
환경과 에너지, 자원 | - | - |
법·제도 및 정부 정책 |
|
|
기타 요인 | - | - |
※ | 위의 일자리전망은 직업전문가들이 「중장기인력수급전망」,「정성적 직업전망조사」,「KNOW 재직자조사」등 각종 연구와 조사를 기초로 작성하였습니다. |
능력/지식/환경
중요도 | 업무수행능력 | 설명 |
---|---|---|
99 | 전산 | 다양한 목적을 위해 소프트웨어나 인터넷을 활용하거나 프로그램을 작성한다 |
98 | 창의력 | 주어진 주제나 상황에 대하여 독특하고 기발한 아이디어를 산출한다 |
97 | 선택적 집중력 | 주의를 산만하게 하는 자극에도 불구하고 원하는 일에 집중한다 |
95 | 논리적 분석 |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혹은 의사결정을 하기 위해) 체계적으로 이치에 맞는 생각을 해낸다 |
92 | 기술 분석 | 새로운 방법을 고안하고 기존의 방법을 개선하기 위해서 현재 사용되는 도구와 기술을 분석한다 |
92 | 기술 설계 | 사용자의 요구에 맞도록 장비와 기술을 개발하여 적용한다 |
88 | 조직체계의 분석 및 평가 | 환경이나 조건의 변화가 조직의 체계, 구성, 방식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분석하고, 시스템의 효율성을 평가한다 |
87 | 판단과 의사결정 | 이득과 손실을 평가해서 결정을 내린다 |
79 | 문제 해결 | 문제의 본질을 파악하여 해결 방법을 찾고 이를 실행한다 |
76 | 조작 및 통제 | 장비 혹은 시스템을 조작하고 통제한다 |
75 | 학습전략 | 새로운 것을 배우거나 가르칠 때 적절한 방법을 활용한다 |
68 | 설치 | 작업 지시서에 따라 장비, 도구, 배선, 프로그램을 설치한다 |
68 | 읽고 이해하기 | 업무와 관련된 문서를 읽고 이해한다 |
66 | 수리력 | 어떤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수학을 사용한다 |
64 | 장비 선정 | 업무를 수행하는데 필요한 도구나 장비를 결정한다 |
63 | 인적자원 관리 | 직원의 근로의욕을 높이고 능력을 개발하며 적재적소에 인재를 배치한다 |
62 | 범주화 | 기준이나 법칙을 정하고 그에 따라 사물이나 행위를 분류한다 |
60 | 추리력 | 문제해결 및 의사결정을 위해 새로운 정보가 가지는 의미를 파악한다 |
54 | 시간 관리 | 자신의 시간과 다른 사람의 시간을 관리한다 |
53 | 글쓰기 | 글을 통해서 다른 사람과 효과적으로 의사소통한다 |
53 | 장비의 유지 | 장비에 대한 일상적인 유지보수를 하고 장비를 유지하기 위해 언제 어떤 종류의 조치를 취해야 하는가를 안다 |
50 | 듣고 이해하기 | 다른 사람들이 말하는 것을 집중해서 듣고 상대방이 말하려는 요점을 이해하거나 적절한 질문을 한다 |
48 | 고장의 발견.수리 | 오작동의 원인이 무엇인가를 확인하고 이를 어떻게 처리할 것인지 결정한다 |
46 | 가르치기 | 다른 사람들에게 일하는 방법에 대해 가르친다 |
46 | 모니터링(Monitoring) | 타인 혹은 조직의 성과를 점검하고 평가한다 |
46 | 기억력 | 단어, 수, 그림 그리고 철자와 같은 정보를 기억한다 |
44 | 품질관리분석 | 품질 또는 성과를 평가하기 위하여 제품, 서비스, 공정을 검사하거나 조사한다 |
39 | 물적자원 관리 | 업무를 수행하는데 필요한 장비, 시설, 자재 등을 구매하고 관리한다 |
39 | 작동 점검 | 기계가 제대로 작동하는지 확인하기 위해 표시판이나 계기판 등을 살펴본다 |
38 | 설득 | 다른 사람들의 마음이나 행동을 변화시키기 위해 설득한다 |
35 | 공간지각력 | 자신의 위치를 파악하거나 다른 대상들이 자신을 중심으로 어디에 있는지 안다 |
34 | 협상 | 사람들과의 의견차이를 좁혀 합의점을 찾는다 |
33 | 정교한 동작 | 손이나 손가락을 이용하여 복잡한 부품을 조립하거나 정교한 작업을 한다 |
24 | 말하기 | 자기가 알고 있는 것을 다른 사람에게 조리있게 말한다 |
19 | 행동조정 | 다른 사람들의 행동에 맞추어 적절히 대응한다 |
19 | 청력 | 음의 고저와 크기의 차이를 구분한다 |
18 | 재정 관리 | 업무를 완료하기 위해 필요한 비용을 파악하고 구체적 소요 내역을 산출한다 |
18 | 움직임 통제 | 신체를 사용하여 기계나 기구를 정확한 위치로 빠르게 움직인다 |
18 | 유연성 및 균형 | 신체의 균형을 유지하거나 각 부위를 구부리고 편다 |
17 | 서비스 지향 | 다른 사람들을 돕기 위해 적극적으로 노력한다 |
16 | 반응시간과 속도 | 신호에 빠르게 반응하거나 신체를 신속히 움직인다 |
15 | 신체적 강인성 | 물건을 들어 올리고, 밀고, 당기고, 운반하기 위해 힘을 사용한다 |
14 | 사람 파악 | 타인의 반응을 파악하고 왜 그렇게 행동하는지 이해한다 |
11 | 시력 | 먼 곳이나 가까운 것을 보기 위해 눈을 사용한다 |
중요도 | 업무수행능력 | 설명 |
---|---|---|
99 | 전산 | 다양한 목적을 위해 소프트웨어나 인터넷을 활용하거나 프로그램을 작성한다 |
98 | 창의력 | 주어진 주제나 상황에 대하여 독특하고 기발한 아이디어를 산출한다 |
97 | 선택적 집중력 | 주의를 산만하게 하는 자극에도 불구하고 원하는 일에 집중한다 |
93 | 기술 분석 | 새로운 방법을 고안하고 기존의 방법을 개선하기 위해서 현재 사용되는 도구와 기술을 분석한다 |
92 | 기술 설계 | 사용자의 요구에 맞도록 장비와 기술을 개발하여 적용한다 |
92 | 조직체계의 분석 및 평가 | 환경이나 조건의 변화가 조직의 체계, 구성, 방식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분석하고, 시스템의 효율성을 평가한다 |
92 | 논리적 분석 |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혹은 의사결정을 하기 위해) 체계적으로 이치에 맞는 생각을 해낸다 |
90 | 문제 해결 | 문제의 본질을 파악하여 해결 방법을 찾고 이를 실행한다 |
88 | 판단과 의사결정 | 이득과 손실을 평가해서 결정을 내린다 |
85 | 학습전략 | 새로운 것을 배우거나 가르칠 때 적절한 방법을 활용한다 |
81 | 조작 및 통제 | 장비 혹은 시스템을 조작하고 통제한다 |
76 | 인적자원 관리 | 직원의 근로의욕을 높이고 능력을 개발하며 적재적소에 인재를 배치한다 |
75 | 설치 | 작업 지시서에 따라 장비, 도구, 배선, 프로그램을 설치한다 |
71 | 장비의 유지 | 장비에 대한 일상적인 유지보수를 하고 장비를 유지하기 위해 언제 어떤 종류의 조치를 취해야 하는가를 안다 |
71 | 기억력 | 단어, 수, 그림 그리고 철자와 같은 정보를 기억한다 |
71 | 글쓰기 | 글을 통해서 다른 사람과 효과적으로 의사소통한다 |
70 | 시간 관리 | 자신의 시간과 다른 사람의 시간을 관리한다 |
70 | 수리력 | 어떤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수학을 사용한다 |
69 | 듣고 이해하기 | 다른 사람들이 말하는 것을 집중해서 듣고 상대방이 말하려는 요점을 이해하거나 적절한 질문을 한다 |
67 | 읽고 이해하기 | 업무와 관련된 문서를 읽고 이해한다 |
66 | 가르치기 | 다른 사람들에게 일하는 방법에 대해 가르친다 |
65 | 장비 선정 | 업무를 수행하는데 필요한 도구나 장비를 결정한다 |
65 | 추리력 | 문제해결 및 의사결정을 위해 새로운 정보가 가지는 의미를 파악한다 |
62 | 범주화 | 기준이나 법칙을 정하고 그에 따라 사물이나 행위를 분류한다 |
60 | 협상 | 사람들과의 의견차이를 좁혀 합의점을 찾는다 |
59 | 작동 점검 | 기계가 제대로 작동하는지 확인하기 위해 표시판이나 계기판 등을 살펴본다 |
56 | 모니터링(Monitoring) | 타인 혹은 조직의 성과를 점검하고 평가한다 |
56 | 고장의 발견.수리 | 오작동의 원인이 무엇인가를 확인하고 이를 어떻게 처리할 것인지 결정한다 |
51 | 설득 | 다른 사람들의 마음이나 행동을 변화시키기 위해 설득한다 |
48 | 공간지각력 | 자신의 위치를 파악하거나 다른 대상들이 자신을 중심으로 어디에 있는지 안다 |
45 | 품질관리분석 | 품질 또는 성과를 평가하기 위하여 제품, 서비스, 공정을 검사하거나 조사한다 |
45 | 물적자원 관리 | 업무를 수행하는데 필요한 장비, 시설, 자재 등을 구매하고 관리한다 |
41 | 청력 | 음의 고저와 크기의 차이를 구분한다 |
40 | 말하기 | 자기가 알고 있는 것을 다른 사람에게 조리있게 말한다 |
39 | 행동조정 | 다른 사람들의 행동에 맞추어 적절히 대응한다 |
35 | 정교한 동작 | 손이나 손가락을 이용하여 복잡한 부품을 조립하거나 정교한 작업을 한다 |
30 | 시력 | 먼 곳이나 가까운 것을 보기 위해 눈을 사용한다 |
27 | 서비스 지향 | 다른 사람들을 돕기 위해 적극적으로 노력한다 |
26 | 재정 관리 | 업무를 완료하기 위해 필요한 비용을 파악하고 구체적 소요 내역을 산출한다 |
25 | 사람 파악 | 타인의 반응을 파악하고 왜 그렇게 행동하는지 이해한다 |
18 | 신체적 강인성 | 물건을 들어 올리고, 밀고, 당기고, 운반하기 위해 힘을 사용한다 |
17 | 반응시간과 속도 | 신호에 빠르게 반응하거나 신체를 신속히 움직인다 |
16 | 유연성 및 균형 | 신체의 균형을 유지하거나 각 부위를 구부리고 편다 |
14 | 움직임 통제 | 신체를 사용하여 기계나 기구를 정확한 위치로 빠르게 움직인다 |
중요도 | 업무수행능력 | 설명 |
---|
중요도 | 업무수행능력 | 설명 |
---|
중요도 | 업무수행능력 | 설명 |
---|---|---|
86 | 자동화 정도 | 업무의 자동화 정도 |
85 | 앉아서 근무 | 앉아서 근무하는 빈도 |
85 | 재택근무 | 재택근무 가능성 |
82 | 연설, 발표, 회의하기 | 사람들 앞에서 공식적으로 연설(발표,회의 등의 상황) |
79 | 이메일 이용하기 | 업무 수행하면서 이메일 사용하는 정도 |
75 | 갈등 상황 | 업무 수행 시 갈등 상황 노출 정도 |
73 | 다른 사람과의 상호작용 | 업무 수행위해 팀/집단으로 함께 일하는 것의 중요성 |
70 | 반복적인 신체행동, 정신적 활동 | 지속적이고 반복적인 신체적 행동이나 정신적 활동의 중요성 |
69 | 정확성, 정밀성 유지 | 업무 수행을 위해 정밀하거나 정확한 것의 중요성 |
68 | 다른 사람들을 조율하거나 이끌기 | 업무 특성상 다른 사람들을 조율하거나 이끄는 것의 중요성 |
67 | 사물, 도구, 조종 장치를 다루기 위해 손사용 | 손으로 사물, 도구 혹은 조종 장치를 다루면서 근무하는 빈도 |
62 | 공문, 문서 주고받기 | 업무 수행하면서 공문이나 문서를 주고받는 정도 |
62 | 장비 속도에 보조 맞추기 | 장비 혹은 기계의 속도에 보조를 맞추는 것의 중요성 |
60 | 의사결정 권한 | 해야 할 일, 일의 우선순위, 목표를 정할 수 있는 재량 정도 |
59 | 마감시간 | 마감시간을 엄격하게 지켜야하는 빈도 |
59 | 실내 근무 | 실내에서 근무하는 빈도 |
50 | 의사결정 가능성 | 관리자나 감독자(상사)의 개입 없이 의사결정 할 수 있는 재량 정도 |
48 | 치열한 경쟁 | 동료 혹은 다른 사람들과의 경쟁 정도 |
46 | 균형을 유지하기 | (몸의) 균형을 유지하면서 근무하는 빈도 |
44 | 다른 사람과의 접촉 | 업무 수행하면서 사람들과 접촉(전화, 대면, 메신저 등) 정도 |
43 | 주말 및 공휴일 근무 | 주말 및 공휴일 출근 빈도 |
42 | 규칙적인 근무 | 근무 일정의 규칙성 |
38 | 불쾌하거나 무례한 사람 상대 | 불쾌하거나, 화나거나, 혹은 무례한 사람을 대하는 빈도 |
37 | 다른 사람과 신체적 접촉 | 업무 수행 시 다른 사람들과 신체적으로 거리 정도 |
36 | 실수의 심각성 | 실수 결과의 심각성 |
36 | 극단적으로 밝거나 부적절한 조명 | 극단적으로 밝거나 혹은 부적절한 조명에 노출되는 빈도 |
34 | 움직이는 기계 | 움직이는 기계(자동차, 트랙터 등)에서 근무 정도 |
31 | 고지대 작업 | 높은 곳에서(높은 철골구조 위, 타워 크레인 위, 혹은 고층 빌딩 위 등) 작업하는 빈도 |
31 | 걷거나 뛰기 | 걷거나 뛰면서 근무하는 빈도 |
29 | 이미지/평판/재정에 미치는 영향력 | 본인의 의사결정이 다른 사람 또는 회사 이미지/평판/재정에 영향을 주는 빈도 |
28 | 결과에 대한 책임 | 함께 근무하는 사람의 근무 결과에 대한 책임 |
28 | 사람들과 직접 접촉 | 다른 사람과 전화, 대면, 전자메일 등으로 접촉하는 빈도 |
27 | 실외 근무 | 바깥공기에 노출되는 실외에서 근무하는 빈도 |
27 | 질병 혹은 감염 위험 노출 | 질병 혹은 병균에 노출되는 빈도 |
25 | 온몸 진동 노출 | 온몸 진동(예, 수동 드릴이나 혹은 착암기 작동)에 노출되는 빈도 |
23 | 위험한 장비 노출 | 위험한 장비(톱, 이동 기계, 차량)에 노출되는 빈도 |
21 | 위험한 상태 노출 | 위험한 상태(고압 전류, 가연성 물질, 폭발물, 화학물 등)에 노출되는 빈도 |
20 | 매우 춥거나 더운 기온 | 매우 덥거나(섭씨 32도 이상) 매우 추운(섭씨 0도 이하) 기온에 노출되는 빈도 |
19 | 이미지/평판/재정에 미치는 강도 | 본인의 의사결정이 다른 사람 또는 회사 이미지/평판/재정에 어느 정도의 결과 초래 |
19 | 전화 대화하기 | 업무 수행하면서 전화로 대화하는 정도 |
17 | 건강 및 안전에 대한 책임 | 함께 근무하는 사람의 건강 및 안전에 대한 책임 |
17 | 경미한 화상, 자상, 찔림 등 노출 | 경미한 화상, 자상, 혹은 찔리는 것에 노출되는 빈도 |
16 | 오염물질 노출 | 오염물질(가스, 먼지, 악취 등)에 노출되는 빈도 |
16 | 외부 고객 대하기 | 외부 고객 혹은 민원인을 대하는 것의 중요성 |
16 | 비좁은 업무 공간 | 불편한 자세를 취해야 하는 비좁은 공간에 노출되는 빈도 |
16 | 소음 노출 | 산만하거나 불안할 정도의 소음에 노출되는 빈도 |
15 | 보호장비 착용 | 업무 수행 시 보호장비(안전화, 보안경, 장갑, 귀마개, 안전모, 구명조끼, 전신보호복 등) 착용 정도 |
14 | 몸을 구부리거나 비틀기 | 몸을 구부리거나 비틀면서 근무하는 빈도 |
12 | 서서 근무 | 서서 근무하는 빈도 |
성격/흥미/가치관
중요도 | 업무수행능력 | 설명 |
---|
중요도 | 업무수행능력 | 설명 |
---|---|---|
86 | 예술형(Artistic) | 예술적 형태를 창조해내는 신체적, 언어적 활동이나 자유스러우며 체계화되지 않은 활동들을 선호하고 분명하고 체계적이고 질서정연한 활동들을 싫어하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행동경향성은 예술적인 능력을 획득하게 하는 반면에 사무적인 능력의 결함을 보여준다. |
75 | 관습형(Conventional) | 자료에 대한 명확하고, 질서정연하며 체계적인 조작을 필요로 하는 활동들을 선호하고, 모호하고, 자유스러우며, 탐색적이고, 체계적이지 않은 활동들을 싫어하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경향성은 사무적이고 계산적인 능력을 획득하게 하는 반면에 예술적인 능력에서는 결함을보여준다. |
69 | 현실형(Realistic) | 사물, 도구, 기계 및 동물들에 대한 명확하고 질서정연하며 체계적인 조작을 필요로 하는 활동들을 선호하고, 교육적이거나 치료적 활동을 싫어하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경향성은 조작, 기계, 농경, 전기 및 기술적인 능력들을 획득하게 하는 반면에 사회적 능력 및 교육적 능력에서는 결함을 보여주게 된다. |
67 | 탐구형(Investigative) | 물리적, 생물학적 혹은 문화적 현상들에 대해 호기심을 가지고 관찰하는 것을 즐기며, 상징적이고 체계적이고 창조적인 활동을 요하는 조사나 연구 활동을 선호하고 설득적이고 사회적이며 반복적인 활동을 혐오하게 한다. 이러한 행동경향성은 과학적이고 수학적인 능력을 갖게 하는 반면에 설득적 능력에서는 결함이 나타난다. |
62 | 진취형(Enterprising) | 조직적인 목표나 경제적인 이익을 얻기 위한 다른 사람과의 상호작용 활동을 선호하고, 관찰적이고, 상징적이며, 체계적인 활동을 싫어하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경향성은 리더십, 대인관계 능력 및 설득적인 능력을 획득하게 하는 반면에 과학적인 능력에서 결함을 보여준다. |
24 | 사회형(Social) | 다른 사람들을 훈련시키고, 발달시키고, 치료해주기 위한 활동들을 선호하고, 자료나 도구 혹은 기계를 포함하는 명확하고 체계적인 활동을 싫어하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경향성은 사회적 및 교육적 능력에서의 능력을 획득하게 하는 반면에 조작, 기계, 농경, 전기 및 기술적인 능력들에서는 결함을 보여준다 |
중요도 | 업무수행능력 | 설명 |
---|---|---|
97 | 개인지향 | 여러 사람과 어울려 일하기보다는 혼자 일할 수 있다. |
83 | 신체활동 | 업무시 신체활동을 많이 하지 않아도 된다. |
80 | 자율 | 자율적으로 업무를 해나갈 수 있다. |
77 | 다양성 | 업무가 정형화되지 않고 변화가 많다. |
76 | 타인에 대한 영향 | 타인에 대해 영향력을 발휘할 수 있다. |
73 | 성취 | 자신이 스스로 목표를 세우고 달성할 수 있다. |
54 | 지적 추구 | 새로운 지식을 얻을 수 있다. |
47 | 경제적 보상 | 금전적 보상이 충분하다. |
39 | 인정 | 타인에게 인정받을 수 있다. |
37 | 애국 | 국가를 위해 도움이 될 수 있다. |
10 | 이타 | 남을 위해 봉사할 수 있다. |
6 | 고용안정 | 고용이 안정되어 있어서 정년까지 일할 수 있다. |
5 | 심신의 안녕 | 심신의 여유를 가질 수 있다. |
업무활동
중요도 | 업무활동명 | 설명 |
---|---|---|
자료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
수준 | 업무활동명 | 설명 |
---|---|---|
자료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