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뎁스 2뎁스 3뎁스 현재 페이지

직업정보 찾기

직업·진로 직업정보 직업정보 찾기
경영·사무·금융·보험직 > 무역·운송·생산·품질 사무원 > 철도·지하철운송사무원
철도·지하철운송사무원

임금

철도·지하철운송사무원 하위(25%) 4,144만원, 중위값 4,556만원, 상위(25%) 5,698만원

※ 위 임금정보는 직업당 평균 30명의 재직자를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로, 재직자의 자기보고에 근거한 통계치입니다. 재직자의 경력, 근무업체의 규모 등에 따라 실제 임금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직업간 비교를 위한 참고자료로 활용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조사년도: 2021년>

직업만족도

철도·지하철운송사무원에 대한 직업 만족도는 74.3% (백점 기준)입니다.

※ 직업만족도는 해당 직업의 일자리 증가 가능성, 발전가능성 및 고용안정에 대해 재직자가 느끼는 생각을 종합하여 100점 만점으로 환산한 값입니다.
<조사년도: 2021년>

재직자가 생각하는 일자리전망

< 조사년도: 2021년 >

※ 위의 그래프는 직업당 평균 30명의 재직자가 해당 직업의 향후 5년간 일자리 변화에 대해 응답한 결과입니다. 직업전문가와 재직자들의 입장과 견해에 따라 일자리 전망에 차이가 있을 수 있으므로, 참고자료로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전문가가 분석한 일자리전망

(연평균 증감률 %)

-2% 미만: 감소, -2% 이상 -1% 이하: 다소 감소, -1% 초과 1% 미만: 현 상태 유지, 1% 이상 2% 이하: 다소증가, 2% 초과: 증가 중 현 상태 유지에 해당 됨

향후 10년간 철도?지하철운송사무원의 일자리는 현 상태를 유지할 것으로 전망된다.

철도?지하철운송사무원은 철도 및 지하철 운송 사업체에서 열차의 운행시간, 노선, 승무원 배정 및 지도와 화물의 크기 및 중량을 파악하여 적재량을 계산하고 작업원에게 할당하는 일을 한다. 철도?지하철운송사무원의 일자리는 철도운송업의 성장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국토교통부의 「2022 국토교통 통계연보」에 따르면, 철도 및 지하철운송 여객 수송량은 2015~2019년 동안, 지속적 증가세를 보여 왔으나(2020년도는 코로나19 팬데믹의 영향으로 큰 폭으로 감소), 화물 수송량은 동 기간 계속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철도?지하철 여객?화물수송량

(단위 : 여객(천 인), 화물(천 톤))

2015년~2020년도의 철도, 지하철의 여객 및 화물 수송량
구분 2015 2016 2017 2018 2019 2020
철도 여객 1,269,416 1,449,534 1,490,319 1,521,590 1,570,414 1,122,872
화물 37,094 32,555 31,670 30,915 28,664 26,277
지하철 여객 2,522,900 3,572,127 3,604,711 3,618,351 3,705,150 2,677,581

자료 : 국토교통부, 「2022 국토교통통계연보」 (2023)

고속전철 이용객의 증가와 더불어 교통난 해소, 지역 간 빠른 이동, 국가균형발전 등을 위해 정부 차원에서 ‘제5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2026~2035)’을 통해 국가철도망을 구축하고 있어 철도?지하철운송사무원의 고용에 긍정적 요인으로 작용할 전망이다. 그러나 운송산업은 경제환경에 민감하게 영향을 받는 분야로 국내외 경기의 장기침체가 계속되거나 수출입 물량 감소, 해외 물류업체의 국내 진출 증가로 인해 예상되는 국내 중소업체의 수익성 악화 등은 운송사무원의 고용감소를 가져오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글로벌 물류기업의 국내 진출 가속, 화주와 포워더를 연결하는 국제물류플랫폼 서비스 활성화 등 대내외적인 환경의 급변도 향후 운송사무원의 고용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기존 새마을?무궁화호 등의 일반열차와 화물 부문에서의 지속적인 적자가 발생하고 있어서 경영효율화를 위해 인력을 감축할 가능성도 있다. 또한 운송 사무가 전산화?자동화되면서 예전에 비해 인력 수요가 줄어들고 있다. 정보통신기술(ICT)을 활용한 운송?보관?정보처리 등 체계화된 물류정보관리 시스템의 도입으로 철도?지하철운송사무원의 업무량과 업무 시간이 감소할 수 있다. 장기적으로는 자율주행기술, 인공지능(AI) 시스템 도입 등이 운송사무원 인력을 대체할 가능성이 있다.

종합하면, 철도 및 지하철 이용객 증가, 정부 차원에서의 국가철도망 구축 추진 등은 운송사무원의 증가요인으로 작용하지만, 운송시스템의 자동화?지능화, 일반열차 및 화물 부문에서의 적자 등으로 인력 수요 감소가 예상되므로 향후 10년간 철도?지하철운송사무원의 일자리는 현 상태를 유지할 것으로 전망된다. (2020년 작성, 2023년 수정)

일자리 전망 요인, 증가 요인, 감소 요인 항목으로 구성
전망 요인 증가 요인 감소 요인
인구구조 및 노동인구의 변화 - -
가치관과 라이프스타일의 변화
  • 철도 및 지하철 이용객 증가
-
과학기술의 발전 -
  • 운송 시스템 자동화?지능화
국내외 경기 변화 - -
기업 등의 경영전략 변화 -
  • 일반열차와 화물 부문에서의 지속적인 적자 발생
산업 특성 및 산업구조의 변화 - -
환경과 에너지, 자원 - -
법·제도 및 정부 정책
  • ‘제5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2026~2035) 추진
-
기타 요인 - -

※ 위의 일자리전망은 직업전문가들이 「중장기인력수급전망」,「정성적 직업전망조사」,「KNOW 재직자조사」등 각종 연구와 조사를 기초로 작성하였습니다.

일자리현황

‘철도·지하철운송사무원’ 더 알아보기

  • 한국직업전망

    무역사무원

    무역사무원은 해외 수출입 계약거래 등 무역 사무 전반에 관한 업무를 처리한다. 주로 무역 절차의 흐름을 파악하여 수출입 거래에 필요한 자료나 정보를 정리하고, 계약상 필요한 서류 등을 작성하며 거래에 필요한 데이터나 정보를 정리한다. 무역사무원은 수출 시 수출 대상기업과의 계약서를 작성하게 되는데, 계약내용(거래금액, 수출 수량, 단가, 수송수단, 납기, 보험, 결제방법 등)을 계약서의 형식이나 법규에 따라 문서로 작성 한다. 수입을 할 때에도 수출과 마찬가지로 수입대금의 결제,...

  • 테마별 찾기

    해당 직업 정보가 없습니다.

  • 대상별 찾기

    해당 직업 정보가 없습니다.

  • 이색직업별 찾기

    해당 직업 정보가 없습니다.

  • 신직업별 찾기

    해당 직업 정보가 없습니다.

  • 동영상

    해당 직업 정보 동영상이 없습니다.

담당부서 : 미래직업연구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