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1뎁스 2뎁스 3뎁스 현재 페이지

직업인 인터뷰

직업·진로 직업정보 직업인 인터뷰
'직업인 인터뷰'에는 다양한 분야에서 자신만의 입지를 다지고 널리 이름을 알린 직업인들의 이야기가 담겨있습니다.
이들의 일과 성공에 대한 이야기를 통해 꿈을 찾고 미래를 계획하는 기회가 되길 바랍니다.

워크넷이 만난 사람들 - 생명정보학자 김상우

    

워크넷이 만난 사람들을 영상으로 준비했습니다.

[유튜브에서 영상으로 만나볼까요?(클릭)]

위 영상과 아래 인터뷰 내용은 동일합니다.

 

그림1

 

#1. 생명 탐구의 선구자
안녕하세요. 저는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의생명시스템정보학교실에서 부교수로 재직하고 있는 김상우입니다.

 

그림2



#2. 의대 안의 연구자
Q. 의생명과학부와 의대의 차이?

보통 사람들이 의대라고 하면 보통 의사를 양성하는 대학교라고 생각하는데 의과대학 안에는 의사를 길러내는 프로그램 말고도 의과학이라고 해서 생명과학을 기초로 연구하는 분야들이 많고 저희는 주로 의과학 쪽에 연구를 하고 있다고 보시면 됩니다.

 

 


#3. 생명을 분석하다
Q. 생명정보학자가 하는 일?

생명현상에 대한 데이터를 컴퓨터를 이용해 분석한다고 보시면 되고요. 유전자에 어떤 돌연변이가 있다거나 또는 그 유전자가 어떤 질병에서 제대로 작동하지 않는다거나 하는 것들을 생명 데이터로 생산하고 컴퓨터로 분석하는 일을 한다고 보시면 됩니다.

 

그림3


#4. 생명을 위한 발견
Q. 생명정보학자의 직업적 매력?

연구로써 분석하고, 특히 컴퓨터 화면 안에서 그렇게 분석했던 내용들이 뭔가 실제로 사람들에게 영향을 미친다는 생각이 들었을 때가 가장 보람 있죠. 그래서 실제 연구를 하다 보면 다른 어떤 환자들의 기존에 알고 있지 못 했던 새로운 유전자 돌연변이 같은 걸 찾아내고 그분들이 조금 더 좋은 치료받을 수 있는 그런 힌트가 되었을 때, 연구자로서 가장 뿌듯합니다.

 

그림4


#5. 믹스&매치
Q. 생명정보학자로서 필요한 역량?

아무래도 좀 유연한 생각 그리고 창의적인 생각을 할 수 있는 스킬이 필요합니다. 두가지 서로 다른 분야를 융합해서 하는 것이기 때문에 생각이 한 곳에만 머물러 있으면 그 둘을 뛰어넘기가 어렵습니다. 또 연구를 한다는 측면에서 커뮤니케이션 스킬이 굉장히 중요합니다. 본인이 생각하는 것을 남들에게 논리적으로 잘 전달하고 또 그것을 글로 쓰거나 화면으로 보여 줄 때, 그런 스킬들을 굉장히 많이 요구됩니다.

 

그림5


#6. 만나는 만큼 보인다
Q. 연구 아이디어를 얻는 방법?

가능한 다양한 분야의 사람들과 자주 만나려고 노력을 합니다. 병원에 의사 선생님들, 임상 선생님들 많이 계시잖아요. 그분들과 자주 만나서 얘기를 하다 보면 ‘아, 의료 현장에서는 이런 부분이 굉장히 부족하고 필요하구나.’ 깨닫고 그런 것들에서 아이디어를 얻을 수가 있게 되거든요. 또 다른 기초과학의 전혀 다른 분야의 사람들과도 만나서 서로의 연구분야를 공유하고 거기에서 새로운 해결책을 얻는 아이디어를 얻고자 합니다,


#7. 생명정보학의 미래
Q.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생명정보학?

생명정보학은 제가 생각하기에 생명과학 모든 분야 중에서 가장 비대면이 어울리는 분야입니다. 극단적으로는 연구실에 나와서 연구할 필요도 없어요. 집에 컴퓨터만 있으면 내가 연구하는 서버에 접속해서 똑같이 연구를 할 수 있거든요.
생명정보학에는 굉장히 여러 분야가 있습니다. 여러 가지 많은 생명에 필요한 기본 물질들 DNA나 단백질, 대사물질 같은 것마다 다 똑같이 정보학으로 연결시켜서 연구를 할 수가 있거든요. 전반적으로 이런 생명정보 데이터를 다룰 수 있는 스킬이 있으면, 그런 분야들에 적용하고 가장 흥미를 느끼는 부분을 선택해 연구를 시작해 보는 것도 괜찮을 것 같습니다.

 

그림6



#8. 도전적인 유전자

Q. 생명정보학자를 꿈꾸는 학생들에게

이 분야는 컴퓨터도 잘해야 되고 생명과학에 대한 이해도 풍부해야해서 한 사람이 그 둘 다 잘하기 위해서는 남들보다 더 많은 노력을 할 수밖에 없거든요. 도전정신이 있고 정말로 그 둘을 다 인정받을 만큼 잘하면, 연구자로서 희소가치는 다른 분야에 비해도 훨씬 더 높다고 볼 수 있습니다. 그래서 이런 두 가지에 다 흥미가 있는 분들은 시도해 보고 성취감을 느껴봤으면 좋겠습니다.


 

담당부서 : 미래직업연구팀
담당자 : 이랑, 이유진(1577-71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