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뎁스 2뎁스 3뎁스 현재 페이지

직업정보 찾기

직업·진로 직업정보 직업정보 찾기
경영·사무·금융·보험직 > 금융·보험 사무원 > 신용추심원
신용추심원

임금

신용추심원 하위(25%) 3,626만원, 중위값 4,100만원, 상위(25%) 4,507만원

※ 위 임금정보는 직업당 평균 30명의 재직자를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로, 재직자의 자기보고에 근거한 통계치입니다. 재직자의 경력, 근무업체의 규모 등에 따라 실제 임금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직업간 비교를 위한 참고자료로 활용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조사년도: 2021년>

직업만족도

신용추심원에 대한 직업 만족도는 66.4% (백점 기준)입니다.

※ 직업만족도는 해당 직업의 일자리 증가 가능성, 발전가능성 및 고용안정에 대해 재직자가 느끼는 생각을 종합하여 100점 만점으로 환산한 값입니다.
<조사년도: 2021년>

재직자가 생각하는 일자리전망

< 조사년도: 2021년 >

※ 위의 그래프는 직업당 평균 30명의 재직자가 해당 직업의 향후 5년간 일자리 변화에 대해 응답한 결과입니다. 직업전문가와 재직자들의 입장과 견해에 따라 일자리 전망에 차이가 있을 수 있으므로, 참고자료로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전문가가 분석한 일자리전망

(연평균 증감률 %)

-2% 미만: 감소, -2% 이상 -1% 이하: 다소 감소, -1% 초과 1% 미만: 현 상태 유지, 1% 이상 2% 이하: 다소증가, 2% 초과: 증가 중 현 상태 유지에 해당 됨

향후 10년간 신용추심원(채권관리원)의 일자리는 현 상태를 유지할 전망이다.

신용추심원은 각종 은행, 종금사, 카드사, 신용정보기관 등에서 채권자의 위임을 받아 추심(채무자가 빚을 갚지 않을 경우 받아내는 일)과 관련한 업무를 담당한다. 우리나라의 경제 규모가 커지면서 신용대출 규모도 점차 커지고 있고, 상거래가 존재하는 한 채권추심 업무는 계속해서 발생하므로 신용추심원에 대한 수요는 꾸준한 편이다. 경기 부진은 부실채권을 증가시키면서 채무자의 상환 능력을 떨어뜨리므로 채권추심 업무는 경기 동향과 연관성이 크다. 통계청의 「2022 한국의 사회지표」(2023)에 따르면 2022년 3월 말 기준 가구당 평균 부채는 9,170만 원으로 매년 증가하는 추세이다. 특히 기업 대출 증가와 더불어 부채 비율 상승, 금리 인상에 따른 이자 상환 부담 확대로 인한 신용불량자 증가 추세가 계속되고 있고(한국은행의 「금융안정보고서」), 최근 언론보도에 따르면, 신용카드연체금이나 대출 연체율이 상승하고 있어, 연체금 회수 업무가 증가하고 있는 것은 신용추심원의 일자리 증가를 가져올 것으로 보인다.

연도별 가계 부채*

(단위 : 만 원)

연도별 가계 부채로 2017년~2022년도의 금융부채, 임대보증금, 합계 항목으로 구성
구분 합계 금융부채 임대보증금
2017 7,099 5,041 2,058
2018 7,668 5,539 2,129
2019 7,910 5,755 2,155
2020 8,256 6,050 2,207
2021 8,801 6,518 2,283
2022 9,170 6,803 2,367

자료 : 통계청, 「2022 한국의 사회지표」(2023)
주: 전체 가구 평균임

연도별 신용카드 이용실적

(단위 : 천 개, 십억 원)

연도별 신용카드 이용실적으로 신용,체크 카드수와 신용(일반, 할부, 현금서비스, 합계)카드와 체크카드의 이용금액 항목으로 구성
구분 카드 수 이용금액
신용 체크 신용 체크
일반 할부 현금서비스 합계
2015 93,095 105,278 435,612 99,319 59,503 594,434 130,461
2016 95,639 108,476 489,443 106,589 59,328 655,360 149,945
2017 99,462 110,458 512,081 115,260 59,266 686,607 160,758
2018 105,063 111,425 539,285 124,729 60,768 724,782 168,603
2019 110,976 110,701 572,184 128,768 59,124 760,076 173,696
2020 113,729 110,019 572,943 132,303 54,084 759,330 172,025
2021 117,689 106,090 634,315 144,719 55,138 834,173 181,565
2022 124,172 105,090 728,183 155,771 57,411 941,364 192,558

자료 : 여신금융협회, 「연도별 신용카드 이용실적」

그러나 금융기관의 채권관리부서 소속의 신용추심원의 경우, 금융업무의 전산화와 효율성 강화로 인력 채용은 줄었지만, 1인당 업무량은 증가하였으며, 향후 인력 충원도 제한될 것으로 보인다. 또한 현재 채권추심업은 금융기관 50% 이상 출자, 최소자본금 30억 원 등의 요건을 충족한 후에 금융위원회 허가를 취득해야 하므로 진입 장벽이 높아 관련 일자리 증가를 크게 기대하기는 어렵다.

종합하면, 기업의 부채 비율 증가, 신용불량자 증가 등 신용추심원의 일자리 증가에 긍정적 요인이 있지만, 금융업무의 전산화와 효율성 강화, 채권추심업 신규 진입의 제한 등의 영향으로 향후 10년간 신용추심원의 일자리는 현 상태를 유지할 전망이다. (2023년 작성)

일자리 전망 요인, 증가 요인, 감소 요인 항목으로 구성
전망 요인 증가 요인 감소 요인
인구구조 및 노동인구의 변화 - -
가치관과 라이프스타일의 변화
  • 신용불량자 증가
-
과학기술의 발전 -
  • 금융업무 전산화
국내외 경기 변화 - -
기업 등의 경영전략 변화
  • 부채 비율 증가
  • 기업의 효율성 강화
산업 특성 및 산업구조의 변화 -
  • 채권추심업 신규 진입 어려움
환경과 에너지, 자원 - -
법·제도 및 정부 정책 - -
기타 요인 - -

※ 위의 일자리전망은 직업전문가들이 「중장기인력수급전망」,「정성적 직업전망조사」,「KNOW 재직자조사」등 각종 연구와 조사를 기초로 작성하였습니다.

일자리현황

‘신용추심원’ 더 알아보기

  • 한국직업전망

    금융 및 보험관련사무원

    출납창구사무원은 일반은행, 저축은행, 신협, 우체국 등에서 고객을 대상으로 예금 및 출금 업무, 예금의 신규 및 해약, 공과금 수납 업무 등의 금융서비스를 수행한다. 금융관련 사무원은 금융기관에서 기업이나 일반 고객을 대상으로 금융 거래와 관련된 사무 업무를 수행한다. 금융정책을 수립하거나 여수신업무 등과 관련한 각종 규정과 금융약관의 제정 및 해석, 금융상품 개발, 자금조달, 리스크관리, 여신심사 및 사후관리 등의 업무에 종사한다. 보험사무원은 보험회사에서 자동차, 화재, ...

  • 테마별 찾기

    해당 직업 정보가 없습니다.

  • 대상별 찾기

    해당 직업 정보가 없습니다.

  • 이색직업별 찾기

    해당 직업 정보가 없습니다.

  • 신직업별 찾기

    해당 직업 정보가 없습니다.

  • 동영상

    해당 직업 정보 동영상이 없습니다.

담당부서 : 미래직업연구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