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임금
※ 위 임금정보는 직업당 평균 30명의 재직자를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로, 재직자의 자기보고에 근거한 통계치입니다. 재직자의 경력, 근무업체의 규모 등에 따라 실제 임금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직업간 비교를 위한 참고자료로 활용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조사년도: 2021년>
직업만족도
※ 직업만족도는 해당 직업의 일자리 증가 가능성, 발전가능성 및 고용안정에 대해 재직자가 느끼는 생각을 종합하여 100점 만점으로 환산한 값입니다.
<조사년도: 2021년>
재직자가 생각하는 일자리전망
※ 위의 그래프는 직업당 평균 30명의 재직자가 해당 직업의 향후 5년간 일자리 변화에 대해 응답한 결과입니다. 직업전문가와 재직자들의 입장과 견해에 따라 일자리 전망에 차이가 있을 수 있으므로, 참고자료로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전문가가 분석한 일자리전망
(연평균 증감률 %)
향후 10년간 통신기술개발자의 일자리는 현 상태를 유지할 것으로 전망된다.
통신기술개발자는 통신에 관한 지식을 이용하여 통신방법, 통신망 설계와 구현을 연구?개발하는 일을 한다. 통계청의 「전국사업체조사」 자료에 의하면, 통신기술개발자가 주로 종사하는 전기통신업 관련 사업체 수는 2016년 1,633개에서 2019년 1,403개로 230개(?14.1%) 감소하였고, 종사자 수는 2016년 43,250명에서 2019년 42,244명으로 1,006명(?2.3%)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기통신업 관련 사업체 및 종사자 수 감소는 우리나라 통신서비스 시장의 성장 정체를 대변하는 것으로 보인다. 정보통신정책연구원이 발표한 「ICT 산업 중장기 전망(2022~2026) 및 대응 전략」(2021)을 보아도 통신서비스 분야는 2022∼2026년 동안 1.6% 성장에 그칠 것으로 전망되었다. 산업통상자원부의 「2022 산업기술인력 수급 실태조사」(2022)를 살펴보면, 2021년 통신공학기술자 및 연구원의 부족 인원(117명, 1.9%)이 매우 적은 것으로 나타나는데, 이것도 통신서비스 관련 종사자의 감소 추세와 같은 맥락으로 이해된다.
통신서비스 중장기 매출 전망
(단위 : 조 원)
연도 | 2020 | 2021 | 2022 | 2023 | 2024 | 2025 | 2026 | 2022~2026 CACR |
---|---|---|---|---|---|---|---|---|
유선통신 | 10.1 (-0.3%) |
10.2 (0.4%) |
10.2 (0.4%) |
10.2 (0.4%) |
10.3 (0.4%) |
10.3 (0.4%) |
10.4 (0.4%) |
0.4% |
무선통신 | 24.8 (3.0%) |
25.5 (2.8%) |
26.2 (2.6%) |
26.8 (2.4%) |
27.4 (2.2%) |
27.9 (2.0%) |
28.4 (1.8%) |
2.2% |
기타 | 2.1 (-3.8%) |
2.3 (6.0%) |
2.3 (2.0%) |
2.4 (1.8%) |
2.4 (1.7%) |
2.4 (1.6%) |
2.5 (1.4%) |
1.6% |
합계 | 37.1 (1.7%) |
37.9 (2.3%) |
38.7 (2.0%) |
39.4 (1.8%) |
40.1 (1.7%) |
40.7 (1.6%) |
41.3 (1.4%) |
1.6% |
주: ( )는 전년 대비 증감률
자료 : 정보통신정책연구원, 「ICT 산업 중장기 전망(2022~2026) 및 대응 전략」(2021)
그동안 국내 통신 관련 산업은 지속적으로 발전해 왔다. 통신망의 발달로 이동성과 휴대가 간편한 스마트폰과 태블릿PC를 비롯한 다양한 형태의 스마트 기기가 폭발적으로 증가하면서 모바일 트래픽의 해소를 위해 주파수 대역폭 확대가 요구되고 있지만, 초고속인터넷망 서비스 이용자나 이동전화 이용자 수가 다른 나라에 비해 빠르게 증가하였고, 이제는 성장 정체기에 들어선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인플레이션에 따른 경기 위축으로 기업의 투자 위축이 예상되며, 장기적으로는 인구감소로 인한 통신망 운용 서비스 감소가 예상됨에 따라 관련 일자리 창출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하지만, 2018년 12월 최초로 서비스가 개시된 5세대(5G) 이동통신 사업은 스마트시티, 자율주행차, 스마트홈, 스마트팩토리 등 다양한 산업과 융합하여 새로운 사업 모델을 선보일 것으로 예상된다. 최근 통신업계는 인공지능(AI) 비서를 활용하여 가전제품이나 미디어와 연계된 새로운 부가서비스를 개발하는 것에 관심을 두고 있으며, 사물인터넷(IoT) 등 네트워크와 관련한 기술개발과 휴대성이 강화된 모바일 환경의 무선통신 전문 인력에 대한 수요가 향후 높을 것으로 예상된다. 무선통신은 유선에 비해 상대적으로 보안이 취약하므로 모바일, 클라우드 컴퓨팅 보안과 관련한 전문 인력 수요는 앞으로도 지속적일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차세대 통신망인 6세대 이동통신(6G) 기술 개발을 위한 연구가 진행되면서 통신기술개발자의 일자리에 긍정적인 요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예상된다. 정부에서도 6G 글로벌 주도권을 확보와 차세대 네트워크의 경쟁력 강화를 위하여 6G 기술개발을 지원하고 있는 점도 관련 일자리 증가에 긍정적이다.
종합하면, 통신 관련 산업이 정체기에 들어서고, 인플레이션에 따른 경기 위축으로 기업투자의 축소가 예상되지만, 정보통신과 신산업과의 융합, 6G 기술 개발에 따른 인력 수요 등의 영향으로 향후 10년간 통신기술개발자의 일자리는 현 상태를 유지할 것으로 전망된다. (2022년 작성)
전망 요인 | 증가 요인 | 감소 요인 |
---|---|---|
인구구조 및 노동인구의 변화 | - |
|
가치관과 라이프스타일의 변화 | - | - |
과학기술의 발전 |
|
- |
국내외 경기 변화 | - |
|
기업 등의 경영전략 변화 | - | - |
산업 특성 및 산업구조의 변화 |
|
- |
환경과 에너지, 자원 | - | - |
법·제도 및 정부 정책 | - | - |
기타 요인 | - | - |
※ 위의 일자리전망은 직업전문가들이 「중장기인력수급전망」,「정성적 직업전망조사」,「KNOW 재직자조사」등 각종 연구와 조사를 기초로 작성하였습니다.
일자리현황
한국직업전망
통신공학기술자 및 연구원은 휴대폰, 인터폰, 전화기, 디지털수신기 등의 통신기기를 제작하기 위해 주파수별·용량별 회로도를 설계하고 기기를 개발한다. 또한, 통신과 전자적 지식을 활용하여 네트워크, 무선, 유선 통신에 이용하는 교환기, 전송기, VMS장비, SMS장비, ADSL장비, 광통신 기기 등 통신장비를 설계하거나 핵심부품을 개발한다. 통신에 관한 지식을 활용하여 CDMA, FDMA, TDMA, OFMDA 등 통신방법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고 통신기술을 이용하여 각종 제품을...
테마별 찾기
K씨는 하루 종일 컴퓨터로 작업하는 사무직 근로자지만, 디스크를 겪고 있는 사무실 동료들과는 달리 목과 허리가 매우 건강해요. 몇 년 전부터 벨트 안에 작은 센서가 삽입되어 있어서 자세가 바르지 않으면 진동을 통해 경고를 주는 스마트 벨트를 구입해서 사용하고 있기 때문이죠. 이러한 기술은 사물인터넷 덕분인데요, 사물인터넷(IoT·Internet of Things)이란 사물에 컴퓨터 칩과 통신 기능을 내장하여 인터넷에 연결하는 기술을 의미합니다. 스마트폰과 TV, 노트북 등 네트워크 기기를 서로 연결해 정보를 주고받는 사람이라면 이미...
대상별 찾기
해당 직업 정보가 없습니다.
이색직업별 찾기
해당 직업 정보가 없습니다.
신직업별 찾기
해당 직업 정보가 없습니다.
동영상
해당 직업 정보 동영상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