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임금
※ 위 임금정보는 직업당 평균 30명의 재직자를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로, 재직자의 자기보고에 근거한 통계치입니다. 재직자의 경력, 근무업체의 규모 등에 따라 실제 임금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직업간 비교를 위한 참고자료로 활용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조사년도: 2021년>
직업만족도
※ 직업만족도는 해당 직업의 일자리 증가 가능성, 발전가능성 및 고용안정에 대해 재직자가 느끼는 생각을 종합하여 100점 만점으로 환산한 값입니다.
<조사년도: 2021년>
재직자가 생각하는 일자리전망
※ 위의 그래프는 직업당 평균 30명의 재직자가 해당 직업의 향후 5년간 일자리 변화에 대해 응답한 결과입니다. 직업전문가와 재직자들의 입장과 견해에 따라 일자리 전망에 차이가 있을 수 있으므로, 참고자료로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전문가가 분석한 일자리전망
(연평균 증감률 %)
향후 10년간 신문기자의 일자리는 다소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신문기자는 국내외에서 발생한 주요 사건, 사고 및 정보를 신문으로 제공하기 위하여 취재하고 기사를 작성?편집한다. 한국언론진흥재단의 「한국언론연감」에 따르면, 2021년 종이신문 기자는 1만 4,461명, 인터넷신문 기자는 1만 4,225명이 종사하였다.
언론매체별 매체사 및 기자직 수
구분 | 2015 | 2016 | 2017 | 2018 | 2019 | 2020 | 2021 | |||||||
---|---|---|---|---|---|---|---|---|---|---|---|---|---|---|
매체사 수 | 기자직 수 | 매체사 수 | 기자직 수 | 매체사 수 | 기자직 수 | 매체사 수 | 기자직 수 | 매체사 수 | 기자직 수 | 매체사 수 | 기자직 수 | 매체사 수 | 기자직 수 | |
전국종합 일간Ⅰ | 11 | 2,298 | 11 | 2,294 | 11 | 2,615 | 11 | 2,594 | 11 | 2,692 | 11 | 2,549 | 12 | 2,957 |
전국종합 일간Ⅱ | 16 | 460 | 10 | 492 | 19 | 499 | 17 | 520 | 12 | 354 | 12 | 333 | 11 | 229 |
지역종합 일간 | 106 | 3,983 | 119 | 4,296 | 122 | 4,566 | 116 | 3,839 | 125 | 3,702 | 124 | 3,599 | 125 | 3,742 |
경제일간 | 14 | 1,945 | 12 | 1,423 | 12 | 1,763 | 13 | 1,922 | 14 | 2,062 | 13 | 1,969 | 14 | 2,098 |
스포츠 일간 | 4 | 180 | 5 | 221 | 5 | 207 | 5 | 257 | 7 | 224 | 6 | 218 | 5 | 211 |
외국어 일간 | 2 | 82 | 2 | 82 | 2 | 79 | 2 | 79 | 2 | 83 | 2 | 81 | 2 | 100 |
기타전문 일간 | 22 | 504 | 22 | 500 | 24 | 467 | 26 | 507 | 58 | 826 | 55 | 806 | 26 | 445 |
무료일간 | 2 | 44 | 2 | 44 | 2 | 46 | 2 | 35 | 2 | 25 | 1 | 20 | 1 | 38 |
일간 소계 | 177 | 9,496 | 191 | 9,352 | 197 | 10,242 | 192 | 9,753 | 231 | 9,968 | 224 | 9,575 | 196 | 9,820 |
전국종합 주간 | 33 | 383 | 3 | 357 | 31 | 343 | 30 | 344 | 26 | 314 | 33 | 344 | 38 | 413 |
지역종합 주간 | 528 | 1,963 | 535 | 2,037 | 529 | 1,827 | 553 | 1,861 | 518 | 1,685 | 554 | 2,210 | 499 | 1,621 |
전문주간 | 604 | 3,150 | 665 | 3,370 | 672 | 2,788 | 709 | 3,092 | 675 | 2,921 | 673 | 3,094 | 580 | 2,607 |
주간 소계 | 1,165 | 5,496 | 1,203 | 5,764 | 1,232 | 4,958 | 1,292 | 5,297 | 1,219 | 4,920 | 1,260 | 5,648 | 1,117 | 4,641 |
종이신문 소계 | 1,342 | 14,992 | 1,394 | 15,116 | 1,429 | 15,200 | 1,484 | 15,050 | 1,450 | 14,888 | 1,484 | 15,223 | 1,313 | 14,461 |
오프라인 기반 인터넷 신문 | 642 | 3,190 | 633 | 3,192 | 595 | 3,342 | 547 | 2,927 | - | - | - | - | - | - |
온라인 기반 인터넷 신문 | 2,125 | 7,769 | 1,971 | 7,560 | 2,201 | 9,150 | 2,353 | 8,236 | 2,796 | 9,496 | 3,594 | 14,020 | 4,084 | 14,225 |
인터넷 신문 소계 | 2,767 | 10,959 | 2,604 | 10,752 | 2,796 | 12,492 | 2,900 | 11,163 | 2,796 | 9,496 | 3,594 | 14,020 | 4,084 | 14,225 |
신문합계 | 4,109 | 25,951 | 3,998 | 25,868 | 4,225 | 27,692 | 4,384 | 26,213 | 4,246 | 24,384 | 5,078 | 29,243 | 5,397 | 28,686 |
자료 : 한국언론진흥재단, 「한국언론연감」(각 연도)
주 : 2019년부터 미디어 환경을 고려해 ‘오프라인기반’과 ‘온라인기반’으로 구분 없이 ‘인터넷신문’으로 함.
신문기자는 2015년 2만 5,951명에서 2021년 2만 8,686명으로 지난 7년간 2,735명이 증가했다.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인터넷신문 기자는 3,266명 증가하였고, 종이신문 기자는 531명이 감소하였는데 전체 기자 수 증가는 인터넷신문 기자가 대부분 기여했다고 볼 수 있다. 인터넷에 기반한 새로운 뉴스 매체가 시장에 진입하면서 해당 분야 기자의 일자리에 지속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특히 대중의 관심 영역이 여러 방면으로 확장되고, 뉴스 소비패턴이 다양화되면서 소수 계층을 타깃으로 한 전문 뉴스 콘텐츠 제공 방식이 증가할 전망이다.
종이?인터넷신문 기자직 수 추이
(단위 : 명)
구분 | 합계 | 종이신문 기자직 수 | 인터넷신문 기자직 수 |
---|---|---|---|
2015 | 25,951 | 14,992 | 10,959 |
2016 | 25,868 | 15,116 | 10,752 |
2017 | 27,692 | 15,200 | 12,492 |
2018 | 26,213 | 15,050 | 11,163 |
2019 | 24,384 | 14,888 | 9,496 |
2020 | 29,243 | 15,223 | 14,020 |
2021 | 28,686 | 14,461 | 14,225 |
자료 : 한국언론진흥재단, 「한국언론연감」(각 연도)
4차 산업혁명으로 산업계가 재편되면서 언론사들도 새로운 사회적 수요에 맞춘 발 빠른 대응이 없으면 도태될 수 있다는 인식이 높아지고 있다. 디지털과 온라인 체제를 강화하고, 모바일기기 및 페이스북 등 소셜미디어를 연계해 기사를 제공하는 등 독자 요구에 대응하려는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하지만 매체의 난립 및 경쟁 심화, 경기 위축에 따른 기업의 광고비 삭감, 언론사의 경영효율화를 위한 구조조정, 잡지구독률 저하 등으로 인력 감축이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IT 기술과 미디어의 융합으로 누구나 글을 쓰고 사진과 영상을 찍어서 인터넷에 올리는 것이 가능해지면서 취재기자가 편집과 사진 촬영, 영상 제작까지 담당하는 사례가 늘고 있다. 실제 현장에 나가지 않아도 인터넷이나 화상 생중계로 취재가 가능해진 현상은 기자의 일자리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전망이다. 더욱이 인공지능(AI)의 발달로 로봇 저널리즘 등이 등장하면서 통계분석 기사를 비롯해 스포츠, 금융, 과학, 기상 등 특정 분야에서 인공지능이 기자의 업무를 대체하면서 기자 고용을 어둡게 한다. 하지만 전반적으로 온라인 매체가 증가하고, 사회구성원의 관심 분야와 욕구가 다양하게 확대되면서 사회적으로 신문의 영향력은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 특히 심층취재가 가능한 과학기술, 의학, 법률, 환경 등 특정 분야에 대한 전문기자의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종합하면, 방송 및 출판 환경이 변화하고 디지털 매체 및 소셜미디어를 활용한 기사 작성과 배포 등이 활발해지면서 기자들의 수행업무와 주요 역할이 변할 것으로 보이며, 기사 유통경로가 확대 다양화되면서 향후 10년간 기자의 일자리는 다소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2020년 작성, 2023년 수정)
전망 요인 | 증가 요인 | 감소 요인 |
---|---|---|
인구구조 및 노동인구의 변화 | - | - |
가치관과 라이프스타일의 변화 |
|
|
과학기술의 발전 |
|
|
국내외 경기 변화 | - |
|
기업 등의 경영전략 변화 |
|
|
산업 특성 및 산업구조의 변화 |
|
|
환경과 에너지, 자원 | - | - |
법·제도 및 정부 정책 | - | - |
기타 요인 | - | - |
※ 위의 일자리전망은 직업전문가들이 「중장기인력수급전망」,「정성적 직업전망조사」,「KNOW 재직자조사」등 각종 연구와 조사를 기초로 작성하였습니다.
일자리현황
한국직업전망
방송기자와 신문기자는 정치부, 사회부, 문화부, 경제부, 국제부, 체육부 등에 소속되어 해당 사건· 사고, 뉴스 등을 취재하고, 관련 인물을 인터뷰하여 기사화하는 일을 한다. 독자 제보를 받거나 경찰서, 각 정부부처 등에 출입하면서 해당 기관과 관련한 뉴스, 인물 등을 취재하고, 기사화될 만한 것을 직접 찾아내 심층 취재를 하며 기자회견에 참여할 때도 있다. 방송기자는 보통 취재 계획 서를 회사에 제출해 평가받고, 취재 승인을 받으면 일정을 잡아 촬영기자, 뉴스 오디오맨과 한...
테마별 찾기
눈은 번쩍, 귀는 쫑긋, 손놀림은 빨리빨리! 어떤 희생과 위험을 무릅쓰더라도 진실을 전하겠다는 마음, 이것이 기자정신입니다. 기자를 꿈꾸는 사람이라면 ‘카파이즘’이란 단어를 기억해 두세요. 이는 어떤 희생과 위험을 무릅쓰더라도 진실을 전하겠다는 기자정신을 가리키는 말로, 사진작가이자 종군기자인 ‘로버트 카파’의 이름을 딴 것입니다. 20세기 초중반 전 인류는 전쟁의 광기에 사로잡혀 있었어요. 그는 전쟁의 참혹함을 세상에 알리기 위해 가장 치열한 전투에 직접 참여해 생생하고도 끔찍한 전쟁의 현장을 카메라에 담았지요. 2차...
대상별 찾기
해당 직업 정보가 없습니다.
이색직업별 찾기
해당 직업 정보가 없습니다.
신직업별 찾기
해당 직업 정보가 없습니다.
동영상
해당 직업 정보 동영상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