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임금
※ 위 임금정보는 직업당 평균 30명의 재직자를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로, 재직자의 자기보고에 근거한 통계치입니다. 재직자의 경력, 근무업체의 규모 등에 따라 실제 임금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직업간 비교를 위한 참고자료로 활용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조사년도: 2021년>
직업만족도
※ 직업만족도는 해당 직업의 일자리 증가 가능성, 발전가능성 및 고용안정에 대해 재직자가 느끼는 생각을 종합하여 100점 만점으로 환산한 값입니다.
<조사년도: 2021년>
재직자가 생각하는 일자리전망
※ 위의 그래프는 직업당 평균 30명의 재직자가 해당 직업의 향후 5년간 일자리 변화에 대해 응답한 결과입니다. 직업전문가와 재직자들의 입장과 견해에 따라 일자리 전망에 차이가 있을 수 있으므로, 참고자료로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전문가가 분석한 일자리전망
(연평균 증감률 %)
향후 10년간 작곡가의 일자리는 다소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작곡가는 선율법, 화성법, 대위법, 관현악법 등의 지식을 기반으로 악곡을 새롭게 작곡하거나, 기존 악곡을 각색 또는 편곡하는 일을 한다. 케이팝(K-pop)이 세계적 성공을 거두는 등 우리나라 음악 산업이 규모적 성장과 시스템적 발전을 거듭하고, 영화, 연극, 무용 등 연관된 문화산업 전반이 성장하면서 음악 창작을 담당할 작곡가에 대한 수요도 증가하고 있다. 드라마, 영화, 연극, 무용, 뮤지컬 등 문화 전반에 걸쳐 작곡가의 활동 영역이 확대되고 있다. 작곡가의 일자리 확대를 가름해 볼 수 있는 것 중 하나는 양악 공연 현황이다. 한국문화예술위원회「문예연감」의 양악 공연 현황에 따르면, 양악 공연 건수는 2015년 1만 840건에서 코로나19 팬데믹 이전인 2019년 1만 4,224건으로 계속 증가하여 왔다. 공연 횟수도 꾸준히 증가하여, 2015년 1만 4,302회에서 2021년 1만 9,313회로 코로나19 팬데믹 발생 전인 2019년의 횟수(1만 6,891회)보다도 증가하였다.
연도별 양악 공연 추이
(단위 : 건, 회)
구분 | 2015 | 2016 | 2017 | 2018 | 2019 | 2020 | 2021 |
---|---|---|---|---|---|---|---|
공연 건수 | 10,840 | 11,098 | 12,034 | 12,949 | 14,224 | 5,155 | 10,316 |
공연 횟수 | 14,302 | 14,553 | 14,654 | 15,332 | 16,891 | 6,650 | 19,313 |
자료 : 한국문화예술위원회, 「문예연감」(각 연도)
과거 음반을 구매하던 음악 소비 패턴에서 온라인 시장을 통한 음원 소비가 일반화되면서 작곡가의 직업적 진출이 용이해진 점도 이들의 일자리 증가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다. 하지만 순수음악 작곡가의 경우, 순수음악 분야가 다른 공연산업에 비해 경기 변화에 영향을 더 크게 받고, 기업들의 문화산업 지원도 연주나 창작활동에 국한되어 있어, 이들의 일자리 증가는 기대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2000년대 들어 각종 영업장에서 음악 콘텐츠를 제공할 시 저작권료를 납부하도록 하는 등 「저작권법」이 강화되면서 작곡가가 받게 되는 보상 수준이 매우 커졌다. 또 과거 불법 사이트를 통한 음원 다운로드 대신 유료서비스 이용자가 증가하고, 음악 콘텐츠를 즐길 수 있는 온라인 플랫폼의 다양화는 음악활동 수익이 제도적으로 보장되고 있는 점은 작곡가를 직업으로 가지려는 사람들을 증가시키고 있다. 정부와 지자체도 정책적으로 문화예술 산업을 지원하고 있기 때문에 작곡가의 일자리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다. 다만, 일부 작곡가만이 실력을 기반으로 안정적 수입을 올리기 때문에 이러한 점은 직업적 작곡가의 증가에 제한점이 될 것이다.
종합하면, 음악 및 문화산업 전반의 성장, 음원 플랫폼의 발달, 저작권법 강화에 따른 작곡 수입 보장, 문화예술에 대한 정책적 지원 등의 영향으로 향후 10년간 작곡가의 일자리는 다소 증가할 전망이다. (2020년 작성, 2023년 수정)
전망 요인 | 증가 요인 | 감소 요인 |
---|---|---|
인구구조 및 노동인구의 변화 | - | - |
가치관과 라이프스타일의 변화 |
|
- |
과학기술의 발전 | - | - |
국내외 경기 변화 | - |
|
기업 등의 경영전략 변화 | - | - |
산업 특성 및 산업구조의 변화 |
|
- |
환경과 에너지, 자원 | - | - |
법·제도 및 정부 정책 |
|
- |
기타 요인 | - | - |
※ 위의 일자리전망은 직업전문가들이 「중장기인력수급전망」,「정성적 직업전망조사」,「KNOW 재직자조사」등 각종 연구와 조사를 기초로 작성하였습니다.
일자리현황
한국직업전망
해당 직업 정보가 없습니다.
테마별 찾기
자타공인의 국민가수 이문세. 소녀, 옛사랑, 광화문연가, 가로수 그늘아래 서면, 그녀의 웃음소리뿐, 붉은 노을, 휘파람, 사랑이 지나가면 등 모두 나열하기 힘들 정도의 수많은 히트곡으로 무려 30여 년간 대중의 사랑을 받아 왔습니다. 그의 노래는 임재범, 이승철 등 당대의 뮤지션은 물론 아이돌가수 빅뱅 등을 통해 리메이크되며 세대를 뛰어넘는 인기를 누리고 있습니다. 하지만 처음부터 그가 지금의 위치에 있었던 것은 아닙니다. 이문세 씨가 인기가수로 우뚝 설 수 있었던 것은 주옥같은 노랫말과 서정적인 멜로디를 만들어 낸 ‘이영훈’이라는...
로만 폴란스키 감독의 영화 ‘ 피아니스트’를 본 적이 있나요? 이 영화에는 추위와 허기에 지친 유대인 피아니스트 ‘스필만’이 생존을 위해 피아노를 연주하는 명장면이 나옵니다. 폐허 속에 홀로 숨어있다 아사 직전에 놓인 스필만은 음식을 찾다가 그만 독일인 장교에게 발각되어 죽을 위기에 처하게 됩니다. 스필만은 직업이 무엇이냐고 묻는 독일장교에게 떨리는 목소리로“I.....am.....a.....pianist.(나는 피아니스트입니다.)'라고 답합니다. 굶주림으로 지친 초라한 스필만이 피아니스트로 보일 리는 만무했습니다. 독일군 장교는 ...
대상별 찾기
해당 직업 정보가 없습니다.
이색직업별 찾기
해당 직업 정보가 없습니다.
신직업별 찾기
해당 직업 정보가 없습니다.
동영상
해당 직업 정보 동영상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