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뎁스 2뎁스 3뎁스 현재 페이지

직업정보 찾기

직업·진로 직업정보 직업정보 찾기
연구직 및 공학 기술직 > 금속·재료공학 기술자 및 시험원 > 재료(금속)공학기술자
재료(금속)공학기술자

임금

재료(금속)공학기술자 하위(25%) 4,122만원, 중위값 5,000만원, 상위(25%) 6,061만원

※ 위 임금정보는 직업당 평균 30명의 재직자를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로, 재직자의 자기보고에 근거한 통계치입니다. 재직자의 경력, 근무업체의 규모 등에 따라 실제 임금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직업간 비교를 위한 참고자료로 활용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조사년도: 2021년>

직업만족도

재료(금속)공학기술자에 대한 직업 만족도는 73.5% (백점 기준)입니다.

※ 직업만족도는 해당 직업의 일자리 증가 가능성, 발전가능성 및 고용안정에 대해 재직자가 느끼는 생각을 종합하여 100점 만점으로 환산한 값입니다.
<조사년도: 2021년>

재직자가 생각하는 일자리전망

< 조사년도: 2021년 >

※ 위의 그래프는 직업당 평균 30명의 재직자가 해당 직업의 향후 5년간 일자리 변화에 대해 응답한 결과입니다. 직업전문가와 재직자들의 입장과 견해에 따라 일자리 전망에 차이가 있을 수 있으므로, 참고자료로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전문가가 분석한 일자리전망

(연평균 증감률 %)

-2% 미만: 감소, -2% 이상 -1% 이하: 다소 감소, -1% 초과 1% 미만: 현 상태 유지, 1% 이상 2% 이하: 다소증가, 2% 초과: 증가 중 현 상태 유지에 해당 됨

향후 10년간 재료(금속)공학기술자의 일자리는 현 상태를 유지할 것으로 전망된다.

재료(금속)공학기술자는 금속재를 비롯한 비철금속, 세라믹, 반도체, 복합 재료 등을 처리 및 제조하는 현장에서 지휘?감독하거나, 이러한 과정에서 재료의 특성을 연구?개발한다. 재료(금속)공학 일자리는 특성상 소재산업을 비롯한 전체 제조업에 걸쳐 있지만, 그중에서도 소재산업군의 경기 전망에 영향을 가장 많이 받는다. 소재산업군에는 철강, 정유, 석유화학, 섬유 등이 포함된다. 현재 우리나라의 소재산업은 글로벌 경쟁 심화 등으로 성장이 정체된 모습이다. 우리나라 소재산업은 수출 의존도가 높아 세계경기 영향을 크게 받는다. 산업연구원(2022)의「2022년 하반기 13대 주력산업 전망」에 따르면 2020년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세계경기가 회복세를 보이고 있지만, 대외 불확실성이 이어지면서 단기적으로는 소재산업군의 제한적 성장이 전망된다. 「2022 뿌리산업실태조사」의 ‘직무별 종사자 현황’을 보면, 주조, 금형, 소성가공, 용접, 표면처리, 열처리 등 6대 뿌리산업 업종에 종사하는 연구직과 기술직 인원은 총 6만 1천여 명(2021년 말 기준)으로 나타났다. 뿌리산업에 종사하는 재료(금속)공학기술자가 많기는 하지만, 그 외에도 철강을 비롯하여 반도체, 전자, 조선, 자동차, 항공기 등 다양한 산업에도 종사하기 때문에 전체 인원을 명확히 파악하기란 쉽지 않다. 다만, 국내 및 세계 경기 변동에 따라 취업자 수에 부침이 있음을 알 수 있다.

6대 뿌리산업 직종별 취업자 현황

(단위 : 명)

6대 뿌리산업 직종별 취업자 현황으로 2015~2021년도 별 전체, 연구직+기술직, 기능직, 노무직+기타직 항목으로 구성
구분 2015 2016 2017 2018 2019 2020 2021
전체 504,386 534,819 492,247 555,072 516,697 490,936 489,743
연구직+기술직* 58,305 60,530 49,717 52,887 53,487 52,640 61,536
기능직 248,245 287,811 268,275 308,281 300,826 295,015 288,971
노무직+기타직 197,836 186,478 174,225 193,903 162,383 143,311 139,237

자료 : 산업통상자원부?통계청, 「뿌리산업실태조사」(각 연도), 재가공
주) * 연구직과 기술직에는 재료(금속)공학기술자 외에도 기계, CAD, 제품생산관리 관련 직종들도 포함됨

재료(금속)공학기술자는 산업화 이후 철강, 기계, 자동차, 항공우주, 전기?전자, 반도체, 섬유 등 거의 모든 제조업 분야에서 꾸준히 활약해왔다. 특히 우리나라 경제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는 반도체, 자동차, 조선, 철강산업 발전에 재료(금속)공학기술자의 역할이 매우 컸다. 최근에는 반도체, 디스플레이, 2차 전지 등 첨단기술 분야에 대한 기업 투자가 증가하고, 정부의 정책적 지원이 강화되고 있다. 재료와 소재의 발전 없이는 혁신적인 제품 개발이나 경쟁력 있는 제품생산을 기대하기 어렵고, 개발도상국과 기술선진국과의 글로벌 경쟁이 더욱 치열해짐에 따라 첨단소재를 중심으로 한 재료(금속)공학기술자에 대한 수요는 꾸준할 수밖에 없다. 나노소재(기능성 나노소재 합성기술, 나노튜브, 나노박막 등 다양한 형태의 나노소재 가공기술 등), 의학, 약학, 생화학 등에 관련된 생체재료, 3D프린터용 분말 소재, 태양전지, 2차 전지, 수소생산, 이산화탄소 전환 등 에너지 재료와 같은 첨단기술 분야에서도 연구개발 인력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최근에는 빅데이터 기반 인공지능(AI) 기술을 적용한 재료 및 공정 기술 개발 연구인력 양성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주요 수출국의 환경기준이 강화됨에 따라 그에 부합하는 중간재를 생산하기 위한 기술 개발 인력에 대한 수요도 증가할 것이다.

종합하면, 신소재 개발 등 다양한 인력 수요 증가 요인이 있지만, 글로벌 경쟁 심화 등으로 전반적으로 소재산업 성장이 정체됨에 따라 향후 10년간 재료(금속)공학기술자의 고용은 현 상태를 유지할 것으로 전망된다. (2021년 작성, 2023년 수정)

일자리 전망 요인, 증가 요인, 감소 요인 항목으로 구성
전망 요인 증가 요인 감소 요인
인구구조 및 노동인구의 변화 - -
가치관과 라이프스타일의 변화 - -
과학기술의 발전 - -
국내외 경기 변화
  • 국내 기계, 전자 등 유관 산업의 발전
  • 코로나19 팬데믹 영향에서 벗어나 세계 경기 회복
  • 개발도상국 추격 등 철강, 비철금속 산업 전반적인 정체
  • 높은 수출 의존도 및 대외 불확실성의 지속
기업 등의 경영전략 변화
  • 첨단기술 분야에 대한 기업투자 증가
  • 첨단소재 중심의 연구개발 인력 수요 증가
  • 공장 해외 이전
산업 특성 및 산업구조의 변화
  • 2차전지, 반도체 등 첨단산업의 발전
-
환경과 에너지, 자원
  • 주요 수출국의 환경기준 강화, 경량 및 친환경 소재 개발
-
법·제도 및 정부 정책
  • 첨단 신소재 산업 육성
-
기타 요인 - -

※ 위의 일자리전망은 직업전문가들이 「중장기인력수급전망」,「정성적 직업전망조사」,「KNOW 재직자조사」등 각종 연구와 조사를 기초로 작성하였습니다.

일자리현황

‘재료(금속)공학기술자’ 더 알아보기

  • 한국직업전망

    재료공학기술자

    재료공학기술자는 모든 산업분야에서 널리 사용하고 있는 금속재를 비롯한 비철금속재료, 세라믹 재료, 반도체재료, 복합재료 등을 처리 및 제조하는 현장에서 지휘·감독하거나, 이러한 과정에서 재료의 특성을 연구·개발하는 업무에 종사한다. 종사하는 주요 산업 분야는 소재 개발 및 소재 생산을 위한 공정 분야로, 이들은 재료공학의 연구를 통하여 소재의 본질을 규명·이해하고, 그 소재의 특성을 극대화하여 응용한다. 철강 및 비철금속 제조 분야에서 일하는 금속재료공학기술자는 원광석을 녹여 ...

  • 테마별 찾기

    해당 직업 정보가 없습니다.

  • 대상별 찾기

    해당 직업 정보가 없습니다.

  • 이색직업별 찾기

    해당 직업 정보가 없습니다.

  • 신직업별 찾기

    해당 직업 정보가 없습니다.

  • 동영상

    해당 직업 정보 동영상이 없습니다.

담당부서 : 미래직업연구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