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1뎁스 2뎁스 3뎁스 현재 페이지

한국직업전망

직업·진로 직업정보 한국직업전망
분류별 검색 > 경영·회계·사무 > 조세행정사무원
조세행정사무원

일자리 전망

상세내용 하단 참고

향후 10년간 조세행정사무원의 취업자 수는 현 상태를 유지할 것으로 전망된다. 「2019-2029 중장기 인력수급전망」(한국고용정보원, 2020)에 따르면, 조세행정사무원은 2019년 약 23천 명에서 2029년 약 24천 명으로 향후 10년간 1천 명(연평균 0.5%) 정도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국세 및 지방세 행정의 효율화, 업무량 등을 고려하여 그동안 지속적으로 세무직 공무원 선발 인원을 증가해왔다. 하지만 선발인원은 결원 등에 따라 유동적일 수 있고 지역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다. 세무직 9급 공무원의 경우 2019년 855명에서 2020년에 652명을 선발하여 선발인원이 감소하였다. 각 지자체에서 세금 추징업무뿐만 아니라 납세자의 가산세 부담을 경감시키고 재정수입도 조기에 안정적으로 확보하고자 납세자 중심의 서비스와 정보제공을 증대할 계획인 점은 조세 행정공무원의 고용증가를 가져올 수도 있다. 하지만 증원보다는 인력의 전문화를 통해 행정 서비스의 질적 제고를 기하고자 하는 것은 고용감소로 이어질수도 있어 전체적으로 조세행정 사무원의 취업자 수는 현 상태를 유지할 전망이다.직무에서의 전문성 강화 차원에서 시험과목에서도 일부 선택과목을 필수화하는 것을 비롯해 세무직 공무원에게도 세무 관련 각종 사례 및 법원판례, 세무조사 기법 등에 대한 역량제고가 필요하다. 또한 미리 기업, 개인 등 납세자에게 각종 세무 관련 정보를 제공하고 자진 신고 및 납부할 수 있도록 상담을 실시하기도 한다. 참고로, 2020년 세무직 공무원(국가직)의 경쟁률은 24.68 대 1로 2019년 22.06 대 1보다 다소 상승하였다.

상세내용 하단 참고

관련 직업

세무사, 회계 및 경리사무원, 관세행정사무원, 행정공무원

분류 코드

한국고용직업분류(KECO) : 0251

한국표준직업분류(KSCO) : 3111

관련 정보처

국세청 126 www.nts.g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