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뎁스 2뎁스 3뎁스 현재 페이지

직업정보 찾기

직업·진로 직업정보 직업정보 찾기
연구직 및 공학 기술직 > 통신·방송송출 장비 기사 > 통신장비기사
통신장비기사

임금

통신장비기사 하위(25%) 3,358만원, 중위값 3,937만원, 상위(25%) 4,477만원

※ 위 임금정보는 직업당 평균 30명의 재직자를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로, 재직자의 자기보고에 근거한 통계치입니다. 재직자의 경력, 근무업체의 규모 등에 따라 실제 임금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직업간 비교를 위한 참고자료로 활용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조사년도: 2021년>

직업만족도

통신장비기사에 대한 직업 만족도는 67.8% (백점 기준)입니다.

※ 직업만족도는 해당 직업의 일자리 증가 가능성, 발전가능성 및 고용안정에 대해 재직자가 느끼는 생각을 종합하여 100점 만점으로 환산한 값입니다.
<조사년도: 2021년>

재직자가 생각하는 일자리전망

< 조사년도: 2021년 >

※ 위의 그래프는 직업당 평균 30명의 재직자가 해당 직업의 향후 5년간 일자리 변화에 대해 응답한 결과입니다. 직업전문가와 재직자들의 입장과 견해에 따라 일자리 전망에 차이가 있을 수 있으므로, 참고자료로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전문가가 분석한 일자리전망

(연평균 증감률 %)

-2% 미만: 감소, -2% 이상 -1% 이하: 다소 감소, -1% 초과 1% 미만: 현 상태 유지, 1% 이상 2% 이하: 다소증가, 2% 초과: 증가 중 현 상태 유지에 해당 됨

향후 10년간 통신장비기사의 일자리는 현 상태를 유지할 것으로 전망된다.

통신장비기사는 유선통신, 위성통신, 무선통신 시 필요한 유무선중계기시스템, 유무선통신장비, 전송장비, 위성통신장비 등 관련 장비를 관리하고 운용하는 일을 한다. 통계청의 「전국사업체조사」 자료에 의하면, 통신장비기사가 주로 종사하는 전기통신업 관련 사업체 수는 2016년 1,633개에서 2019년 1,403개로 230개(?14.1%) 감소하였고, 종사자 수는 2016년 43,250명에서 2019년 42,244명으로 1,006명(?2.3%)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기통신업 관련 사업체 및 종사자 수 감소는 우리나라 통신서비스 시장의 성장 정체를 대변하는 것으로 보인다. 정보통신정책연구원이 발표한 「ICT 산업 중장기 전망(2022~2026) 및 대응 전략」(2021)을 보아도 통신서비스 분야는 2022∼2026년 동안 1.6% 성장에 그칠 것으로 전망되었다.

통신서비스 중장기 매출 전망

(단위 : 조 원)

통신서비스 중장기 매출 전망으로 연도별 유선통신, 무선통신, 기타, 합계 항목으로 구성
연도 2020 2021 2022 2023 2024 2025 2026 2022~2026
CACR
유선통신 10.1
(-0.3%)
10.2
(0.4%)
10.2
(0.4%)
10.2
(0.4%)
10.3
(0.4%)
10.3
(0.4%)
10.4
(0.4%)
0.4%
무선통신 24.8
(3.0%)
25.5
(2.8%)
26.2
(2.6%)
26.8
(2.4%)
27.4
(2.2%)
27.9
(2.0%)
28.4
(1.8%)
2.2%
기타 2.1
(-3.8%)
2.3
(6.0%)
2.3
(2.0%)
2.4
(1.8%)
2.4
(1.7%)
2.4
(1.6%)
2.5
(1.4%)
1.6%
합계 37.1
(1.7%)
37.9
(2.3%)
38.7
(2.0%)
39.4
(1.8%)
40.1
(1.7%)
40.7
(1.6%)
41.3
(1.4%)
1.6%

주: ( )는 전년 대비 증감률
자료 : 이학기 외(정보통신정책연구원), 「ICT 산업 중장기 전망(2022~2026) 및 대응 전략」(2021)

정보통신 산업이 발전하고 통신망에 대한 인프라가 확충되면서 통신은 모든 생활의 기본적인 시설이 되었다. 유선통신에서 무선통신서비스 분야로 패러다임이 전환됨에 따라 인력 수요의 부침이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2018년 12월 최초로 서비스가 개시된 5세대(5G) 이동통신 시장이 성숙기에 진입하였고, 통신장비의 자동화로 기지국이 무인시스템으로 운영되고, 기계 장비의 대형화 및 자동화가 이뤄지고 있는 점은 통신장비기사의 고용에 부정적으로 작용할 것으로 전망된다. 통신장비기사는 임금이 비교적 낮고, 고용이 불안정한 경향이 있어, 이직자를 대체하기 위한 고용 수요가 있을 수 있다.

종합하면 유선통신에서 무선통신서비스 분야로 패러다임이 전환되는 것은 관련 일자리 증가에 긍정적이지만, 국내 5G시장의 성숙, 통신장비의 자동화, 기계 장비의 대형화 등의 영향으로 향후 10년간 통신장비기사의 일자리는 현 상태를 유지할 것으로 전망된다. (2022년 작성)

일자리 전망 요인, 증가 요인, 감소 요인 항목으로 구성
전망 요인 증가 요인 감소 요인
인구구조 및 노동인구의 변화 - -
가치관과 라이프스타일의 변화 - -
과학기술의 발전 -
  • 기기의 자동화, 시스템화
국내외 경기 변화 - -
기업 등의 경영전략 변화 - -
산업 특성 및 산업구조의 변화
  • 유선통신에서 무선통신서비스 분야로 패러다임 전환
-
환경과 에너지, 자원 - -
법·제도 및 정부 정책 - -
기타 요인 - -

※ 위의 일자리전망은 직업전문가들이 「중장기인력수급전망」,「정성적 직업전망조사」,「KNOW 재직자조사」등 각종 연구와 조사를 기초로 작성하였습니다.

일자리현황

‘통신장비기사’ 더 알아보기

  • 한국직업전망

    방송 및 통신장비 설치수리원

    방송장비설치 및 수리원은 방송을 위해 필요한 각종 영상기기, 음향기기, 녹화기기, 화면조종기, 방송용 송수신기, 셋톱박스 등 방송장비를 설치하고 수리한다. 먼저 방송용 혹은 비방송용 통신 기기(중파, 단파)의 통신을 이어주기 위한 설계도를 읽고 방송장비의 설치 위치를 표시한다. 라디오 등 방송통신설비의 주파수, 용량 등을 확인하여 방송통신설비의 크기에 따라 설비 케이스 도면을 작성한 후 작성된 도면에 따라 상세회로 도면을 작성하고 설치한다. 방송장비설치원은 방송장비를 설치한...

  • 테마별 찾기

    해당 직업 정보가 없습니다.

  • 대상별 찾기

    해당 직업 정보가 없습니다.

  • 이색직업별 찾기

    해당 직업 정보가 없습니다.

  • 신직업별 찾기

    해당 직업 정보가 없습니다.

  • 동영상

    통신장비기사

    통신장비기사 (00:58) NA. 우리의 필수품 휴대폰. 그런데 만약 이 휴대폰이 제대로 연결되지 않는다면 어떨까요? A: 약속장소 바뀌거나 시간 바뀌었는데 말하다가 끊기는 경우. B: 중요한 통화 하고 있었는데 전화가 끊겨서.. C: MT를 시골로 많이 가는데 엄마와 전화가 안 되니까 엄마가 걱정 많이 하셨죠. (01:26) NA. 깊고 깊은 산 속이라 전화가 잘 터지지 않을 때, 걸핏하면 통화권을 이탈했다며 사람 속을 터지게 할 때, 전화가 뚝뚝 끊기고 데이터 전송에 실패해 짜증날 때, 이 모든 불편사항...

담당부서 : 미래직업연구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