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1뎁스 2뎁스 3뎁스 현재 페이지

직업정보 찾기

직업·진로 직업정보 직업정보 찾기
설치·정비·생산직 > 목재·펄프·종이 생산기계 조작원 > 펄프·종이제조장치조작원
펄프·종이제조장치조작원
[직업정보 요약] 1.하는 일, 2.교육/자격/훈련, 3.임금/직업만족도/전망, 4.능력/지식/환경, 5.성격/흥미/가치관, 6.일자리 현황, 7.관련직업
하는 일 식물성 물질, 섬유, 넝마, 고지 등으로 각종 형태의 펄프와 기타 섬유질의 셀룰로오스물질을 제조하는 기기 및 제품을 마무리하는 관련 기기를 조작한다.
교육/자격/훈련 관련학과 관련자격 훈련정보
  • 정확히 일치되는 학과정보가 없습니다.
  • 임산가공기능사, 산업기사(국가기술)
  • 펄프제지기능사(국가기술)
임금/직업만족도/전망 임금 직업만족도 전망
  • 하위(25%) 3,000만원
  • 중위값 3,522만원
  • 상위(25%) 4,172만원
  • 56%
  • 감소 (50%)
  • 현상유지 (37%)
  • 증가 (13%)
능력/지식/환경 업무수행능력 지식 환경
  • 조작 및 통제(88)
  • 작동 점검(87)
  • 장비 선정(87)
  • 품질관리분석(87)
  • 장비의 유지(86)
    상품 제조 및 공정(95)
    기계(94)
    화학(78)
    물리(54)
    공학과 기술(49)
    위험한 장비 노출(99)
    보호장비 착용(98)
    오염물질 노출(98)
    소음 노출(97)
    경미한 화상, 자상, 찔림 등 노출(96)
성격/흥미/가치관 성격 흥미 가치관
    협조(41)
    책임과 진취성(21)
    타인에 대한 배려(18)
    인내(17)
    사회성(15)
    현실형(Realistic)(64)
    관습형(Conventional)(21)
    고용안정(61)
    경제적 보상(57)
    성취(43)
    자율(36)
    타인에 대한 영향(32)
업무활동 중요도 수준
기계장치 제어(99)
기계장비 유지 보수(96)
일반적인 신체활동(94)
물건 조종, 운반(92)
차량, 기계, 장비 작동(88)
기계장치 제어(99)
기계장비 유지 보수(96)
물건 조종, 운반(95)
일반적인 신체활동(94)
차량, 기계, 장비 작동(89)
일자리 현황
펄프·종이제조장치조작원
관련직업

필요기술 및 지식

펄프 및 종이제조작치 조작원으로 활동하기 위해서 특별한 자격을 요하지 않는다. 통상 고졸이상의 학력을 요구하며 기계 등 관련학과 전공자는 유리하다. 주로 펄프가공업체, 골판지, 인쇄용지 등 종이제조업체 등에서 근무하며 일정 경력이 쌓이면 반장 등 관리자로 승진한다.

전문가가 분석한 일자리전망

향후 5년간 펄프 및 종이제조장치조작원의 고용은 현상태를 유지할 것으로 전망된다. 펄프 및 종이제조장치조작원이 주로 활동하고 있는 제지산업은 펄프제조업, 종이 및 판지제조업으로 구성된다. 제지산업은 성숙기에 이미 접어들어 신규 일자리 창출이 쉽지 않다. 온라인 쇼핑 및 택배시장의 확대로 골판지 분야에서 긍정적인 면도 있지만 인터넷, 디지털미디어 발전에 따라 신문용지, 인쇄용지 등에서는 수요가 감소할 것으로 보인다. 장치산업인 제지산업은 이미 시설 자동화가 많이 이루어졌으며 특히 인건비저감 및 기업경쟁력 차원에서 자동화에 초점을 맞출 것으로 보여 인력수요 전망도 밝지 못한 편이다. 또한 중국, 동남아 등 개발도상국들의 저가 공세에 또한 고용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단, 개도국의 경우 높은 경제성장이 기대되고 인구대비 종이, 판지 소비수준이 선진국에 비해 낮은 수준이어서 수요확대 여력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 위의 일자리전망은 직업전문가들이 「중장기인력수급전망」,「정성적 직업전망조사」,「KNOW 재직자조사」등 각종 연구와 조사를 기초로 작성하였습니다.

재직자가 생각하는 일자리전망

< 조사년도: 2021년 >
재직자가 생각하는 일자리전망
감소 다소 감소 유지 다소 증가 증가
13% 37% 37% 13% 0%

※ 위의 그래프는 직업당 평균 30명의 재직자가 해당 직업의 향후 5년간 일자리 변화에 대해 응답한 결과입니다. 직업전문가와 재직자들의 입장과 견해에 따라 일자리 전망에 차이가 있을 수 있으므로, 참고자료로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담당부서 : 미래직업연구팀
담당자 : 이주현, 이혜나(1577-71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