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임금
※ 위 임금정보는 직업당 평균 30명의 재직자를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로, 재직자의 자기보고에 근거한 통계치입니다. 재직자의 경력, 근무업체의 규모 등에 따라 실제 임금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직업간 비교를 위한 참고자료로 활용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조사년도: 2021년>
직업만족도
※ 직업만족도는 해당 직업의 일자리 증가 가능성, 발전가능성 및 고용안정에 대해 재직자가 느끼는 생각을 종합하여 100점 만점으로 환산한 값입니다.
<조사년도: 2021년>
재직자가 생각하는 일자리전망
※ 위의 그래프는 직업당 평균 30명의 재직자가 해당 직업의 향후 5년간 일자리 변화에 대해 응답한 결과입니다. 직업전문가와 재직자들의 입장과 견해에 따라 일자리 전망에 차이가 있을 수 있으므로, 참고자료로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전문가가 분석한 일자리전망
(연평균 증감률 %)
향후 10년간 반도체공학기술자 및 연구원의 일자리는 다소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반도체공학기술자 및 연구원은 반도체 집적회로(IC)를 제조하기 위하여 전자이론의 지식과 장비 조작원리를 응용하여 반도체 생산공정 조건을 설정하고, 불량원인을 분석해 조치하며, 견본 생산부품의 시험 등을 수행한다. 전자산업 종사자의 고용을 간접적으로 판단할 수 있는 지표로 전자산업의 생산전망을 살펴볼 수 있다. 정부의 6대 국가첨단전략산업 중 하나인 반도체산업의 경우, 2021년에는 연평균 17.9%가 증가하였으나 2023년에는 ?26.1%로 크게 감소할 것으로 예상되었다. 이같은 반도체 품목의 감소세 전환은 글로벌 경기침체 장기화와 미중 무역분쟁,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등이 연이어 겹치는 글로벌 복합위기, IT 수요 부진 등에 따른 변화로 볼 수 있다.
전자산업 주요 품목별 생산 전망
구분 | 2021 | 2022 | 2023 | ||||
---|---|---|---|---|---|---|---|
상반기 | 하반기 | 합계 | 상반기 | 하반기 | 합계 | ||
정보통신기기 (10억 원) |
52,726 (6.7) |
27,706 (12.6) |
23,573 (-16.1) |
51,279 (-2.7) |
21,172 (-23.6) |
22,626 (-4.0) |
43,798 (-14.6) |
가전 (10억 원) |
31,204 (4.6) |
15,766 (4.7) |
14,096 (-12.7) |
29,862 (-4.3) |
14,089 (-10.6) |
13,922 (-1.2) |
28,011 (-6.2) |
반도체 (10억 원) |
139,591 (17.9) |
74,136 (14.4) |
67,120 (-10.2) |
141,256 (1.2) |
51,253 (-30.9) |
53,127 (-20.8) |
104,380 (-26.1) |
디스플레이 (10억 원) |
58,061 (3.3) |
27,417 (1.8) |
26,983 (-13.3) |
54,400 (-6.3) |
21,577 (-21.3) |
24,689 (-8.5) |
46,266 (-15.0) |
이차전지 (10억 원) |
10,705 (-1.4) |
5,774 (9.5) |
6,098 (12.3) |
11,872 (10.9) |
6,259 (8.4) |
6,765 (10.9) |
13,024 (9.7) |
자료 : 산업연구원, 「2023년 하반기 경제?산업 전망」(2023)
주: ( )는 전년동기비 증가율
전자공학 기술을 활용한 생산 품목인 반도체, LCD/OLED 패널, 디지털 가전제품, 휴대폰 단말기 등은 우리나라를 이끄는 주요 수출 품목으로 세계적인 경쟁력을 갖고 있다. 중국 등 신흥국의 도전으로 위협을 받고 있긴 하지만, 차별화된 고품질 신제품의 출시로 제품경쟁력을 갖추고 있다. 다만, 현 시점의 불안정한 국제 정세로 성장세가 주춤하고 있다. 그러나 반도체산업은 정부가 인공지능(AI) 반도체산업 육성 지원을 강화하고 있고, 가전제품의 고가 프리미엄 제품과 사물인터넷(IoT) 신제품의 시장이 확대되고 있다. 또한 사물인터넷의 적용 확대와 전기자동차 보급 확대, 무인기기(Drone) 개발의 확대, 홈 가전 네트워크, 지능형 로봇 등의 상용화로 전자산업의 전반적인 인력 수요 확대가 예상된다.
종합하면, 사물인터넷, 전기자동차, 홈가전 네트워크 사용 확대와 전자산업 전반에 대한 투자 확대, 디지털 대전환에 따른 라이프스타일 변화 등으로 전자산업의 발전이 예상되면서 반도체공학기술자 및 연구원의 일자리는 향후 10년간 다소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2021년 작성, 2023년 수정)
전망 요인 | 증가 요인 | 감소 요인 |
---|---|---|
인구구조 및 노동인구의 변화 | - | - |
가치관과 라이프스타일의 변화 |
|
- |
과학기술의 발전 |
|
- |
국내외 경기 변화 | - | - |
기업 등의 경영전략 변화 |
|
- |
산업 특성 및 산업구조의 변화 | - | - |
환경과 에너지, 자원 |
|
- |
법·제도 및 정부 정책 |
|
- |
기타 요인 | - | - |
※ 위의 일자리전망은 직업전문가들이 「중장기인력수급전망」,「정성적 직업전망조사」,「KNOW 재직자조사」등 각종 연구와 조사를 기초로 작성하였습니다.
일자리현황
한국직업전망
전자산업의 최종 제품은 크게 전자소재 제품과 전자부품으로 나눌 수 있다. 전자부품 소재는 전자재료 원천소재는 물론 소재를 이용하여 정비부품 조립 및 생산에 적용하기 위한 공정기술을 포함한다. 전자부품 시장은 휴대폰 관련 부품, 디지털TV 관련 부품, 디스플레이 패널 관련 부품 및 공통 부품 소재로 나눌 수 있다. 한편, 전자소재 산업은 전자산업 전반에 공급되는 원천소재 및 이를 기반으로 제조된 소재기반 부품시장으로 분류할 수 있다. 전자소재 시장은 능동·수동 부품 및 패키지 시...
테마별 찾기
우리의 일상생활은 전자공학기술의 발전과 함께 급속도로 발전해왔어요. 초기 컴퓨터 애니악을 아시나요? 이 컴퓨터는 진공관을 사용하여 만든 것인데요, 커다란 방 하나를 가득 채울 정도로 거대했고 가격은 수십억 원이었으며, 한 시간만 사용해도 수십만 원의 전기료가 발생했답니다. 허걱! 그런데 고체 전자공학이 발전하면서 트랜지스터가 개발되었고, 그 결과 중앙처리장치(CPU)를 칩 하나에 담게 되었죠. 그 뿐인가요? 전자공학의 발전으로 회로를 간단하게 만들어 전파를 잘 흐르게 함으로써 같은 크기의 배터리라도 성능이 뛰어나도록 만들었어요....
대상별 찾기
해당 직업 정보가 없습니다.
이색직업별 찾기
해당 직업 정보가 없습니다.
신직업별 찾기
해당 직업 정보가 없습니다.
동영상
반도체공학기술자 (00:03) NA. 과학과 관련된 학교 및 연구단지 관련기업들이 빼곡하게 모여있는 대한민국의 과학 메카, 대전 이번주인공을 만나기 위해 도착한 곳은 국내 최대규모의 정보통신 연구기관이다. 엄낙웅 / 반도체공학기술자 : 네, 안녕하세요. 반도체공학기술자 엄낙웅입니다. Q: 반도체 공학기술자에 대해 소개해주세요. 엄낙웅 / 반도체공학기술자 : 반도체 공학기술자는 전자회로를 전자기기에 장착하기 위해서 직접회로를 설비하는 그런 과정과 제조하는 과정 또 검증하는 그런 일련의 과정을 수행하는 그러한 기술자를 말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