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속·재료공학시험원 | 연구직 및 공학 기술직 > 금속·재료공학 기술자 및 시험원 > 금속·재료공학시험원

하는 일

교육/자격/훈련

    최소 공업계 고등학교를 졸업해야 하고, 전문대학 또는 대학에서 금속공학과, 세라믹공학과, 재료공학과, 신소재공학과 등을 공부하고 진출할 수도 있다. 교육과정에서 금속재료의 제조, 가공, 사용 개발에 필요한 공학적 지식과 이론을 습득해야 한다. 인터넷이나 신문 공고를 통해 수시 채용이 가능하며, 제철소, 철강 제조회사 등 제조회사에 근무하게 되며 전자, 조선, 자동차, 항공기, 반도체 등의 분야로 진출할 수 있다.
  • 관련학과
    • 신소재공학과 , 재료·금속공학과 등이 있습니다.
  • 관련자격
    • 건설재료시험기능사(국가기술)
    • 금속가공기술사(국가기술)
    • 금속재료산업기사, 기능장, 기술사(국가기술)
    • 금속재료산업기사, 기사, 기능장, 기술사(국가기술)
    • 금속재료시험기능사(국가기술)
    • 비철야금기술사(국가기술)
    • 비파괴검사기술사(국가기술)
    • 재료조직평가산업기사(국가기술)
    • 철야금기술사(국가기술)
  • 훈련정보
    • 금속·재료공학 시험원

임금/직업만족도/전망

  • 임금
    • 하위(25%) 3,868만원, 중위값 4,300만원, 상위(25%) 5,263만원
      위 임금정보는 직업당 평균 30명의 재직자를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로, 재직자의 자기보고에 근거한 통계치입니다. 재직자의 경력, 근무업체의 규모 등에 따라 실제 임금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직업간 비교를 위한 참고자료로 활용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직업만족도
    • 69.6%
  • 일자리전망
    • 감소 (13%), 현상유지 (37%), 증가 (50%)
  • 일자리현황
    • 금속·재료공학시험원

능력/지식/환경

  • 업무수행능력
    • 품질관리분석 / 장비 선정 / 조작 및 통제 / 논리적 분석 / 범주화
  • 지식
    • 화학 / 물리 / 산수와 수학 / 공학과 기술 / 영어
  • 업무환경
    • 반복적인 신체행동, 정신적 활동 / 정확성, 정밀성 유지 / 자동화 정도 / 보호장비 착용 / 이메일 이용하기

성격/흥미/가치관

  • 성격
    • 분석적 사고 / 독립성 / 적응성/융통성 / 사회성 / 신뢰성
  • 흥미
    • 탐구형(Investigative) / 진취형(Enterprising)
  • 직업가치관
    • 지적 추구 / 심신의 안녕 / 고용안정 / 경제적 보상 / 인정
  • 관련직업
    • 금속·재료공학기술자

업무활동

  • 업무활동 중요도
    • 자료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 업무활동 수준
    • 자료가 존재하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