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뎁스 2뎁스 3뎁스 현재 페이지

직업정보 찾기

직업·진로 직업정보 직업정보 찾기
경영·사무·금융·보험직 > 무역·운송·생산·품질 사무원 > 도로운송사무원
도로운송사무원

임금

도로운송사무원 하위(25%) 3,250만원, 중위값 3,690만원, 상위(25%) 3,968만원

※ 위 임금정보는 직업당 평균 30명의 재직자를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로, 재직자의 자기보고에 근거한 통계치입니다. 재직자의 경력, 근무업체의 규모 등에 따라 실제 임금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직업간 비교를 위한 참고자료로 활용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조사년도: 2021년>

직업만족도

도로운송사무원에 대한 직업 만족도는 62.3% (백점 기준)입니다.

※ 직업만족도는 해당 직업의 일자리 증가 가능성, 발전가능성 및 고용안정에 대해 재직자가 느끼는 생각을 종합하여 100점 만점으로 환산한 값입니다.
<조사년도: 2021년>

재직자가 생각하는 일자리전망

< 조사년도: 2021년 >

※ 위의 그래프는 직업당 평균 30명의 재직자가 해당 직업의 향후 5년간 일자리 변화에 대해 응답한 결과입니다. 직업전문가와 재직자들의 입장과 견해에 따라 일자리 전망에 차이가 있을 수 있으므로, 참고자료로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전문가가 분석한 일자리전망

(연평균 증감률 %)

-2% 미만: 감소, -2% 이상 -1% 이하: 다소 감소, -1% 초과 1% 미만: 현 상태 유지, 1% 이상 2% 이하: 다소증가, 2% 초과: 증가 중 현 상태 유지에 해당 됨

향후 10년간 도로운송사무원의 일자리는 현 상태를 유지할 것으로 전망된다.

도로운송사무원은 도로운송사업체에서 버스, 택시 등 여객 차량이나 트럭, 트레일러 등 화물차량의 노선계획과 운행시간을 설정하고, 차량 배차와 운전사 배치, 화물의 적재, 하역작업 등 운영상의 서비스와 관련된 계획을 수립하거나 자료를 작성하는 일을 한다. 도로운송사무원의 일자리는 도로운송업의 성장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국토교통부의 「2022 국토교통 통계연보」에 따르면, 도로운송 여객 수송량과 화물 수송량은 2015~2019년 동안, 지속적 증가세를 보여 왔다. 다만, 2020년도에는 여객 및 화물 수송량 모두 큰 폭으로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코로나19 팬데믹에 따른 영향으로 보인다.

도로운송 여객?화물수송량

(단위 : 여객(천 인), 화물(천 톤))

2015년~2020년도의 여객, 화물 수송량
구분 2015 2016 2017 2018 2019 2020
여객 27,193,794 28,090,713 28,192,366 28,409,618 28,649,339 25,361,540
화물 1,761,291 1,799,666 1,854,011 1,895,686 1,847,241 1,788,917

자료 : 국토교통부, 「2022 국토교통통계연보」 (2023)

전자상거래 시장이 성장하고, 제3자물류(3PL, 물류전문업체에게 물류 전반의 업무를 위탁하여 처리하는 것)가 확대되면서 육상운송은 앞으로 지속적인 성장할 것으로 보인다. 온라인쇼핑이 확대되고, 거래방식과 물품의 범위가 다양해지면서 소규모의 개인화된 물류 서비스가 증가하고 있다. 또한, 고유가 영향 및 환승할인 확대 등으로 인해 대중교통 수요가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여서 향후 도로운송사무원의 수요 증가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운송산업은 경제환경에 민감하게 영향을 받는 분야로 국내외 경기의 장기침체가 계속되거나 수출입 물량 감소, 해외 물류업체의 국내 진출 증가로 인해 예상되는 국내 중소업체의 수익성 악화 등은 도로운송사무원의 고용감소를 가져오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도 있다. 또한 운송 사무가 전산화?자동화되면서 예전에 비해 인력 수요가 줄어들고 있다. 정보통신기술(ICT)을 활용한 운송?보관?정보처리 등 체계화된 물류정보관리 시스템이 도입되고 있다. 최근에는 텔레매틱스(Telematics, 무선 차량 진단 기술)와 같은 기술 도입으로 단말기를 통해 운전자와 서비스센터의 상호 소통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어 차량 관리에 필요한 비용을 줄이고, 경로 최적화를 통해 유류비를 절감할 수 있다. 글로벌 물류기업의 국내 진출 가속, 화주와 포워더를 연결하는 국제물류플랫폼 서비스 활성화 등 대내외적인 환경의 급변도 향후 도로운송사무원의 고용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정부도 글로벌 물류경쟁력 10위 달성을 목표로 지속가능한 물류산업 환경 조성, 공유?연계 인프라 및 네트워크 구축, 스마트 물류시스템 및 디지털 전환 지원 등의 내용이 담긴 ‘제5차 국가물류기본계획’(2021~2030)을 수립하여 물류산업의 현대화를 추진하고 있다. 장기적으로는 자율주행기술, 인공지능(AI) 시스템 도입 등이 도로운송사무원 인력을 대체할 가능성이 있다.

종합하면, 대중교통 이용객 증가, 전자상거래 시장 성장, 제3자물류(3PL) 서비스 확대 등은 도로운송사무원의 증가 요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보이지만, 기술발달에 따른 물류정보 관리시스템의 자동화 및 지능화로 운송사무원의 수요가 예전보다 감소할 수 있어 향후 10년간 도로운송사무원의 일자리는 현 상태를 유지할 것으로 전망된다. (2020년 작성, 2023년 수정)

일자리 전망 요인, 증가 요인, 감소 요인 항목으로 구성
전망 요인 증가 요인 감소 요인
인구구조 및 노동인구의 변화 - -
가치관과 라이프스타일의 변화
  • 대중교통 이용객 증가
-
과학기술의 발전
  • 전자상거래 시장 성장
  • 운송 시스템 자동화?지능화
국내외 경기 변화 - -
기업 등의 경영전략 변화
  • 제3자물류(3PL) 서비스 확대
-
산업 특성 및 산업구조의 변화 - -
환경과 에너지, 자원 - -
법·제도 및 정부 정책 -
  • 스마트 물류시스템 및 디지털 전환 지원
기타 요인 - -

※ 위의 일자리전망은 직업전문가들이 「중장기인력수급전망」,「정성적 직업전망조사」,「KNOW 재직자조사」등 각종 연구와 조사를 기초로 작성하였습니다.

일자리현황

‘도로운송사무원’ 더 알아보기

  • 한국직업전망

    무역사무원

    무역사무원은 해외 수출입 계약거래 등 무역 사무 전반에 관한 업무를 처리한다. 주로 무역 절차의 흐름을 파악하여 수출입 거래에 필요한 자료나 정보를 정리하고, 계약상 필요한 서류 등을 작성하며 거래에 필요한 데이터나 정보를 정리한다. 무역사무원은 수출 시 수출 대상기업과의 계약서를 작성하게 되는데, 계약내용(거래금액, 수출 수량, 단가, 수송수단, 납기, 보험, 결제방법 등)을 계약서의 형식이나 법규에 따라 문서로 작성 한다. 수입을 할 때에도 수출과 마찬가지로 수입대금의 결제,...

  • 테마별 찾기

    해당 직업 정보가 없습니다.

  • 대상별 찾기

    해당 직업 정보가 없습니다.

  • 이색직업별 찾기

    해당 직업 정보가 없습니다.

  • 신직업별 찾기

    해당 직업 정보가 없습니다.

  • 동영상

    해당 직업 정보 동영상이 없습니다.

담당부서 : 미래직업연구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