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1뎁스 2뎁스 3뎁스 현재 페이지

한국직업전망

직업·진로 직업정보 한국직업전망
분류별 검색 > 교육 및 연구 > 사회과학연구원
사회과학연구원

일자리 전망

향후 10년간 취업자 수 전망- 감소:-2% 미만, 다소감소:-2%이상 -1%이하, 현 상태 유지:-1%초과 +1% 미만, 다소증가 1% 이상 2% 이하, 증가:2% 초과 중 다소증가

향후 10년간 사회과학연구원의 고용은 다소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2016~2026 중장기 인력수급전망」(한국고용정보원, 2017)에 따르면, 사회과학연구원은 2016년 약 11천 명에서 2026년 약 13천 명으로 향후 10년간 약 2천 명(연평균 1.9%)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상세내용 하단참고
사회과학연구원 2016~2026 고용전망
구분 취업자 수 기간 증감 증감률
2011 2016 2021P 2026P 11~16 16~21 21~26 16~26 11~16 16~21 21~26 16~26
사회과학 연구원 8.0 11.0 12.0 13.0 3.0 1.0 1.0 2.0 6.8 2.1 1.7 1.9

단위:천 명,%, 자료 : 한국고용정보원(2017), 「2016~2026 중장기 인력수급전망」

통계청의 「전국사업체조사」에 따르면 인문학 및 사회과학 연구개발업체의 수는 2010년 742개 에서 2016년 1,401개로 두 배가량 증가하였다. 종사자 수 역시 2010년 11,476명에서 2016년 20,474명으로 2배가량 증가하였다.

상세내용 하단참고
인문학 및 사회과학연구개발원 사업체 및 종사자 현황
연도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사업체 수 742 877 1,105 1,272 1,460 1,476 1,401
종사자 수 11,476 13,160 14,417 15,950 18,569 20,858 20,474

단위:개소, 명, 자료 : 통계청, 전국사업체조사 각 년도

향후 사회과학연구원의 고용에는 긍정적인 요인과 부정적인 요인이 공존하고 있다. 긍정적인 측면에서 살펴보면, 급변하는 사회 환경 속에서 미래를 예측하고 이를 준비하기 위한 사회과학 분야의 연구는 어느 정도 활성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최근 세계 경제가 장기 침체에 빠져 있어 위기 타개를 위한 정부와 일반 기업체의 동향 분석 및 대책 연구 활동이 지속될 전망이다. 아울러 저출산· 고령화에 따른 각종 사회문제 및 이와 관련한 사회복지 정책들에 대한 연구가 많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주 5일 근무제시행과 함께 여가 및 관광레저산업에 대한 연구도 증가하고 있다. 또한, 경기 전망을 비롯해 청년실업에 따른 각종 경제 현황을 분석하는 경제학 분야의 연구도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어 향후 해당 분야의 연구원 수요 증가가 예상된다. 4차 산업혁명 시대의 도래와 함께 과학기술의 발전이 사회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이 사회적 이슈로 부각되고 있다. 인공지능과 같은 기술이 확대될수록 그에 따른 책임과 법적 문제에 대한 연구의 수요는 더욱 증가하게 된다. 사회과학분야 연구가 더욱 다양화, 세분화, 고도화되고 있고, 이러한 추세에 맞추어 사회과학관련 연구원의 고용 역시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글로벌 경제가 발전하면서 경제학 연구원의 고용도 증가할 것이다. 정치적으로 문제가 되는 이슈 (예, 세월호, 가습기살균제 피해, 국정농단, 사법농단 등)가 발생하면, 그와 관련한 법적 문제의 해결을 위해서 사회과학연구원의 수요 및 업무도 역시 증가될 수 밖에 없다. 정부가 지방분권 국가를 지향하기 때문에, 이와 관련한 정치학과 행정학, 그리고 지방자치법학 관련 연구원의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또한 남북의 종전과 평화체제수립 그리고 통일이 주요 이슈가 될수록 관련 정책연구원 고용도 증가할 것이다. 하지만 사회과학연구원이 주로 진출하는 정부출연연구기관의 경우 기본적으로 큰 인력 증가에 한계가 있고, 대학부설연구소의 경우는 고용형태가 불안한 편이다. 또한, 기업부설연구소는 주로 경제학, 경영학 분야의 연구원을 채용하고 있어 경제학, 경영학 분야가 아닌 사회과학연구원의 신규 일자리 창출이 쉽지 않을 수 있다. 정부출연연구기관의 경우 인건비 예산에 대한 조정권을 경제부처가 갖고 있어 매년 신규인력 채용을 위한 예산 확보가 어려운 상황이다. 또한, 상당수의 연구기관은 인건비를 외부용역이나 일시적 사업으로부터 충당하는 비중이 커져 정규직보다 비정규직 연구인력을 채용하고 있다. 대학부설연구기관의 경우 대학에서 박사과정에 있거나 시간강사로 활동하는 사람들이 주로 연구 원으로 근무하기 때문에 사회과학연구원의 전반적인 일자리 창출에 큰 의미를 갖지 못한다. 대학 부설 사회과학 분야 연구소에서 근무하는 상당수의 연구원이 비전임연구원으로 근무하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국내 대학뿐 아니라 해외에서도 사회과학 분야의 고급인력들이 꾸준히 배출되고 있어 관련 연구 기관의 입직경쟁은 치열하다. 특히 상대적으로 근무환경이 좋고, 고용안정성이 높은 정부출연 연구 기관, 보수와 복지혜택이 좋은 대기업 부설 경제연구소의 경우 입직경쟁이 매우 치열할 것으로 전망된다.

상세내용 하단참고
일자리 전망
전망요인 증가요인 감소요인
인구구조 및 노동시장 변화 저출산, 고령화와 관련한 연구 수요 증가
과학기술 발전 4차산업 혁명의 사회적 영향 분석 연구 증가
산업특성 및 산업구조 변화 일자리, 고용, 사회갈등 등 경제, 사회문제 해결형 연구 수요 증가
법, 제도 및 정부 정책 지방분권/통일(남북관계)관련 연구 경제사회 선진화 및 정부 개입 축소

관련 직업

사회과학교수, 사회계열교수, 경제학연구원, 대학시간강사, 정치학연구원

분류 코드

한국고용직업분류(KECO) : 1102

한국표준직업분류(KSCO) : 2122

관련 정보처

경제인문사회연구회 (044)211-1000 www.nrc.re.kr

한국개발연구원 (044)550-4114 www.kdi.re.kr

한국노동연구원 (044)287-6114 www.kli.re.kr

한국형사정책연구원 (02)575-5282 www.kic.re.kr

한국행정연구원 (02)564-2000 www.kipa.re.kr

한국보건사회연구원 (044)287-8000 www.kihasa.re.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