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1뎁스 2뎁스 3뎁스 현재 페이지

한국직업전망

직업·진로 직업정보 한국직업전망
분류별 검색 > 건설 > 건축목공 및 한식목공
건축목공 및 한식목공

일자리 전망

향후 10년간 취업자 수 전망- 감소:-2% 미만, 다소감소:-2%이상 -1%이하, 현 상태 유지:-1%초과 +1% 미만, 다소증가 1% 이상 2% 이하, 증가:2% 초과 중 건축목공은 다소감소, 한식목공은 증가

향후 10년간 건축목공의 취업자 수는 다소 감소할 것으로 전망되며, 한식목공의 취업자 수는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2016~2026 중장기 인력수급전망」(한국고용정보원, 2017)에 따르면, 건축목공은 2016년 180.2천 명에서 2026년 192.9천 명으로 향후 10년간 약 12.6천 명(연평균 0.7%) 증가할 것으로 나타났다. 건축목공의 일자리는 건축경기에 영향을 크게 받는다. 지난 2015~2017년 동안은 민간 주택 수요 증가, 재건축/재개발 사업 증가, 저금리 등의 영향으로 주택과 비주거(사무실, 점포, 호텔 등) 건축 수주(건설업체와 발주자의 공사계약)와 건축투자(건설업체의 실제 시공 실적)가 역대 최고 수준을 기록하였다. 하지만 2017년 하반기 이후 주택 공급 과잉과 금리 상승 압박 등의 요인으로 민간 주택 수주는 감소세로 접어들었고, 건축투자도 건축수주 감소에 이어 2019년부터 본격적으로 감소세로 접어들 것으로 예상된다. 앞으로도 당분간은 전국적인 신규 주택 공급 과잉(2017~2019년), 금리 상승 가능성, 경제 성장률 둔화 등의 요인으로 민간 신규 주택 발주와 재개발/재건축 발주가 줄어들 것으로 예상된다(‘2019년 건설경기 전망’, 한국건설산업연구원, 2018.11.7.).낮은 고용안정성, 높은 작업강도, 안전사고 위험 등으로 인해 청년층의 신규 진입이 적고, 기존 근로자는 고령화가 빠르게 진행되는 것도 건축목공의 취업자 수 감소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현재는 빈 일자리를 외국인 근로자나 동포 근로자가 충원하고 있는 실정이며, 최근에는 그 비중이 더 커지고 있다. 특히, 형틀목공처럼 숙련기능이 비교적 덜 필요한 직종의 경우, 외국인 및 동포 근로자 비중이 매우 높으며 반장급도 이들이 담당하는 실정이다. 이러한 추세는 숙련기능도가 높은 직종까지 파급되는 실정이다. 젊은 내국인 숙련기능공이 희소해 지기 때문에 다양한 현장경험과 숙련기술을 쌓는다면 취업과 임금에 유리할 것이다. 또한, 목공 장비가 기계화가 진전되고 공장 생산부재(문, 창, 벽체, 계단 등) 사용이 증가함에 따라 건설현장에서 생산성이 향상된 것도 건축목공의 일자리에 부정적 영향을 주고 있다. 특히 창호 목공은 시스템창호의 보급으로 거의 사라지는 추세이다. 다만, 제조업과 달리 건설기능 분야는 다양한 조건에서 현장생산 비율이 높기 때문에 자동화와 로봇화에 한계가 있는 것도 사실이다. 반면에 건축목공의 일자리에 긍정적 요인도 있다. 노후 건물의 증가에 따른 유지보수 시장 성장 및 재건축/재개발 증가, 수요자의 니즈를 반영한 인테리어 및 리모델링 공사 증가, 침체된 도심을 되살리는 도시재생 사업 증가, 소득 증가 및 노령화·가치관 변화에 따른 다양한 유형의 신규 주택 (타운하우스, 전원주택, 고급주택, 스마트홈, 실버하우스, 요양시설 등) 수요 증가, 건강에 대한 관심 증가로 한옥 등 목조건축 수요 증가, 1~2인 가구 증가에 따른 주택 수요 증가, 친환경 및 에너지효율 건물 수요 증가, 여가활동 및 문화욕구 증대에 따른 생활 SOC(체육시설, 도서관, 박물관, 복지시설 등의 사회간접자본) 발주 증가, 3기 신도시 건설 계획 등이 건축목공의 고용에 긍정적 영향을 줄 것이다. 이상과 같이 건축목공의 일자리에 긍정적 요인과 부정적 요인이 혼재되지만, 주택건축 경기의 하락이 예상되기 때문에 건축목공의 고용 전망은 밝지 않은 편이다. 다만, 건설기능 직종은 타 산업에 비해 상용근로자 대비 일용근로자(고용계약기간이 1년 미만인 자) 비율이 높고 연간 근로일수가 적은 특징이 있기 때문에 고용 전망에 있어 사람의 수가 중요한 것이 아니라, 근로자 1인당 실제 근로일수가 더 중요할 수 있다. 즉 금리 상승 가능성이 취업자 수 감소 효과보다는 근로일수를 더 줄이는 효과로 나타날 수 있다. 한식목공의 일자리 전망은 건축목공과는 조금 다르다. 한식목공의 고용은 문화재 예산과 전통 건축에 대한 민간 수요에 영향을 받는다. 문화재수리기술자는 2018년 1,899명(실측설계 92명, 보수 750명 등)으로 전년 대비 2.8% 증가하였고 2013년 1,602명보다 약 297명이 증가하였다. 문화재수리기능자(한식목공 1,573명, 드잡이공 432명, 실측설계사보 504명 등)는 2018년 9,111명 으로 전년 대비 5.5% 증가하였고 2013년 6,988명보다 약 2,122명 증가하였다(문화재청, ‘문화 재수리기술자·기능자 현황’, 2018.7.). 문화재 보수 정비 투입 금액 추이를 보면 2017년 977억 원 으로 전년 대비 44억원 감소하였지만, 2014년에 비해서는 117억원이 증가한 것이다(문화재청, 「통계로 보는 문화유산, 2017」). 최근에는 일반들도 전통건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목조기술이 발전하면서 한옥 신축이 증가하고 있다. 정부도 2017년에 ‘한옥 등 건축자산의 진흥에 관한 법률’을 제정하고 국가한옥센터를 설립하여 한옥산업 육성에 적극 나서고 있다. 그리고 한식목공 분야는 외국인 근로자가 진입하기가 어려운 분야라는 장점이 있다. 한편, 남북경제협력이 본격 추진되거나 통일이 된다면, 건설업에서 가장 많은 일자리가 생겨날 것으로 예상되는데, 건축목공과 한식목공도 북한의 주택건설과 문화재수리 시 기술지도 및 직업 훈련 등에 많은 인력 수요가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상세내용 하단참고
일자리 전망
전망요인 증가요인 감소요인
인구구조 및 노동인구 변화
  • 근로자의 고령화
  • 주택 주 수요층(35~54세)의 감소
가치관과 라이프스타일 변화
  • 인테리어 수요 증가
  • 건강과 환경에 대한 관심 증가로 목조 건축 수요 증가
청년층의 진입 기피
과학기술 발전
  • 목공 장비의 기계화
  • 공장생산 부재의 사용 증가
국내외 경기 주택공급 과잉 및 금리상승 압박에 따른 건축경기 하락
산업특성 및 산업구조 변화 노후 건축물 증가에 따른 유지보수 시장 성장 및 재건축/재개발 증가 구조적 발전단계상 성숙기에 접어든 건설업
법, 제도 및 정부정책
  • 생활SOC 예산 증액(문화체육시설, 복지시설 등), 도시재생 사업 증가
  • 한옥 등 건축자산진흥에 관한 법률 제정으로 한옥 활성화

관련 직업

전통건물건축원, 건축목공, 바닥재시공원(마루설치원·타일부착원), 인테리어목공

분류 코드

한국고용직업분류(KECO) : 7016

한국표준직업분류(KSCO) : 7824

관련 정보처

대한건설협회 1588-6912 www.cak.or.kr

대한전문건설협회 (02)3284-1010 www.kosca.or.kr

문화재청 1600-0064 www.cha.go.kr

실내건축공사업협의회 (02)3284-1111 www.kicc.or.kr

한국건설기술인협회 1577-5445 www.kocea.or.kr

한국목조건축직업전문학교 (063)642-9922 builder.kr

사)한국문화재수리기술자협회 (02)2057-9470 kcprea.org

한국산업인력공단 국가자격시험 홈페이지 1644-8000 www.q-net.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