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봇공학기술자 | 연구직 및 공학 기술직 > 기계·로봇공학 기술자 및 시험원 > 로봇공학기술자

하는 일

교육/자격/훈련

    로봇공학기술자 및 연구원이 되는 길은 다양하다. 로봇은 다양한 학문의 결합으로 구현되므로 이공계열 학과의 다양한 학문을 전공한다면 로봇공학기술자가 될 가능성이 있다. 학부 때 전기, 전자, 기계, 전산 분야를 전공하고 대학원에서 세부전공을 배울 수 있고, 또한 로봇관련 학과(전공)가 개설되어 로봇의 설계, 운영에 관한 전문적인 지식과 기술을 배울 수 있다. 로봇교육을 특성화하여 가르치는 로봇고등학교도 개설되어 있어 로봇설계, 운영, 제어, 디자인 등의 지식을 습득할 수 있다. 다양한 학문적 지식과 함께 로봇을 직접 만들어보거나 로봇경진대회 등에 참가하여 경험을 쌓는 것이 취업에 도움이 된다.
  • 관련학과
    • 기계공학과 , 메카트로닉스(기전)공학과 , 반도체·세라믹공학과 , 전자공학과 , 제어계측공학과 등이 있습니다.
  • 관련자격
    • 기계설계산업기사, 기사, 기술사(국가기술)
    • 메카트로닉스산업기사, 기사(국가기술)
    • 항공정비사(국가전문)
  • 훈련정보
    • 로봇공학 기술자 및 연구원

임금/직업만족도/전망

  • 임금
    • 하위(25%) 4,986만원, 중위값 5,698만원, 상위(25%) 6,734만원
      위 임금정보는 직업당 평균 30명의 재직자를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로, 재직자의 자기보고에 근거한 통계치입니다. 재직자의 경력, 근무업체의 규모 등에 따라 실제 임금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직업간 비교를 위한 참고자료로 활용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직업만족도
    • 77%
  • 일자리전망
    • 감소 (3%), 현상유지 (53%), 증가 (43%)
  • 일자리현황
    • 로봇공학기술자

능력/지식/환경

  • 업무수행능력
    • 창의력 / 기술 설계 / 기술 분석 / 수리력 / 문제 해결
  • 지식
    • 물리 / 공학과 기술 / 산수와 수학 / 컴퓨터와 전자공학 / 기계
  • 업무환경
    • 다른 사람들을 조율하거나 이끌기 / 다른 사람과의 상호작용 / 이메일 이용하기 / 의사결정 권한 / 결과에 대한 책임

성격/흥미/가치관

  • 성격
    • 혁신 / 분석적 사고 / 협조 / 인내 / 책임과 진취성
  • 흥미
    • 탐구형(Investigative) / 현실형(Realistic)
  • 직업가치관
    • 애국 / 인정 / 성취 / 자율 / 타인에 대한 영향
  • 관련직업
    • 건설기계공학기술자 및 연구원
    • 플랜트기계공학기술자
    • 항공공학기술자
    • 자동차공학기술자
    • 조선·해양공학기술자
    • 기계시험원

업무활동

  • 업무활동 중요도
    • 자료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 업무활동 수준
    • 자료가 존재하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