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1뎁스 2뎁스 3뎁스 현재 페이지

한국직업전망

직업·진로 직업정보 한국직업전망
분류별 검색 > 농림어업 > 임업종사자
임업종사자

일자리 전망

향후 10년간 취업자 수 전망- 감소:-2% 미만, 다소감소:-2%이상 -1%이하, 현 상태 유지:-1%초과 +1% 미만, 다소증가 1% 이상 2% 이하, 증가:2% 초과 중 현 상태 유지

향후 10년간 임업 종사자의 고용은 현 상태를 유지할 것으로 전망된다.

상세내용 하단참고
임업 사업체 및 종사자 현황
연도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사업체수 229 295 301 369 369 435 474 466 494
종사자수 3,854 3,507 3,572 4,731 5,229 5,869 5,349 7,022 5,947

단위:개소, 명, 자료 : 고용노동부(2019). 사업체노동실태현황

임업 종사자 수는 2008년 3,854명에서 2016년 5,947명으로 동기간 2,093명(연평균 증가율 6.79%)이 증가하였고, 사업체 수도 2008년 229개에서 2016년 494개로 동기간 약 2배 증가하였다. 임업 종사자 수가 증가하는 이유는 우리나라 숲이 30~50년생이 대부분이어서 간벌 등 숲 가꾸기를 지속적으로 해 주어야 하며, 국산 목재 생산이 매년 증가하고 있기 때문이다. 산림면적은 2005년 6,394천 ha에서 2015년 6,335천 ha로 다소 감소하였지만, 임목축적(ha당 평균재적, 단위면적당 산림의 나무총량)은 2005년 79.2㎡에서 2015년 146.0㎡로 2배 정도 증가하였다. 또한 우리나라의 기온이 상승하면서 참나무시들음병, 솔껍질깍지벌레, 소나무재선충 등 병해충 방제를 위한 인력 수요도 더욱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건강과 힐링에 대한 관심 증가로 산림 휴양에 대한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정부나 지자체, 공공기관, 민간이 조성한 자연휴양림, 산림욕장, 수목원 등이 증가 하고 있어 관련 일자리가 증가할 것이다. 그 외에도 대체에너지(화목보일러 등), 건축자재 등 숲 이용에 대한 개발이 적극 이루어진다면 임업 종사자의 일자리에 긍정적으로 작용할 것이다. 중국 과의 자유무역협정(FTA) 체결은 임업에 부정적 영향도 있으나, 풍부한 산림자원을 활용하여 목제품 등에서 경쟁력을 강화한다면 새로운 일자리 창출이 가능할 것이다.

상세정보 하단참고
임업가구 및 임가인구 현황
연도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임업가구 96,108 94,563 97,941 95,373 95,557 90,510 86,953 83,985
임가인구 253,656 240,108 248,188 235,919 230,534 217,197 204,300 195,489

단위:가구, 명, 자료 : 통계청(2019). 농림어업조사

상세내용 하단참고
임가인구 비중 변화
연도 2010 2017
0~9세 인원수 11,495 6,386
비율 4.53 3.27
10~19세 인원수 21,068 9,455
비율 8.31 4.84
20~29세 인원수 16,333 8,114
비율 6.44 4.15
30~39세 인원수 15,820 7,882
비율 6.24 4.03
40~49세 인원수 31,755 15,669
비율 12.52 8.02
50~59세 인원수 56,109 41,870
비율 22.12 21.42
60~69세 인원수 53,495 52,994
비율 21.09 27.11
70~79세 인원수 36,552 37,838
비율 14.41 19.36
80세 이상 인원수 11,029 15,280
비율 4.35 7.82

단위:명,%, 자료 : 통계청(2019). 농림어업조사

그러나 향후 인력 수요의 증가에도 불구하고, 임업 취업자 수는 현 상태를 유지하는 수준이 될 것이다. 사업체의 증가와는 반대로 임업가구와 임가인구는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임업가구는 2010년 96,108가구에서 2017년 83,985가구로 동기간 약 1만 2천 호(연평균 감소율 1.80%)가 감소하였고, 임가인구도 2010년 253,656명에서 2017년 195,489명으로 동기간 약 5만 8천 명(연평균 감소율 3.28%)이 감소하였다. 이는 청년층이 임업으로의 진입을 기피함에 따라 임가 인구가 고령화되기 때문이다. 20~39세가 전체 임가인구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2010년 12.68%에서 2017년 8.18%로 4.49%p 감소한 반면, 70세 이상이 전체 임가인구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2010년 18.76%에서 2017년 27.17%로 8.41%p 증가하였다.

상세내용 하단참고
일자리 전망
전망요인 증가요인 감소요인
인구구조 및 노동인구 변화 고령화
가치관과 라이프스타일 변화 산림 휴양 수요 증가 청년층의 진입 기피
환경과 에너지 병해충 방제 수요 증가

관련 직업

조림·영림 및 벌목원, 농림어업단순종사원

분류 코드

한국고용직업분류(KECO) : 9031 9039

한국표준직업분류(KSCO) : 6201 6209

관련 정보처

농림축산식품부 110 www.mafra.go.kr

산림청 1588-3249 www.forest.go.kr

한국임업진흥원 1600-3248 www.kofpi.or.kr

국립산림과학원 (02)961-2522 www.kfri.go.kr

한국산림복지진흥원 (042)719-4000 www.fowi.or.kr

산림조합중앙회 임업기능인훈련원 (063)433-6885 www.fwtc.or.kr

산림조합중앙회 임업기술훈련원 (055)382-7247 htttp://tesc.sanrimjohap.co.kr

산림조합중앙회 임업기계훈련원 (033)661-2925 www.forestcenter.or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