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1뎁스 2뎁스 3뎁스 현재 페이지

직업정보 찾기

직업·진로 직업정보 직업정보 찾기
보건·의료직 > 약사 및 한약사 > 약사
약사

임금

약사 하위(25%) 4,662만원, 중위값 6,500만원, 상위(25%) 7,459만원

※ 위 임금정보는 직업당 평균 30명의 재직자를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로, 재직자의 자기보고에 근거한 통계치입니다. 재직자의 경력, 근무업체의 규모 등에 따라 실제 임금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직업간 비교를 위한 참고자료로 활용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조사년도: 2021년>

직업만족도

약사에 대한 직업 만족도는 76.1% (백점 기준)입니다.

※ 직업만족도는 해당 직업의 일자리 증가 가능성, 발전가능성 및 고용안정에 대해 재직자가 느끼는 생각을 종합하여 100점 만점으로 환산한 값입니다.
<조사년도: 2021년>

전문가가 분석한 일자리전망

향후 5년간 약사의 고용은 다소 증가하는 수준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2015-2025 중장기 인력수급 수정전망」 (한국고용정보원, 2016)에 따르면, 약사 및 한약사는 2015년 약 36.4천 명에서 2025년 약 43.0천 명으로 향후 10년간 6.6천 명(연평균 1.7%)정도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한국보건의료인국가시험원에 의하면 약사면허 취득자는 2016년에는 1,799명, 2015년에는 1,695명이다. 인구의 고령화와 국민소득의 증가 및 신약품의 개발, 약품에 대한 건강보험급여의 확대 등 다양한 요인이 약사의 고용증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아울러 약사의 활동영역이 넓어지면서 다양한 방면에서 약사의 역할이 요구되고 있다. 약사 면허를 취득한 사람 중 여성의 비율(64.3%)이 높기 때문에 결혼이나 출산 등의 이유로 이·전직이 일어나는 경우도 잦고, 일부 지역에서는 약사 채용에 어려움을 겪고 있어 향후에도 대체 수요에 의한 고용이 지속적으로 발생할 것이다. 환자들에게 더욱 안전하고 효과적이며 비용 경제적인 약물요법을 실시하고, 환자 중심의 선진적 약제 서비스를 지속적으로 개발하고 확대해 나가는 과정에서 약사에 대한 수요는 증가할 수밖에 없다. 이뿐 아니라 약사의 활동영역이 다양화되면서 제약회사 및 식품회사의 연구 및 품질개발 분야, 약품의 임상시험관리 분야, 그리고 식약청 등 공공기관에서 행하는 의약품이나 식품 등의 안전관리와 정책입안 등의 분야에서도 약사의 활동이 활발할 것으로 전망된다.

※ 위의 일자리전망은 직업전문가들이 「중장기인력수급전망」,「정성적 직업전망조사」,「KNOW 재직자조사」등 각종 연구와 조사를 기초로 작성하였습니다.

재직자가 생각하는 일자리전망

< 조사년도: 2021년 >
재직자가 생각하는 일자리전망 분포
감소 다소 감소 유지 다소 증가 증가
3% 17% 43% 33% 3%

※ 위의 그래프는 직업당 평균 30명의 재직자가 해당 직업의 향후 5년간 일자리 변화에 대해 응답한 결과입니다. 직업전문가와 재직자들의 입장과 견해에 따라 일자리 전망에 차이가 있을 수 있으므로, 참고자료로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일자리현황

‘약사’ 더 알아보기

  • 한국직업전망

    약사 및 한약사

    약사는 근무처나 하는 일에 따라 불리는 명칭이 다른데, 본인의 약국을 개설하는 약사를 개국약사, 약국에 고용되어 근무하는 약사를 관리약사, 병원에서 근무하는 약사를 병원약사, 식약청 등의 공공기관에서 근무하는 약사를 공직약사, 제약회사나 판매회사에서 근무하는 약사를 제약약사, 유통약사 등으로 부른다. 개국약사, 관리약사 그리고 병원약사는 주로 약국에서 근무하면서 의사가 처방한 약을 지어 환자 에게 제공한다. 환자가 제시한 처방전에 이상이 없는지 확인한 후 약물의 무게와 양을 측...

  • 테마별 찾기

    약사

    수면제. 불면증에 시달리는 사람들이 잠을 잘 수 있도록 도와주는 ‘약’입니다. 그런데 다수의 사람들은 이 약에 좋지 않은 인식을 갖고 있습니다. 정해진 용량보다 더 많이 복용하면 한 사람을 죽음에 이르게 할 수도 있는 것도 약이기 때문입니다. 이 사실은 일반인들도 잘 알고 있기 때문에 병을 치료하는 약임에도 불구하고 왠지 위험한 느낌을 주는 것입니다. 수면제뿐 아니라 많은 약은 ‘양날의 검’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아픈 곳은 치료하지만 다른 부위에는 부작용을 일으키는 경우도 많고, 아주 미세한 용량이라도 과하게 먹으면 위험해지는 약...

  • 대상별 찾기

    해당 직업 정보가 없습니다.

  • 이색직업별 찾기

    해당 직업 정보가 없습니다.

  • 신직업별 찾기

    해당 직업 정보가 없습니다.

  • 동영상

    해당 직업 정보 동영상이 없습니다.

담당부서 : 미래직업연구팀
담당자 : 이주현, 이혜나(1577-71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