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1뎁스 2뎁스 3뎁스 현재 페이지

한국직업전망

직업·진로 직업정보 한국직업전망
분류별 검색 > 경영·회계·사무 > 병원코디네이터
병원코디네이터

일자리 전망

상세내용 하단 참고

향후 10년간 병원코디네이터의 일자리는 현 상태를 유지할 것으로 전망된다. 「2019-2029 중장기 인력수급전망」(한국고용정보원, 2020)에 따르면, 병원코디네이터를 포함 하여 고객 상담 및 모니터 요원은 2019년 약 197천 명에서 2029년 약 199천 명으로 향후 10년간 2천 명(연평균 0.1%) 정도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보건복지부 통계에 따르면 국내 병·의원 수는 최근 몇 년간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또한 의료시장의 개방과 국내 병원의 대형화, 병원의 체인화로 인해 국내의 병원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어, 적극적인 마케팅과 높은 수준의 서비스가 중요해짐에 따라 병원코디네이터의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상세내용 하단 참고
병·의원 수 현황
연도 2013 2014 2015 2016 2017 2018
병·의원 수 60,899 63,675 63,419 64,999 66,631 67,847
치과 병·의원 수 15,799 16,135 16,797 16,996 17,383 17,664
한의원 수 12,816 13,135 13,605 13,860 14,155 14,329

자료 : 보건복지부, 보건복지통계연보 2019

사람들의 건강, 미용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어, 성형외과나 피부과, 치과, 한의원 등 전문병원을 중심으로 병원코디네이터의 수요가 발생할 가능성도 있다. 또한 사람들의 삶의 질 향상 및 의식의 변화로 인해 의료서비스를 통해 질병치료 및 예방, 건강을 유지하고자 하는 수요가 늘고 있고, 이에 따라 병원에서도 환자 상담과 홍보를 담당하는 병원코디네이터를 고용하여 많은 고객을 유치하려는 경쟁이 치열할 것으로 보인다.2009년 5월 의료법 개정으로 국내병원도 외국인 환자를 유치할 수 있게 됨에 따라 의료관광 산업이 활성화되면서, 매년 국내 의료기관을 이용하는 외국인 환자가 약 20%씩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외국인 환자에게 진료정보 제공 및 교통·숙박 안내 등 진료에 관련된 편의를 제공하는 의료관광코디네이터의 수요도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상세내용 하단 참고
진료유형별 외국인 실환자 현황
구분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2018 연평균증가율
입원 3,915 7,987 11,945 14,809 20,137 23,855 24,489 26,276 27,678 27,879 24.4
외래 56,286 73,802 110,352 144,655 191,081 242,646 272,400 337,913 293,896 351,088 22.6
60,201 81,789 122,297 159,464 211,218 266,501 296,889 364,189 321,574 378,967 22.7

자료 : 한국보건산업진흥원, 2018 외국인환자 유치실적 통계분석보고서

한편 병원의 자동화시스템 도입 등으로 인해 병원코디네이터 업무 중 예약, 수납 등의 단순업무는 줄어들 것으로 보이며, 환자를 응대하거나 상담하는 역할이 앞으로 더 중요해질 것으로 보인다.

상세내용 하단 참고

종합하면, 국내 병·의원 수 증가와 고객서비스 제공의 중요성 확대, 사람들의 건강과 미용에 대한 관심 등의 요인이 증가 요인으로 작용하지만, 자동화시스템 도입으로 인해 병원코디네이터의 일부 업무를 대체할 수 있기 때문에, 향후 10년간 병원코디네이터의 일자리는 현 상태를 유지할 것으로 전망된다.

관련 직업

AS상담원, 고객서비스만족도조사원, 모니터요원, 미스터리쇼퍼, 소비자상담원, 인터넷통신상담원, 전화고객상담원, 콜센터상담원, 행정민원상담사무원

분류 코드

한국고용직업분류(KECO) : 0292

한국표준직업분류(KSCO) : 3991

관련 정보처

대한병원코디네이터협회 (02)452-0002 www.khca.or.kr

(사)병원코디네이터협회 (02)3445-6493 www.hcakorea.org
※ 병원코디네이터의 경우 아직까지 민간자격증을 발행하는 협회만 존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