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1뎁스 2뎁스 3뎁스 현재 페이지

학과 검색

직업·진로 학과정보 학과 검색
정보보안·보호학과 공학계열 > 정보보안·보호학과
학과
소개

학과의 특성을 개괄적으로 소개합니다.
또한 학과 공부에 필요한 적성이나 흥미, 전공과 관련하여 취득할 수 있는 국가(기술) 자격 및 면허를 소개합니다.

개요

정보보안/보호학과에서는 미래의 정보, 지식사회에 있어서 필수 기반 기술인 정보보호 기술 분야에 있어서 전문 지식과 현장 능력을 갖는 정보보호 전문가 양성을 목적으로 하며, 컴퓨터 및 네트워크 시스템상의 정보에 대한 비밀성, 무결성 및 가용성을 보장하기 위한 이론과 실무를 배우는 학문입니다. 또한 최근에는 기술적 정보보호 영역에 한정되어 있는 교육체계에서 벗어나 보안을 조직경영의 일부로 보는 시각을 가지고 복잡하고 다양한 침해행위로부터 산업자산을 보호하기 위한 학문인 산업보안학과도 개설되었습니다.

적성 및 흥미

수학, 통계학 등에 관심이 있다면 암호해독 등 정보보안분야에 흥미가 있을 수 있습니다. 최근 해킹은 갈수록 지능적이고 첨단화되고 있어서 보안을 위해서는 지속적인 학습과 연구자세가 요구됩니다. 졸업 후 컴퓨터보안전문가로 종사한다면 정보보호 및 보안을 위한 윤리의식과 책임의식도 무척 필요하며 문제점을 찾고 해결하는 업무를 위해 분석적이고 꼼꼼한 성향의 학생에게 어울리는 전공입니다.

관련학과

정보보안학과 , 정보보호학과 , 사이버보안과 , IT 보안과

교과목

‡ 기초과목 : 정보윤리, 정보보호개론, 프로그램기초, 프로그램응용, 정보보안일반, 운영체제론, JAVA 프로그래밍, 데이터베이스, 파일처리론, 현대암호론, 민간경비론, 디지털논리, 이산구조론, 선형대수학, 디지털논리설계, 웹프로그래밍, 현대암호론, C언어, 데이터통신 등
‡ 심화과목 : 보안 프로그래밍, 산업 보안관리, 시스템 보안, 네트워크 보안관리, 정보보안기술, 사이버범죄론, 보안망분석, 컴퓨터네트워크, 데이터베이스보안, 모바일 프로그래밍, 시스템 프로그래밍, 악성코드분석, 소프트웨어설계, 모바일보안프로젝트, 클라우드 컴퓨팅, IoT보안, 지적재산의 보호와관리, 현대암호와 응용, 보안위협탐지 및 분석, 모의해킹 등

취득자격면허

국가자격 : 정보보안기사, 정보보안산업기사
민간자격 : 정보보호전문가(SIS), 정보시스템감리사, 정보보안관제사 등
해외자격 : CISSP, CISA, CHE 등
  • 워크넷 ‘학과정보’에 수록된 주요 교과목이 전국 대학의 개설과목을 대표한다고는 할 수 없습니다.
  • 민간 자격의 경우, 유사자격의 수가 많으므로 특정자격명칭이라기 보다는 관련분야의 민간자격 분야를 의미하는 것이며, 해외자격은 특히
    경영·경제분야, 정보통신분야 등에서 해당직무의 전문성을 보여주는 자격으로서 업계에서 널리 통용되는 것을 기준으로 하였습니다.
담당부서 :미래직업연구팀
담당자 : (1577-71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