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기환경기술자 및 연구원 | 연구직 및 공학 기술직 > 에너지·환경공학 기술자 및 시험원 > 대기환경기술자 및 연구원

하는 일

교육/자격/훈련

    대기환경기술자 및 연구원이 되기 위해서는 대학에서 환경공학, 화학공학, 화학, 기계공학 등을 전공하는 것이 유리하다. 업체의 규모에 따라 다르며 전문대졸 이상의 학력이 요구된다. 연구, 개발 분야의 인력을 채용할 경우 석사이상 대학원졸업자에 한해 채용하기도 한다. 이들은 주로 대기 관련 시설 설비, 시공 및 관리업체에서 근무하며, 그외 국공립 대기관련 관리기관 및 중앙정부 및 지자체 공무원으로도 활동한다. 대부분 대기환경기사 등 관련 자격을 취득하고 입사하며 채용시 대기 외의 환경기사 자격을 요구하기도 한다. 경력이 쌓이면 대기환경기술사를 취득하거나 관련업체를 창업하여 독립하기도 한다.
  • 관련학과
    • 천문·기상학과 , 화학공학과 , 환경공학과 등이 있습니다.
  • 관련자격
    • 기상예보기술사(국가기술)
    • 대기관리기술사(국가기술)
    • 대기환경산업기사, 기사(국가기술)
  • 훈련정보
    • 환경공학 기술자 및 연구원

임금/직업만족도/전망

  • 임금
    • 하위(25%) 3,315만원, 중위값 4,172만원, 상위(25%) 4,973만원
      위 임금정보는 직업당 평균 30명의 재직자를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로, 재직자의 자기보고에 근거한 통계치입니다. 재직자의 경력, 근무업체의 규모 등에 따라 실제 임금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직업간 비교를 위한 참고자료로 활용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직업만족도
    • 80.3%
  • 일자리전망
    • 감소 (6%), 현상유지 (19%), 증가 (73%)
  • 일자리현황
    • 대기환경기술자 및 연구원

능력/지식/환경

  • 업무수행능력
    • 기술 설계 / 재정 관리 / 글쓰기 / 학습전략 / 조작 및 통제
  • 지식
    • 화학 / 물리 / 산수와 수학 / 생물 / 지리
  • 업무환경
    • 오염물질 노출 / 움직이는 기계 / 정확성, 정밀성 유지 / 이미지/평판/재정에 미치는 강도 / 반복적인 신체행동, 정신적 활동

성격/흥미/가치관

  • 성격
    • 정직성 / 분석적 사고 / 꼼꼼함 / 혁신 / 신뢰성
  • 흥미
    • 관습형(Conventional) / 탐구형(Investigative)
  • 직업가치관
    • 애국 / 지적 추구 / 경제적 보상 / 인정 / 타인에 대한 영향
  • 관련직업
    • 태양광발전연구 및 개발자
    • 풍력발전연구 및 개발자
    • 원자력공학기술자
    • 에너지시험원
    • 수질환경기술자 및 연구원
    • 폐기물처리기술자
    • 환경영향평가원
    • 소음진동기술자 및 연구원
    • 토양환경기술자 및 연구원
    • 환경시험원
    • 보건위생·환경검사원

업무활동

  • 업무활동 중요도
    • 자료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 업무활동 수준
    • 자료가 존재하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