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임금
※ 위 임금정보는 직업당 평균 30명의 재직자를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로, 재직자의 자기보고에 근거한 통계치입니다. 재직자의 경력, 근무업체의 규모 등에 따라 실제 임금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직업간 비교를 위한 참고자료로 활용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조사년도: 2021년>
직업만족도
※ 직업만족도는 해당 직업의 일자리 증가 가능성, 발전가능성 및 고용안정에 대해 재직자가 느끼는 생각을 종합하여 100점 만점으로 환산한 값입니다.
<조사년도: 2021년>
재직자가 생각하는 일자리전망
※ 위의 그래프는 직업당 평균 30명의 재직자가 해당 직업의 향후 5년간 일자리 변화에 대해 응답한 결과입니다. 직업전문가와 재직자들의 입장과 견해에 따라 일자리 전망에 차이가 있을 수 있으므로, 참고자료로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전문가가 분석한 일자리전망
(연평균 증감률 %)
향후 10년간 수질환경기술자 및 연구원의 일자리는 현 상태를 유지할 것으로 전망된다.
수질환경기술자 및 연구원은 수생태환경관리를 위하여 수질데이터를 분석하여 수질진단 및 물관리 방안을 연구하고, 수질?생태환경 정책 개발 및 환경개선을 위한 대안을 제시한다. 또한, 수질환경오염의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대처 방안 및 오염방지 등과 관련된 분야를 연구?개발하며, 상?하수도 시설(정수장, 오폐수처리장, 상수관, 하수관 등)의 시설 진단, 오염물질 처리 상태 등 수질 환경문제에 대해서 분석하여 수질의 안정성 및 신뢰성을 확보한다. 우리나라의 상하수도 시설은 지방자치단체가 운영하고 있어 대부분의 고용이 국가 및 공공기관에서 이루어지고, 상하수도 처리시설 및 상하수도관의 보급률이 안정화 단계에 와 있어 일자리의 급격한 증가는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다만, 세계적인 환경규제 강화와 환경 의식의 신장으로 환경산업은 지속적인 성장이 예상된다. 국민의 소득수준이 높아지면서 삶의 질에 대한 욕구가 높아지고, 이에 따라 빛?소음?미세먼지?폐기물 처리 등 생활환경과 환경보전에 대한 관심이 상승하고 있다. 정부도 환경규제를 강화하고, 순환경제 활성화를 위한 관련 제도를 정비하는 등 녹생성장 기조를 이어가고 있어 환경산업 시장은 더욱 활성화될 것으로 보인다. 더불어, 상하수도 관련 시설의 노후화에 따른 시설 교체를 위한 일자리는 지속적으로 필요할 것으로 보이며, 하수도관의 민간 전문기관 위탁관리가 증가한다면 해당 분야 일자리 증가 또한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산업구조 고도화로 새롭게 나타나는 물질에 대한 시험과 수질 및 수량 관리 등을 위한 기술 인력의 필요도 증가하고 있다. 전 세계적 기후위기로 물 문제가 국제사회의 주요 현안으로 대두되면서 정부는「물관리기술 발전 및 물산업 진흥에 관한 법률」을 제정(2018.6.12. 공포)하여 물관리기술 개발 및 사업화 촉진, 물기업 해외진출 지원 등을 통해 지속가능한 물인프라 구축과 디지털?하이테크 물산업을 키우고자 노력하고 있다. 물산업은 오?폐수 정화, 상수도원 관리 및 상수도 공급, 담수화 사업, 생수산업 등을 의미하며, 넓게는 도시, 태풍, 홍수 시 재해방지, 수력발전, 수상 운송, 레크리에이션, 환경, 어류, 야생동식물을 위한 물 공급 등을 포함한다. 이러한 물산업 분야 기술 인력을 바탕으로 동아시아?태평양 지역의 상하수도 보급 및 캐나다?미국 등의 노후관로 대체, 도시화 및 인구 증가가 지속되고 있는 중앙아시아, 아프리카와 동아시아, 태평양 지역을 중심으로 한 하수 분야의 진출 등을 계획하고 있다.
글로벌 물 시장 전망
(단위 : 억 달러)
구분 | 2017 | 2018 | 2019 | 2020 | 2021 | 2030 |
---|---|---|---|---|---|---|
합계 | 7,252 | 7,555 | 7,840 | 8,184 | 8,520 | 12,032 |
상수도 | 2,908 | 3,018 | 3,121 | 3,237 | 3,349 | 4,588 |
수자원개발 | 195 | 214 | 229 | 246 | 262 | 405 |
해수/기수담수화 | 44 | 49 | 53 | 54 | 60 | 217 |
하수도 | 2,750 | 2,878 | 2,975 | 3,114 | 3,234 | 4,582 |
산업용수 | 1,354 | 1,397 | 1,461 | 1,533 | 1,615 | 2,241 |
자료 : Kwater 물산업플랫폼 홈페이지(www.kwater.or.kr)
종합하면, 환경문제 관심 증대와 더불어 하수도 관리의 민간 위탁 증가, 물산업 범위 확대, 정부의 정책적 지원 강화 등 긍정적 요인이 있지만, 우리나라의 상하수도관 보급률이 안정화 단계에 있어 유지?보수 업무 위주로 이루어지는 데다 수질환경기술자 및 연구원의 고용이 대부분 국가 및 공공기관에서 이루어지고 있어 고용 증가는 제한적일 전망이다. 이러한 산업 특성으로 인해 향후 10년간 수질환경기술자 및 연구원 일자리는 현 상태를 유지할 것으로 보인다. (2021년 작성, 2023년 수정)
전망 요인 | 증가 요인 | 감소 요인 |
---|---|---|
인구구조 및 노동인구의 변화 | - | - |
가치관과 라이프스타일의 변화 | - | - |
과학기술의 발전 | - | - |
국내외 경기 변화 | - |
|
기업 등의 경영전략 변화 | - | - |
산업 특성 및 산업구조의 변화 |
|
- |
환경과 에너지, 자원 |
|
- |
법·제도 및 정부 정책 |
|
- |
기타 요인 |
|
- |
※ 위의 일자리전망은 직업전문가들이 「중장기인력수급전망」,「정성적 직업전망조사」,「KNOW 재직자조사」등 각종 연구와 조사를 기초로 작성하였습니다.
일자리현황
한국직업전망
석유화학물가공장치조작원은 취급 품목 및 최종생산물에 따라 석유 및 천연가스제조 관련 제어 장치 조작원, 화학물 가공장치 조작원, 화학제품 생산기 조작원, 타이어 및 고무제품 생산기 조작원, 플라스틱제품 생산기 조작원으로 나눌 수 있다. 석유 및 천연가스제조 관련 제어장치 조작원은 화학물이나 천연원료를 성분별로 분리하거나 정제 하기 위한 장치를 조작하며, 석유 및 천연가스 가공처리 과정에서 온도나 압력, 탱크수위 등을 조절 하기 위하여 중앙제어장치나 제어판을 조작한다. 화학물 ...
테마별 찾기
해당 직업 정보가 없습니다.
대상별 찾기
해당 직업 정보가 없습니다.
이색직업별 찾기
해당 직업 정보가 없습니다.
신직업별 찾기
해당 직업 정보가 없습니다.
동영상
해당 직업 정보 동영상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