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1뎁스 2뎁스 3뎁스 현재 페이지

한국직업전망

직업·진로 직업정보 한국직업전망
분류별 검색 > 교육 및 연구 > 생명과학연구원
생명과학연구원

일자리 전망

향후 10년간 취업자 수 전망- 감소:-2% 미만, 다소감소:-2%이상 -1%이하, 현 상태 유지:-1%초과 +1% 미만, 다소증가 1% 이상 2% 이하, 증가:2% 초과 중 증가

향후 10년간 생명과학연구원의 고용은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2016~2026 중장기 인력수급전망」(한국고용정보원, 2017)에 따르면, 생명과학연구원은 2016년 약 38천 명에서 2026년 약 49천 명으로 향후 10년간 약 11천 명(연평균 2.6%)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상세내용 하단참고
생명과학연구원 2016~2026 고용전망
구분 취업자 수 기간 증감 증감률
2011 2016 2021P 2026P 11~16 16~21 21~26 16~26 11~16 16~21 21~26 16~26
생명과학연구원 25.0 38.0 45.0 49.0 14.0 7.0 5.0 11.0 9.3 3.2 1.9 2.6

단위:천 명,%, 자료 : 한국고용정보원(2017), 「2016~2026 중장기 인력수급전망」

통계청의 「사업체기초통계조사」에 따르면, 생명과학과 관련된 자연과학 연구개발업체의 수와 종사자 수는 지속적으로 증가세를 보이고 있는데, 사업체 수는 2010년 1,271개소에서 2016년 2,357개소로 85.4% 증가하였고, 이 분야의 종사자는 동 기간 36,522명에서 55,073명으로 약 50.8%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상세내용 하단참고
자연과학 연구개발업체 수 및 종사자 현황
연도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전체 사업체 수 1,271 1,471 1,660 1,866 2,218 2,272 2,357
종사자 수 36,522 39,016 41,581 44,192 47,133 50,915 55,073
물리,화학 및 생물학 연구개발업 사업체 수 463 526 585 654 777 783 814
종사자 수 12,962 14,108 15,930 18,005 19,733 21,567 23,546
농학 연구개발업 사업체 수 304 357 376 430 492 488 494
종사자 수 11,782 12,333 11,761 11,796 11,613 11,207 11,848
의학 및 약학 연구개발업 사업체 수 391 479 561 624 743 782 809
종사자 수 8,909 9,628 10,443 11,011 12,505 14,652 15,178
기타 자연과학 연구개발업 사업체 수 113 109 138 158 206 219 240
종사자 수 2,869 2,947 3,447 3,380 3,242 3,489 4,501

단위:개소, 명

OECD는 ‘바이오경제 2030(The Bioeconomy to 2030 : Designing a Policy Agenda)’보고서에서 기후변화 및 고령화 등 인류난제를 극복하기 위한 핵심기술로서 생명공학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보건·의료, 생물정보, 환경·에너지 등 타 기술과의 융합과 응용 분야가 확대되는 추세이며 바이오 관련 시장 규모도 점점 커질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우리나라도 미래 국가경쟁력을 높이고 발전의 중심이 될 바이오 제약, 바이오 에너지, 뇌 과학 등 생명공학 기술개발과 바이오산업 육성에 국가적 차원의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정부는 제2차 생명 공학 육성 2단계(2012년~2016년) 기본계획을 수립하여 실행해왔다. 따라서 생명공학산업의 기반이 되는 각종 기초연구와 응용연구를 수행하는 생명과학연구원의 일자리도 향후 생명공학 산업의 성장과 함께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기업의 생명과학연구 투자도 증가하고 있다. 생명과학기업이 성장하고 있고, 바이오벤처기업의 투자도 증가하고 있다. 특히, 제약업계의 경우 신약개발을 위해서 바이어벤처에 투자를 활발히 하고 있다. 인구 고령화에 따라 노인들을 위한 생명과학연구도 활성화되고 있다(관절염을 치료하는 줄기세포 등). 또한 노화를 대비한 의약품 및 건강기능식품의 시장이 확장되고 있다. 식문화가 고급화되고, 보다 건강하고 안전하고 좋은 먹거리를 찾으면서 이에 관한 식품연구도 활성화되고 있다. 기능성 화장품과 건강기능식품의 시장도 확장되고 있다. 이에 따라 생명과학연구의 수요도 증가하고 있다. 4차 산업혁명과 더불어 생명과학산업(농업, 축산, 식품 등)이 발달하고 확장될 것이기 때문에 관련 연구원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생명과학분야에도 빅데이터를 활용하는 연구가 활성화될 것이다. 스마트팜을 통해서 식물, 환경 등에서 데이터를 생산하고 합쳐서 가치를 창출하고 연구 하는 산업이 활성화될 것이다. 또한 환경을 보호하기 위한 생명과학연구가 앞으로 활성화될 것으로 보인다(담수화기술, 친환경 식량생산기술 등). 생명과학 분야에 대한 관심 증대로 국내외 대학에서 전문 연구 인력들이 꾸준히 배출되고 있다. 그러나 최근 생명과학 분야 수요가 증가하며 관련 분야의 입직경쟁은 그리 치열한 편은 아니며, 생명공학 벤처기업을 비롯해 관련 업체의 근무환경이나 보수가 좋지 못한 경우도 있다. 이로 인해 상대적으로 보수가 높고 고용이 안정적인 대덕연구단지의 정부출연연구기관이나 대기업의 경우 입직경쟁이 상대적으로 높을 것으로 예상된다.

관련 직업

생물학연구원, 자연과학연구원, 미생물학연구원, 생명정보연구원, 생명과학시험원

분류 코드

한국고용직업분류(KECO) : 1221

한국표준직업분류(KSCO) : 2111

관련 정보처

교육부 (02)6222-6060 www.moe.go.kr

한국생명공학연구원 (042)860-4114 www.kribb.re.kr

포항공대 생명공학연구센터 (054)279-8376 www.biotechcenter.or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