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1뎁스 2뎁스 3뎁스 현재 페이지

한국직업전망

직업·진로 직업정보 한국직업전망
분류별 검색 > 경영·회계·사무 > 기업고위임원(CEO)
기업고위임원(CEO)

일자리 전망

상세내용 하단 참고

향후 10년간 기업고위임원의 취업자 수는 현 상태를 유지할 것으로 전망된다. 「2019-2029 중장기 인력수급전망」(한국고용정보원, 2020)에 따르면, 경영지원관리자는 2019년 약 68천 명에서 2029년 약 75천 명으로 향후 10년간 7천 명(연평균 1.0%) 정도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통계청의 「전국사업체조사」에서 중소기업 이상의 규모를 갖춘 300인 이상 종사자의 사업체는 매년 다소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하지만 기업 경영을 총괄하여 이끈다는 점에서 막중한 책임이 있는 자리의 직업인만큼 기업고위임원의 일자리는 제한적이고 소수의 인력이 진입가능하다고도 할 수 있다.

상세내용 하단 참고
종사자 규모별 사업체 수
연도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2018
49인 이하 3,558,982 3,632,057 3,766,939 3,834,495 3,900,705 3,970,807 4,052,967
50~99명 27,164 27,976 28,773 31,126 30,808 30,284 31,235
100~299명 12,987 13,395 13,652 14,656 14,710 14,758 14,907
300인 이상 3,343 3,448 3,557 3,798 3,946 4,023 4,063
3,602,476 3,676,876 3,812,921 3,884,075 3,950,169 4,019,872 4,103,172

출처 : 통계청, 전국사업체조사

또한 해당 산업의 전체적인 움직임은 고용에 많은 영향을 미칠 수밖에 없다. 따라서 해당 기업이 속한 산업의 특성에 따라 고용에도 영향을 미칠 것이며 제조업, 정보통신업, 건설업, 금융업 등 각 분야에 따라 다소 고용전망이 상이할 수는 있으나 전반적으로 최근 대내외적인 경제 환경의 불확실성이 지속되고 있고 저성장이 고착화되는 것은 기업고위임원의 고용이 크게 늘지 않고 현 상태를 유지하는 수준임을 시사한다고 할 수 있다. 기존에는 임원과 직원 간의 정보공유방식이 수직적이고 아날로그적인 방식이었다면 최근에는 많은 기업들이 정보기술을 활용한 수평적이고 디지털화된 정보공유방식을 취함으로써 중간 관리층 이상의 고위임원의 역할이 예전보다 감소할 것으로 보인다. 다수가 관리했던 기업 내 분야들이 소수의 관리자나 임원에 의해 관리가 가능한 시스템으로 변화함으로써 기업고위임원의 고용창출을 유발하는 데 부정적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다. 또한 과거에는 입사 후 연공서열로 승진하고 결재나 업무지시 등이 주된 임무였다면 최근에는 전문경영인으로 영입되는 경우도 많고, 인터넷, 모바일메신저를 활용하면서 다양한 분야에의 업무 지시, 의사결정에 직접 참여하는 등 실무적 전문성, 리더십, 전산 활용 능력이 기업고위임원에게 요구되는 역량이 되고 있다. 즉 기존의 업무지시, 막강한 권한을 갖는 패러다임을 넘어 향후에는 미래에 대한 비전을 제시하고 수평적이고 투명한 기업경영을 위한 전략을 수립하는 것에 더 무게중심을 둘 것으로 보인다. 한편 점차 기업을 둘러싼 대내외적 환경이 급변하고 있고 더욱이 인공지능, 빅데이터 등 4차 산업혁명 관련 기술을 사업에 접목하면서 기업에서는 해당 분야의 전문성을 갖춘 최고디지털 책임자(CDO), 최고기술책임자(CTO) 등을 영입하고 있는 추세이다. 또한 글로벌 사업 확장 및 신사업 분야의 경쟁력 확보를 위해 인수합병(M&A) 역량을 갖춘 임원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그리고 환경, 고용 등 기업의 지속가능한 경영전략에 대한 소비자들의 인식이 제고되면서 기업고위임원들 스스로도 전문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끊임없는 자기계발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예상된다.

상세내용 하단 참고

종합하면, 대내외적인 경제 환경의 불확실성 지속, 수평적이고 디지털화된 정보공유방식으로 인한 중간관리층 역할 감소 등은 감소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지만, 4차 산업혁명 관련 기술 분야 전문성 확대, 글로벌 사업 확장 및 신사업 분야 경쟁력 확보, 지속가능경영 전략의 중요성 등은 증가요인으로 작용하여, 향후 10년간 기업고위임원의 취업자 수는 현 상태를 유지할 것으로 전망된다.

관련 직업

기업 대표이사, 기업체 고위임원, 정부투자기관 고위임원

분류 코드

한국고용직업분류(KECO) : 0112

한국표준직업분류(KSCO) : 1120

관련 정보처

전국경제인연합회 (02)3771-0114 www.fki.or.kr

한국경영자총협회 (02)3270-7300 www.kefplaza.com

한국거래소 (051)662-2000 www.krx.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