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뎁스 2뎁스 3뎁스 현재 페이지

직업정보 찾기

직업·진로 직업정보 직업정보 찾기
경영·사무·금융·보험직 > 정부·공공 행정 사무원 > 관세행정사무원
관세행정사무원

임금

관세행정사무원 하위(25%) 3,108만원, 중위값 3,867만원, 상위(25%) 4,662만원

※ 위 임금정보는 직업당 평균 30명의 재직자를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로, 재직자의 자기보고에 근거한 통계치입니다. 재직자의 경력, 근무업체의 규모 등에 따라 실제 임금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직업간 비교를 위한 참고자료로 활용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조사년도: 2021년>

직업만족도

관세행정사무원에 대한 직업 만족도는 78.4% (백점 기준)입니다.

※ 직업만족도는 해당 직업의 일자리 증가 가능성, 발전가능성 및 고용안정에 대해 재직자가 느끼는 생각을 종합하여 100점 만점으로 환산한 값입니다.
<조사년도: 2021년>

재직자가 생각하는 일자리전망

< 조사년도: 2021년 >

※ 위의 그래프는 직업당 평균 30명의 재직자가 해당 직업의 향후 5년간 일자리 변화에 대해 응답한 결과입니다. 직업전문가와 재직자들의 입장과 견해에 따라 일자리 전망에 차이가 있을 수 있으므로, 참고자료로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전문가가 분석한 일자리전망

(연평균 증감률 %)

-2% 미만: 감소, -2% 이상 -1% 이하: 다소 감소, -1% 초과 1% 미만: 현 상태 유지, 1% 이상 2% 이하: 다소증가, 2% 초과: 증가 중 현 상태 유지에 해당 됨

향후 10년간 관세행정사무원의 일자리는 현 상태를 유지할 것으로 전망된다.

관세행정사무원은 수출 및 수입통관, 환급 등 관련 서류를 작성하고 신청하는 일을 한다. 정부는 그동안 관세 행정의 업무량와 효율화 등을 고려하여 관세직 공무원 선발인원을 조정하여 왔다. 우리나라의 수출입 규모가 커짐에 따라 2019년까지는 150~200명 사이의 일정 규모 이상으로 관세직 공무원을 선발하여 왔다. 하지만 최근 몇 년간은 선발 인원을 줄이고 있는 실정이다. 관세직 9급 공무원의 경우, 2020년 73명(응시대비 34.3대 1), 2021년 57명(응시대비 41.3대 1), 2022년 48명(응시대비 34.4대 1) 2023년 65명(응시대비 20.7대 1)으로 최종 선발인원이 100명 이하로 감소하였다. 다만, 관세직 9급 공무원의 합격 경쟁률은 낮아지고 있다(인사혁신처 사이버국가고시센터의 「국가공무원 9급 공채시험 최종합격자 통계」, 각 연도).

연도별 수출입 규모

(단위 : 백만 달러)

2012년~2022년도의 수출 및 수입 규모
연도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2018 2019 2020 2021 2022
수출 547,870 559,632 572,665 526,757 495,466 573,697 604,860 542,233 512,498 644,400 683,585
수입 519,584 515,585 525,515 436,499 406,193 478,478 535,202 503,343 467,633 615,093 731.370

자료 : 한국무역협회, 무역통계정보시스템

관세직 공무원의 업무와 관련성이 높은 수출입 규모는 2010년대에는 글로벌 경기 상황 등에 따라 등락을 반복하였으나, 2021년 이후에는 증가하고 있다. 국가 간 무역이 멈추는 일은 없으므로 관세행정사무원의 역할은 지속적으로 필요할 것이다. 우리나라의 자유무역협정(FTA, 협정을 체결한 국가 간의 무역장벽이 완화되거나 없어지는 것을 의미) 국가가 늘어나면서 자유무역협정(FTA)국과의 교역이 늘고 수출입이 활발해질 가능성도 있다. 그러나 글로벌 경기침체와 저성장 기조가 장기화될 경우 소비위축, 생산을 위한 자재 이동이 감소됨에 따라 통관업무가 줄어들 가능성도 있고, 코로나19와 같은 예상치 못한 경기침체와 소비위축으로 관세행정사무원의 업무량이 감소할 수 있다. 또 통관 관련 전산화 시스템의 고도화는 관세행정사무원의 고용에 부정적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종합하면, 우리나라의 수출입 규모가 현재 수준을 유지하거나 커질 것으로 예상되지만, 통관 업무의 전산시스템 고도화 등 관세행정사무원의 고용에 부정적 요인도 있어, 관세행정사무원의 일자리는 현 상태를 유지하는 수준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2021년 작성, 2023년 수정)

일자리 전망 요인, 증가 요인, 감소 요인 항목으로 구성
전망 요인 증가 요인 감소 요인
인구구조 및 노동인구의 변화 - -
가치관과 라이프스타일의 변화 - -
과학기술의 발전 -
  • 통관업무 전산화·고도화
국내외 경기 변화
  • 국가 간의 교역량 지속
  • 장기 저성장, 경기침체로 소비위축,교역량 감소
기업 등의 경영전략 변화 - -
산업 특성 및 산업구조의 변화 - -
환경과 에너지, 자원 - -
법·제도 및 정부 정책 - -
기타 요인 - -

※ 위의 일자리전망은 직업전문가들이 「중장기인력수급전망」,「정성적 직업전망조사」,「KNOW 재직자조사」등 각종 연구와 조사를 기초로 작성하였습니다.

일자리현황

‘관세행정사무원’ 더 알아보기

  • 한국직업전망

    해당 직업 정보가 없습니다.

  • 테마별 찾기

    공항세관원

    공항은 사람들이 설레는 가슴을 안고 여행을 떠나는 곳이기도 하고 유학에서 돌아온 자녀를 부모가 반가움의 눈물로 맞이하는 곳이기도 하지만 크고 작은 불법이 자행되는 곳이기도 합니다. 마약을 비롯한 갖가지 밀수품을 들여오는 조직폭력배부터, 세금을 내지 않은 명품가방을 숨겨오는 사람까지. 특히나 밀수품 문제는 국가의 관세수입을 떨어뜨릴 뿐만 아니라 심각할 경우 한 국가의 안전을 위협할 수도 있기 때문에 철저한 관리가 필요한 부분입니다. 밀수품이 국가의 안전을 위협하는 건 지나치게 과장된 이야기가 아니냐고요? 전혀요. 전쟁까지 일어난 걸요...

  • 대상별 찾기

    해당 직업 정보가 없습니다.

  • 이색직업별 찾기

    해당 직업 정보가 없습니다.

  • 신직업별 찾기

    해당 직업 정보가 없습니다.

  • 동영상

    해당 직업 정보 동영상이 없습니다.

담당부서 : 미래직업연구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