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위생·환경검사원 | 연구직 및 공학 기술직 > 에너지·환경공학 기술자 및 시험원 > 보건위생·환경검사원

하는 일

교육/자격/훈련

    보건위생 및 환경검사원으로 활동하기 위해서는 식품공학, 환경공학, 화학공학이나 보건 및 안전 분야를 전공하는 것이 유리하다. 관련 분야를 전공하면 환경에 대한 연구와 설계, 개발 및 제조공정, 설치, 조작, 유지에 관한 공학적 개념과 원리를 배우게 된다. 또한, 보건위생 및 환경검사원은 오염물의 분석을 위해 화학 및 생물에 대한 지식이 필요하고 규정 위반 행위를 적발하기 위해 관련법을 이해하고 있어야 한다. 공공부문, 민간부문 전체에 걸쳐 고용되는데, 공해방지시설이 필요한 기업체의 환경전담 부서, 방위산업체, 보건연구소, 방재시설업체, 환경용역업체 등에서 일하고 환경부 등 환경과 관련된 전문공무원이나 보건직 공무원인 식품위생감시원으로 일하기도 한다.
  • 관련학과
    • 보건관리학과 , 생명과학과 , 임상병리학과 , 해양공학과 , 환경공학과 등이 있습니다.
  • 관련자격
    • 산업위생관리산업기사, 기사 기술사(국가기술)
  • 훈련정보
    • 보건위생·환경 검사원

임금/직업만족도/전망

  • 임금
    • 하위(25%) 3,408만원, 중위값 3,730만원, 상위(25%) 4,500만원
      위 임금정보는 직업당 평균 30명의 재직자를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로, 재직자의 자기보고에 근거한 통계치입니다. 재직자의 경력, 근무업체의 규모 등에 따라 실제 임금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직업간 비교를 위한 참고자료로 활용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직업만족도
    • 68.9%
  • 일자리전망
    • 감소 (36%), 현상유지 (16%), 증가 (46%)
  • 일자리현황
    • 보건위생·환경검사원

능력/지식/환경

  • 업무수행능력
    • 범주화 / 품질관리분석 / 문제 해결 / 논리적 분석 / 읽고 이해하기
  • 지식
    • 법 / 화학 / 안전과 보안 / 생물 / 물리
  • 업무환경
    • 질병 혹은 감염 위험 노출 / 공문, 문서 주고받기 / 자동화 정도 / 불쾌하거나 무례한 사람 상대 / 오염물질 노출

성격/흥미/가치관

  • 성격
    • 분석적 사고 / 정직성 / 신뢰성 / 사회성 / 협조
  • 흥미
    • 관습형(Conventional) / 사회형(Social)
  • 직업가치관
    • 고용안정 / 지적 추구 / 애국 / 개인지향 / 경제적 보상
  • 관련직업
    • 태양광발전연구 및 개발자
    • 풍력발전연구 및 개발자
    • 원자력공학기술자
    • 에너지시험원
    • 대기환경기술자 및 연구원
    • 수질환경기술자 및 연구원
    • 폐기물처리기술자
    • 환경영향평가원
    • 소음진동기술자 및 연구원
    • 토양환경기술자 및 연구원
    • 환경시험원

업무활동

  • 업무활동 중요도
    • 자료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 업무활동 수준
    • 자료가 존재하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