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뎁스 2뎁스 3뎁스 현재 페이지

직업정보 찾기

직업·진로 직업정보 직업정보 찾기
미용·여행·숙박·음식·경비·청소직 > 결혼·장례 등 예식 서비스원 > 혼례종사원
혼례종사원

임금

혼례종사원 하위(25%) 2,000만원, 중위값 2,279만원, 상위(25%) 2,595만원

※ 위 임금정보는 직업당 평균 30명의 재직자를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로, 재직자의 자기보고에 근거한 통계치입니다. 재직자의 경력, 근무업체의 규모 등에 따라 실제 임금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직업간 비교를 위한 참고자료로 활용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조사년도: 2021년>

직업만족도

혼례종사원에 대한 직업 만족도는 56.4% (백점 기준)입니다.

※ 직업만족도는 해당 직업의 일자리 증가 가능성, 발전가능성 및 고용안정에 대해 재직자가 느끼는 생각을 종합하여 100점 만점으로 환산한 값입니다.
<조사년도: 2021년>

재직자가 생각하는 일자리전망

< 조사년도: 2021년 >

※ 위의 그래프는 직업당 평균 30명의 재직자가 해당 직업의 향후 5년간 일자리 변화에 대해 응답한 결과입니다. 직업전문가와 재직자들의 입장과 견해에 따라 일자리 전망에 차이가 있을 수 있으므로, 참고자료로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전문가가 분석한 일자리전망

(연평균 증감률 %)

-2% 미만: 감소, -2% 이상 -1% 이하: 다소 감소, -1% 초과 1% 미만: 현 상태 유지, 1% 이상 2% 이하: 다소증가, 2% 초과: 증가 중 다소감소에 해당 됨

향후 10년간 혼례종사원의 일자리는 다소 감소할 것이다.

혼례종사원은 결혼식을 진행하기 위하여 의자, 카펫 등을 정리하고 필요한 자료를 준비하며, 예식 진행과정을 관찰하여 신랑?신부의 의상과 행동을 교정하는 일을 한다. 집과 결혼 비용 등 경제 여건, 출산과 양육 부담, 경력 단절 등의 이유로 비혼주의가 확산되면서 결혼식이 혼례종사원 고용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통계청의 「2022년 혼인이혼통계」에 따르면 혼인 건수는 2015년 약 30만 2,800건에서 2022년 약 19만 1,700건으로 매년 꾸준히 감소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결혼 시장 위축은 혼례종사원의 고용 창출을 기대하기 어렵게 만든다.

연도별 혼인건수 및 조혼인율

(단위 : 천 건, %)

연도별 반려견 수, 반려묘 수 항목으로 구성
구분 2015 2016 2017 2018 2019 2020 2021 2022
혼인 건수 302.8 281.6 264.5 257.6 239.2 213.5 192.5 191.7
증감 -2.7 -21.2 -17.2 -6.8 -18.5 -25.7 -21.0 -0.8
증감률 -0.9 -7.0 -6.1 -2.6 -7.2 -10.7 -9.8 -0.4
조혼인율 5.9 5.5 5.2 5.0 4.7 4.2 3.8 3.7

자료 : 통계청, 「2022년 혼인이혼통계」
주: 조혼인율은 인구 1,000명당 혼인 건수를 뜻한다

또, 교회, 성당, 정원 레스토랑 등 결혼식을 예식장 이외에서 하는 경우가 점차 늘어나고 있으며, 특히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가족과 가까운 지인만 초대하는 ‘스몰웨딩’이 확산되면서 혼례종사원에 대한 수요가 줄어들고 있다. 한편, 한류 영향으로 국내에서 웨딩 촬영을 즐기는 외국인이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며, 리마인드웨딩 등 새로운 결혼 수요가 생기는 점은 혼례종사원의 일자리에 긍정적이다.

종합하면, 새로운 결혼 수요의 증가에도 불구하고, 전체적인 혼인건수 감소로 인하여 향후 10년간 혼례종사원의 일자리는 다소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 (2023년 작성)

일자리 전망 요인, 증가 요인, 감소 요인 항목으로 구성
전망 요인 증가 요인 감소 요인
인구구조 및 노동인구의 변화 -
  • 저출생
  • 혼인건수 감소
가치관과 라이프스타일의 변화
  • 리마인드웨딩 등 새로운 결혼 문화 증가
  • 스몰웨딩 증가
과학기술의 발전 - -
국내외 경기 변화
  • 국내 촬영 외국인 수요 증가
-
기업 등의 경영전략 변화 - -
산업 특성 및 산업구조의 변화 - -
환경과 에너지, 자원 - -
법·제도 및 정부 정책 - -
기타 요인 - -

※ 위의 일자리전망은 직업전문가들이 「중장기인력수급전망」,「정성적 직업전망조사」,「KNOW 재직자조사」등 각종 연구와 조사를 기초로 작성하였습니다.

일자리현황

담당부서 : 미래직업연구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