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1뎁스 2뎁스 3뎁스 현재 페이지

한국직업전망

직업·진로 직업정보 한국직업전망
분류별 검색 > 화학·섬유·환경 및 공예 > 의복제조원 및 수선원
의복제조원 및 수선원

일자리 전망

향후 10년간 취업자 수 전망- 감소:-2% 미만, 다소감소:-2%이상 -1%이하, 현 상태 유지:-1%초과 +1% 미만, 다소증가 1% 이상 2% 이하, 증가:2% 초과 중 다소감소

향후 10년간 의복 제조원 및 수선원의 취업자 수는 다소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 「2016~2026 중장기 인력수급전망」(한국고용정보원, 2017)에 따르면, 재단사, 재봉사, 의복·가죽 및 모피 수선원은 2016년 약 250천 명에서 2026년 약 221천 명으로 향후 10년간 약 29천 명(연평균 1.2%)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

상세내용 하단참고
의복, 의복 액세서리 및 모피제품 제조업 사업체 및 종사자 현황
연도 사업체 수 종사자 수
2008 13,091 133,067
2009 13,128 130,916
2010 13,042 128,261
2011 13,953 133,707
2012 14,690 136,565
2013 14,705 131,214
2014 15,545 132,231
2015 15,519 131,057
2016 15,778 130,110

단위:개소, 명, 자료 : 고용노동부, 사업체노동실태현황

의복, 의복 액세서리 및 모피제품 제조업 사업체 수와 종사자 수 현황을 보면 사업체는 2008년에 비해 2016년에는 20% 증가하였다. 반면 종사자 수는 약 3천명(약 2%) 감소하였다. 사업체의 증가는 전통적인 섬유산업의 쇠락에 맞서 패션산업 및 특수섬유산업 등의 시장이 성장하고 있는 영향으로 해석된다. 섬유제품 제조업의 경우는 많은 의류생산시설(공장)이 노동력이 상대적으로 저렴한 해외로 이전되고 있으며, 2016년 초 개성공단이 폐쇄되면서 국내제조가 더욱 위축되고 있다. 또한 의복, 의복 액세서리 및 모피제품 제조업 종사자는 점차 고령화되고 있다. 2013년에서 2018년 까지 50세 이상의 종사자는 약 17.9%P증가하여 전체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약 절반 이상(58.3%)을 차지하게 되었다. 이와 같이 의류제조 직군에 대한 청년층의 선호가 낮아 이 분야의 청년인력 공급 감소가 예상된다.

상세내용 하단참고
연령별 의복, 의복 액세서리 및 모피제품 제조업 취업자 수 및 비중
연령 취업자 취업자 연평균 증가율
2013 2018 2013 2018 2013~2018
15~29세 23 17 9.2 8.3 -5.2
30~39세 35 21 14.0 10.3 -8.0
40~49세 90 49 36.0 24.0 -9.1
50~59세 78 88 31.2 43.1 2.6
60세 이상 23 31 9.2 15.2 7.0
250 204 100.0 100.0 -3.7

자료 : 통계청 지역별고용조사

또한 봉제기법, 원부자재 등이 개선되고, 제조·생산 분야에도 장비와 첨단기술이 적용되면서 의류 제조도 대량생산, 더 나아가 무인생산도 가능해지고 있어 일자리 수가 다소 줄어들 것으로 예상 된다. 그리고 여가 및 레저활동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아웃도어 및 고기능성 의류에 대한 수요가 커지고 있으나, 기능성 의류는 주로 기계로 제조되기 때문에 의류제조 및 수선원의 고용에는 큰 영향을 미치지 못할 것으로 전망된다. 또한 한복제조의 경우에는 한복을 주로 행사(결혼식, 칠순잔치 등)에서만 입게 되고, 한복 대여 점이 생기면서 한복구입에 대한 수요는 점차 감소하고 있다. 또한 한복제조를 배우려는 청년층이 적어 향후 한복제조원도 다소 감소할 것으로 예상된다. 향후 10년간 의복수선원의 고용은 유지될 것으로 전망된다. 소비자의 가치관에 따라 새로운 옷을 구매하는 것을 선호하기도 하고 또한 기존의 의류를 자기 개성에 맞게 리폼해서 입는 것을 좋아 하기도 한다. 간단한 수선이나 리폼 등도 가정에서 직접 하지 않고 의류수선원에 맡기는 경향은 고용에 긍정적 요인이다. 그러나 전반적으로 소득수준이 향상됨에 따라 의복을 수선하기보다 유행에 맞는 의복을 구입하려는 자가 더 많아지고 있기 때문에 의류를 수선하는 인력은 유지되는 수준에서 다소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

상세내용 하단참고
일자리 전망
전망요인 증가요인 감소요인
인구구조 및 노동인구 변화 고령화
가치관과 라이프스타일 변화 청년층의 진입 기피
기업의 경영전략 변화 의류생산시설 해외 이전

관련 직업

한복제조원, 양장 및 양복제조원, 모피 및 가죽의복제조원, 재봉사, 재단사, 패턴사, 의복·가죽 및 모피수선원, 의복제품검사원

분류 코드

한국고용직업분류(KECO) : 8622 8623 8631 8632 8633 8634 8639

한국표준직업분류(KSCO) : 7212 7213 7221 7222 7223 7224 7229

관련 정보처

한국패션산업협회 (02)460-8357 www.koreafashion.or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