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뎁스 2뎁스 3뎁스 현재 페이지

직업정보 찾기

직업·진로 직업정보 직업정보 찾기
예술·디자인·방송·스포츠직 > 기자 및 언론 전문가 > 잡지기자
잡지기자

임금

잡지기자 하위(25%) 3,104만원, 중위값 3,626만원, 상위(25%) 4,172만원

※ 위 임금정보는 직업당 평균 30명의 재직자를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로, 재직자의 자기보고에 근거한 통계치입니다. 재직자의 경력, 근무업체의 규모 등에 따라 실제 임금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직업간 비교를 위한 참고자료로 활용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조사년도: 2021년>

직업만족도

잡지기자에 대한 직업 만족도는 72.7% (백점 기준)입니다.

※ 직업만족도는 해당 직업의 일자리 증가 가능성, 발전가능성 및 고용안정에 대해 재직자가 느끼는 생각을 종합하여 100점 만점으로 환산한 값입니다.
<조사년도: 2021년>

재직자가 생각하는 일자리전망

< 조사년도: 2021년 >

※ 위의 그래프는 직업당 평균 30명의 재직자가 해당 직업의 향후 5년간 일자리 변화에 대해 응답한 결과입니다. 직업전문가와 재직자들의 입장과 견해에 따라 일자리 전망에 차이가 있을 수 있으므로, 참고자료로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전문가가 분석한 일자리전망

(연평균 증감률 %)

-2% 미만: 감소, -2% 이상 -1% 이하: 다소 감소, -1% 초과 1% 미만: 현 상태 유지, 1% 이상 2% 이하: 다소증가, 2% 초과: 증가 중 다소감소에 해당 됨

향후 10년간 잡지기자의 일자리는 다소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

잡지기자는 잡지에 실을 정보를 수집?기획 취재하며, 주로 사회?경제?정치?문화 등에서 발생하는 사건?사고를 전문적으로 취재하고 기사를 작성하고 편집한다. 한국언론진흥재단에 따르면, 2021년 잡지기자 종사자 수는 2,220명으로 나타났다. 각 연도의 조사 시점 모집단에 따라 기자의 종사자 수의 차이가 크게 나타나지만, 2021년의 잡지기자의 수는 최근 10년 내 가장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잡지산업 기자직 종사자 현황

(단위 : 명)

잡지산업 기자직 종사자 현황으로 연도별 1종, 2종, 3종이상의 발행종수별 기자 종사자수, 합계 항목으로 구성
구분 발행종수별 기자(기획/취재) 종사자 수 합계
1종 2종 3종 이상
2010 3,253 472 498 4,223
2012 3,806 1,038 567 5,411
2014 6,231 400 263 6,894
2017 1,960 446 492 2,898
2019 1,947 329 332 2,608
2021 1,601 296 323 2,220

자료 : 한국언론진흥재단, 「잡지산업 실태조사」(2011, 2013, 2015, 2018, 2020, 2022)

반면, 잡지의 발행 부수는 2014년 4,838부에서 2021년 5,624부로 약 16.2% 증가하였다.

정기간행물 등록 현황

(단위 : 개)

정기간행물 등록 현황으로 연도별 잡지, 정보, 전자, 기타, 외국지사 항목으로 구성
구분 2015 2016 2017 2018 2019 2020 2021 2022
잡지 5,008 4,931 5,107 5,211 5,374 5,492 5,636 5,755
정보 1,419 1,658 1,748 1,784 1,810 1,860 1,900 1,881
전자 34 62 65 161 171 212 230 253
기타 2,265 2,118 2,033 2,019 2,019 2,047 2,039 2,024
외국지사 9 11 11 11 11 12 12 12

자료 : 문화체육관광부,「정기간행물 등록 현황」

4차 산업혁명으로 산업계가 재편되면서 언론사들도 새로운 사회적 수요에 맞춘 발 빠른 대응이 없으면 도태될 수 있다는 인식이 높아지고 있다. 전반적으로 온라인 매체가 증가하고, 뉴스 소비패턴의 변화에 따라 디지털과 온라인 체제를 강화하고, 모바일기기 및 페이스북 등 소셜미디어를 연계해 기사를 제공하는 등 독자 요구에 대응하려는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사회구성원의 관심 분야와 욕구가 확대되면서 사회적으로 다양한 분야에 대한 정보 수요는 증가 할 것으로 보인다. 특히 과학기술, 의학, 법률, 환경 등 심층취재가 필요한 특정분야에서는 전문기자의 수요 증가를 예상한다.

IT 기술과 미디어의 융합으로 누구나 글을 쓰고 사진과 영상을 찍어서 인터넷에 올리는 것이 가능해지면서 취재기자가 편집과 사진 촬영, 영상 제작까지 담당하는 사례가 늘고 있다. 실제 현장에 나가지 않아도 인터넷이나 화상 생중계로 취재가 가능해진 현상은 기자의 일자리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전망이다. 더욱이 인공지능(AI)의 발달로 로봇 저널리즘 등이 등장하면서 통계분석 기사를 비롯해 스포츠, 금융, 과학, 기상 등 특정 분야에서 인공지능이 기자의 업무를 대체하면서 기자 고용을 어둡게 한다. 또한, 매체의 난립 및 경쟁 심화, 경기 위축에 따른 기업의 광고비 삭감, 언론사의 경영효율화를 위한 구조조정, 잡지구독률 저하 등으로 인력 감축이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종합하면, 디지털 매체 활성화에 따른 기사 작성과 배포 기회가 확대되고, 전문잡지 분야의 심층취재 기자에 대한 수요는 있으나, 전반적으로 잡지구독률이 감소하고 디지털 매체 난립 및 경쟁 심화, 로봇저널리즘 등장 등으로 향후 10년간 잡지기자의 일자리는 다소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 (2020년 작성, 2023년 수정)

일자리 전망 요인, 증가 요인, 감소 요인 항목으로 구성
전망 요인 증가 요인 감소 요인
인구구조 및 노동인구의 변화 - -
가치관과 라이프스타일의 변화
  • 대중의 관심 영역 확대
  • 뉴스 소비패턴 변화
  • 잡지구독률 저하
과학기술의 발전
  • 디지털 매체 활성화에 따른 기사 작성과 배포 기회 확대
  • IT 기술과 미디어 융합에 따른 취재 부담 감소로 인한 인력감축
  • 로봇 저널리즘 등장
국내외 경기 변화 -
  • 경기 위축
기업 등의 경영전략 변화
  • 전문 분야 심층취재 기자 양성
  • 광고비 삭감 및 구조조정
산업 특성 및 산업구조의 변화
  • 인터넷 기반 뉴스 시장 확대
  • 디지털 매체 난립 및 경쟁 심화
환경과 에너지, 자원 - -
법·제도 및 정부 정책 - -
기타 요인 - -

※ 위의 일자리전망은 직업전문가들이 「중장기인력수급전망」,「정성적 직업전망조사」,「KNOW 재직자조사」등 각종 연구와 조사를 기초로 작성하였습니다.

일자리현황

‘잡지기자’ 더 알아보기

  • 한국직업전망

    기자

    방송기자와 신문기자는 정치부, 사회부, 문화부, 경제부, 국제부, 체육부 등에 소속되어 해당 사건· 사고, 뉴스 등을 취재하고, 관련 인물을 인터뷰하여 기사화하는 일을 한다. 독자 제보를 받거나 경찰서, 각 정부부처 등에 출입하면서 해당 기관과 관련한 뉴스, 인물 등을 취재하고, 기사화될 만한 것을 직접 찾아내 심층 취재를 하며 기자회견에 참여할 때도 있다. 방송기자는 보통 취재 계획 서를 회사에 제출해 평가받고, 취재 승인을 받으면 일정을 잡아 촬영기자, 뉴스 오디오맨과 한...

  • 테마별 찾기

    기자

    눈은 번쩍, 귀는 쫑긋, 손놀림은 빨리빨리! 어떤 희생과 위험을 무릅쓰더라도 진실을 전하겠다는 마음, 이것이 기자정신입니다. 기자를 꿈꾸는 사람이라면 ‘카파이즘’이란 단어를 기억해 두세요. 이는 어떤 희생과 위험을 무릅쓰더라도 진실을 전하겠다는 기자정신을 가리키는 말로, 사진작가이자 종군기자인 ‘로버트 카파’의 이름을 딴 것입니다. 20세기 초중반 전 인류는 전쟁의 광기에 사로잡혀 있었어요. 그는 전쟁의 참혹함을 세상에 알리기 위해 가장 치열한 전투에 직접 참여해 생생하고도 끔찍한 전쟁의 현장을 카메라에 담았지요. 2차...

  • 대상별 찾기

    해당 직업 정보가 없습니다.

  • 이색직업별 찾기

    해당 직업 정보가 없습니다.

  • 신직업별 찾기

    해당 직업 정보가 없습니다.

  • 동영상

    해당 직업 정보 동영상이 없습니다.

담당부서 : 미래직업연구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