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1뎁스 2뎁스 3뎁스 현재 페이지

한국직업전망

직업·진로 직업정보 한국직업전망
분류별 검색 > 교육 및 연구 > 장학관·연구원 및 교육관련 전문가
장학관·연구원 및 교육관련 전문가

일자리 전망

상세내용 하단 참고

향후 10년간 장학관·연구관 및 교육 관련 전문가의 취업자 수는 현 상태를 유지할 것으로 전망된다. 「2019-2029 중장기 인력수급전망」(한국고용정보원, 2020)에 따르면, 장학관·연구관 및 교육 관련 전문가는 2019년 약 15천 명에서 2029년 약 15천 명으로 향후 10년간 현상유지(0.0%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장학관·연구관 및 교육 관련 전문가의 일자리와 밀접하게 관련된 중등학교 학생 수는 과거 2000 년대까지 증가하다가 최근에는 급격히 줄고 있는 추세이다. 한국교육개발원의 교육통계서비스에 의하면 2008년도 중등학생 수는 약 394만 5천여 명 수준이었으나 2019년 약 270만 5천여 명으로 동 기간 약 -124만 명 감소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상세내용 하단 참고
중·고등학교 학생 수 현황
연도 중학생 수 고등학생 수 합계 2008 2,038,611 1,906,978 3,945,589 2009 2,006,972 1,965,792 3,972,764 2010 1,974,798 1,962,356 3,937,154 2011 1,910,572 1,943,798 3,854,370 2012 1,849,694 1,920,087 3,769,781 2013 1,804,189 1,893,303 3,697,492 2014 1,717,911 1,839,372 3,557,283 2015 1,585,951 1,788,266 3,374,217 2016 1,457,490 1,752,457 3,209,947 2017 1,381,334 1,669,699 3,051,033 2018 1,334,288 1,538,576 2,872,864 2019 1,294,559 1,411,027 2,705,586

자료 : 교육부(각 연도), 교육통계 재구성

한편, 교육부는 공교육의 내실화를 목표로 교원 1인당 담당 학생 수를 줄이기 위한 노력을 지속해 왔다. 이에 교원 1인당 학생 수는 꾸준히 감소하여 2020년 현재 중학교 교사는 1인당 11.8명의 학생을, 고등학교 교사는 1인당 10.2명의 학생을 담당하고 있다. 2018년 기준 OECD 통계에 따르면, 전기 중등교육(중학교 과정) 교원 1인당 평균 학생 수는 13명, 후기중등학교(고등학교) 교원 1인당 학생 수는 13명으로 나타났다. 중학교의 경우 OECD 평균보다 소폭 높지만, 고등학교의 경우 한국의 고등학교 교사 1인당 학생 수는 OECD 평균보다 적은 상태가 되었다. 이는 교원 1인당 학생 수를 감소시키기 위한 정부의 지속적인 정책이 결실을 보고 있는 것으로 평가된다. 또한 베이비부머 세대들의 퇴직이 본격화되고 있고, 육아 휴직을 하는 교사들이 증가하고 있는데, 이는 신규 일자리 창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4차 산업혁명으로 인한 고용변화가 교육 직종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이라고 할 수 있다. 일자리 감소 추세가 교육 직종에도 영향을 미치겠으나, 전반적인 자동화가 교육계에 미칠 영향은 제한적일 것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중등학교교사는 사람과 직접 대면하는 일을 업으로 삼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저출산 현상으로 인하여 학령인구가 점차 줄어들고 있고, 이는 향후 중등학교교사 수 감소에 매우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휴직 교원이나 결원 교원에 대한 대책으로 신규 임용보다는 기간제 교사로 보충하는 경향이 증가하고 있다. 사범계열 대학 등 중등교원 양성기관을 통해 매년 배출되는 인력들은 증가하는 데 비해 신규 채용 예정 교원 수는 제한되어 있다. 교육부는 매년 교과목별 교원 수요변동, 교원 증원 상황 등을 반영하여 임용시험을 통해 선발할 중등교사의 수를 정하고 있다. 교사를 지원하는 사람은 많고 인원은 제한되어 있어 경쟁률이 치열하므로 향후 중등교사로 취업하는 것은 지금보다 더욱 어려워질 것으로 전망된다.

상세내용 하단 참고

종합하면, 일과 삶의 균형 추구 문화 확산에 따라 육아휴직이 증가하는 동시에 학령인구가 감소하고, 산업구조 변화 요인의 영향에 따라 베이비부머 세대가 은퇴 및 명예퇴직이 증가하는 반면, 지식 전달 AI가 대체, 원격교육이 증가하고, 교원당 학생 수 감소 정책이 추진되는 것을 전체적으로 고려할 때, 향후 10년간 장학관·연구관 및 교육 관련 전문가의 취업자 수는 현 상태를 유지할 것으로 전망된다.

관련 직업

중·고등학교교사, 초등학교교사, 특수교육교사

분류 코드

한국고용직업분류(KECO) : 2151

한국표준직업분류(KSCO) : 2591

관련 정보처

교육부 (02)6222-6060 www.moe.go.kr

한국교육개발원 (043)530-9114 www.kedi.re.kr

한국교육과정평가원 (043)931-0114 www.kice.re.kr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 (02)570-5500 www.kfta.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