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뎁스 2뎁스 3뎁스 현재 페이지

직업정보 찾기

직업·진로 직업정보 직업정보 찾기
예술·디자인·방송·스포츠직 > 창작·공연 전문가(작가, 연극 제외) > 만화가
만화가

임금

만화가 하위(25%) 2,446만원, 중위값 3,000만원, 상위(25%) 3,626만원

※ 위 임금정보는 직업당 평균 30명의 재직자를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로, 재직자의 자기보고에 근거한 통계치입니다. 재직자의 경력, 근무업체의 규모 등에 따라 실제 임금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직업간 비교를 위한 참고자료로 활용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조사년도: 2021년>

직업만족도

만화가에 대한 직업 만족도는 61.1% (백점 기준)입니다.

※ 직업만족도는 해당 직업의 일자리 증가 가능성, 발전가능성 및 고용안정에 대해 재직자가 느끼는 생각을 종합하여 100점 만점으로 환산한 값입니다.
<조사년도: 2021년>

재직자가 생각하는 일자리전망

< 조사년도: 2021년 >

※ 위의 그래프는 직업당 평균 30명의 재직자가 해당 직업의 향후 5년간 일자리 변화에 대해 응답한 결과입니다. 직업전문가와 재직자들의 입장과 견해에 따라 일자리 전망에 차이가 있을 수 있으므로, 참고자료로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전문가가 분석한 일자리전망

(연평균 증감률 %)

-2% 미만: 감소, -2% 이상 -1% 이하: 다소 감소, -1% 초과 1% 미만: 현 상태 유지, 1% 이상 2% 이하: 다소증가, 2% 초과: 증가 중 다소증가에 해당 됨

향후 10년간 만화가의 일자리는 다소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만화가는 만화의 주제 및 이야기를 창작하고 이에 따른 그림을 그린다. 만화 시장은 디지털 미디어 환경의 발달과 온라인 플랫폼의 활성화로 과거 종이책 만화에서 디지털 만화나 그래픽 노블을 세로 스크롤 방식으로 내리는 형식의 웹툰으로 이동 중이다. 문화체육관광부 「콘텐츠산업조사」에 따르면, 만화산업 사업체 수는 2015년 8,145개에서 2021년 4,919개로 감소한 반면, 종사자 수는 2015년 1만 3명에서 2021년 1만 825명으로 비슷한 수준을 유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매출액은 크게 증가해 2015년 약 9,194억 원에서 2021년 약 2조 1,321억 원으로 증가하여 최근 7년간 약 1조 2,127억 원(약 131.9%)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2003년 본격적으로 시작된 웹툰 시장의 활성화가 만화산업 전반의 변화를 주도한 결과로, 2014년 웹툰의 유료화 서비스가 본격화되면서 ‘온라인 만화제작?유통업’의 매출액이 증가하는데 기여한 것으로 파악된다. 웹툰 제작에 대한 작가들의 수익이 다소나마 안정적으로 보장됨에 따라 다양한 웹툰 신작이 활발하게 제작되고, 신진 웹툰 작가의 등장은 앞으로도 활발해질 것으로 전망된다.

만화산업 사업체 수, 종사자 수, 매출액

(단위 : 개, 명, 백만원)

만화출판업, 온라인만화유통업, 만화책임대업, 만화도소매업의 사업체 수, 종사자 수, 매출액 항목으로 구성
구분 전체 만화출판업 온라인만화유통업 만화책임대업 만화도소매업
2015 사업체 수 8,145 202 81 3,078 4,784
종사자 수 10,003 2,259 600 3,689 3,455
매출액 919,408 447,412 123,888 67,681 280,427
2016 사업체 수 7,726 202 85 2,952 4,487
종사자 수 10,127 2,382 653 3,650 3,442
매출액 976,257 484,880 148,143 67,516 275,718
2017 사업체 수 7,172 203 90 2,609 4,270
종사자 수 10,397 2,472 748 3,689 3,488
매출액 1,082,228 520,092 202,943 73,289 285,903
2018 사업체 수 6,628 181 114 2,496 3,837
종사자 수 10,761 2,604 923 3,766 3,468
매출액 1,178,613 542,467 265,658 77,879 292,609
2019 사업체 수 6,607 184 106 2,500 3,817
종사자 수 11,087 2,682 1,087 3,760 3,549
매출액 1,337,248 550,676 403,307 81,161 302,104
2020 사업체 수 6,144 168 93 2,300 3,583
종사자 수 11,229 2,715 1,189 3,649 3,676
매출액 1,534,445 560,466 588,247 76,347 309,385
2021 사업체 수 4,919 175 218 778 3,748
종사자 수 10,825 2,278 2,530 1,131 4,886
매출액 2,132,149 571,192 1,083,242 28,763 448,952

자료 : 문화체육관광부, 「콘텐츠산업조사」(각 연도)
출처 : 문화체육관광부(각 연도), 콘텐츠산업 조사 재구성

사회적으로도 웹툰에 대한 대중의 인기가 커지고, 로봇이나 인공지능(AI) 등으로 대체될 수 없는 창의성이 강조되는 영역이라는 점에서 산업 발전과 함께 일자리 증가를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또한, 정부가 지속적으로 창작자들의 저작권 침해와 불공정 계약을 방지하기 위하여 「저작권법」을 강화하고 있는 것도 만화가의 취업자 수 증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된다.

종합하면, 웹툰 시장의 안정적인 성장 및 디지털 미디어 환경 변화, 시각 이미지와 영상에 대한 대중의 선호로 만화의 제작과 유통이 활발해지면서 향후 10년간 만화가의 취업자 수는 다소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2020년 작성, 2023년 수정)

일자리 전망 요인, 증가 요인, 감소 요인 항목으로 구성
전망 요인 증가 요인 감소 요인
인구구조 및 노동인구의 변화
  • 만화가에서 웹툰작가로 이동
-
가치관과 라이프스타일의 변화
  • 웹툰 인기 증가
-
과학기술의 발전
  • 디지털 미디어 환경 발달
  • 온라인 미디어 플랫폼 활성화
-
국내외 경기 변화 - -
기업 등의 경영전략 변화
  • 웹툰 유료화 서비스
-
산업 특성 및 산업구조의 변화
  • 만화산업 매출액 및 수출액 증가
  • 웹툰시장 활성화
-
환경과 에너지, 자원 - -
법·제도 및 정부 정책
  • 「저작권법」 강화
-
기타 요인
  • 창의적 작품 활동 영역
-

※ 위의 일자리전망은 직업전문가들이 「중장기인력수급전망」,「정성적 직업전망조사」,「KNOW 재직자조사」등 각종 연구와 조사를 기초로 작성하였습니다.

일자리현황

‘만화가’ 더 알아보기

  • 한국직업전망

    만화가 및 애니메이터

    만화가는 풍부한 창의력을 바탕으로 만화의 스토리를 만들고, 이를 그림으로 표현한다. 단행본 으로 발간되는 만화책, 만화전문잡지, 신문연재만화, 시사만화 등 관련 매체가 많으며, 순정만화 에서부터 정치풍자만화까지 장르도 다양하다. 과거의 출판만화 형식에서 벗어나 웹툰을 보는 독자가 늘면서 온라인에서 활동하는 만화가들이 크게 늘었다. 일반적으로 기획과 이야기 구성, 글, 그림, 채색 등 혼자서 하나의 작품을 완성한다. 먼저 자신의 아이디어를 바탕으로 관련 자료를 수집하고 인터뷰 등...

  • 테마별 찾기

    웹툰작가

    2000년 초반만 해도 대학교 앞에는 당구장, PC방, 그리고 만화방이 있었어요. 동네마다 만화책을 빌려주는 대여점이 있었고, 만화를 좋아하는 친구들은 월간 만화잡지를 정기구독하기도 했었죠. 그런데 불과 10년 사이 만화시장에는 큰 변화가 생겨났어요. 종이책 만화는 사양산업의 길로 접어들었고 컴퓨터, 패드, 휴대폰으로 만화를 보기 시작한 거죠. 그러면서 자연스레 새로운 직업이 생겨났는데요, 종이가 아닌 태블릿으로 그림을 그려 웹에 올리는 사람, 웹툰 작가랍니다. 만화 종이책이 일본중심이라면 웹툰은 한국을 중심으로 활성화 되어있어 ...

    애니메이션감독

    과거 애니메이션 하면, 오직 월트디즈니로 통했습니다. 월트디즈니는 미국의 세계적인 애니메이션 회사로 그야말로 독보적인 위치에 있었지요. 그런데 ‘아톰’, ‘은하철도 999’ 등 일본 애니메이션이 미국에 소개되어 인기몰이를 하면서 ‘재패니메이션’이라는 합성조어(재팬+애니메이션)가 생겨났고, 이후 월트디즈니와는 차별화된 작품세계를 구축하며 전 세계 애니메이션계에 독자적인 영역을 구축했습니다. 그 중심에는 일본 애니메이션의 거장으로 불리는 미야자키 하야오 감독이 있었습니다. TV 애니메이션 '미래소년 코난'으로 데뷔한 미야자키 ...

  • 대상별 찾기

    해당 직업 정보가 없습니다.

  • 이색직업별 찾기

    해당 직업 정보가 없습니다.

  • 신직업별 찾기

    해당 직업 정보가 없습니다.

  • 동영상

    해당 직업 정보 동영상이 없습니다.

담당부서 : 미래직업연구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