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임금
※ 위 임금정보는 직업당 평균 30명의 재직자를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로, 재직자의 자기보고에 근거한 통계치입니다. 재직자의 경력, 근무업체의 규모 등에 따라 실제 임금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직업간 비교를 위한 참고자료로 활용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조사년도: 2021년>
직업만족도
※ 직업만족도는 해당 직업의 일자리 증가 가능성, 발전가능성 및 고용안정에 대해 재직자가 느끼는 생각을 종합하여 100점 만점으로 환산한 값입니다.
<조사년도: 2021년>
재직자가 생각하는 일자리전망
※ 위의 그래프는 직업당 평균 30명의 재직자가 해당 직업의 향후 5년간 일자리 변화에 대해 응답한 결과입니다. 직업전문가와 재직자들의 입장과 견해에 따라 일자리 전망에 차이가 있을 수 있으므로, 참고자료로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전문가가 분석한 일자리전망
(연평균 증감률 %)
향후 10년간 연주가의 일자리는 다소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연주가는 건반악기(피아노, 오르간, 쳄발로 등), 현악기(바이올린, 첼로, 콘트라베이스, 하프 등), 관악기(클라리넷, 호른, 트럼펫, 트롬본, 오보에, 플루트 등), 타악기 중 특정 악기를 전문적으로 연주하는 일을 한다. 음악 공연 등 문화생활에 대한 대중의 관심이 증가하고, 다양한 음악 플랫폼의 발달로 연주가의 활동무대가 점차 확대되고 있다. 또한 케이팝(K-pop)이 세계적 성공을 거두는 등 우리나라 음악 산업이 규모적 성장과 시스템적 발전을 거듭하고, 영화, 연극, 무용 등 연관된 문화산업 전반이 성장하면서 음악 연주를 담당할 연주가에 대한 수요도 증가하고 있다. 연주가의 일자리는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 중 하나는 양악 공연의 기회 확장이다. 한국문화예술위원회「문예연감」의 양악 공연 현황에 따르면, 양악 공연 건수는 2015년 1만 840건에서 코로나19 팬데믹 이전인 2019년 1만 4,224건으로 계속 증가하여 왔다. 공연 횟수도 꾸준히 증가하여, 2015년 1만 4,302회에서 2021년 1만 9,313회로 코로나19 팬데믹 발생 전인 2019년의 횟수(1만 6,891회)보다도 증가하였다.
연도별 양악 공연 추이
(단위 : 건, 회)
구분 | 2015 | 2016 | 2017 | 2018 | 2019 | 2020 | 2021 |
---|---|---|---|---|---|---|---|
공연 건수 | 10,840 | 11,098 | 12,034 | 12,949 | 14,224 | 5,155 | 10,316 |
공연 횟수 | 14,302 | 14,553 | 14,654 | 15,332 | 16,891 | 6,650 | 19,313 |
자료 : 한국문화예술위원회, 「문예연감」(각 연도)
음악은 로봇이나 인공지능 기술의 발달에 의해 대체될 수 없는 창의성 영역으로 온라인 미디어 플랫폼 및 소셜미디어의 발달로 음악 콘텐츠를 생산하고 공유할 기회가 크게 늘고 있다. 새로운 스타일의 공연 수요가 증가하면서 다양한 시각적 효과를 이용한 연주회가 생기고 있고, 이에 따라 신기술을 접목한 공연이 시도되는 등 공연의 양과 질이 향상되면서 공연 관객 수도 증가하고 있다. 정부와 지자체도 문화산업 육성을 정책적으로 지원하고 있다. 이러한 공연문화 확산은 연주가의 일자리 증가에 긍정적 요인으로 작용할 것이다. 연주가의 경우, 개별적으로 활동하거나 관현악단(오케스트라), 교향악단 등의 일원으로 소속되어 활동하기 때문에 악단 수가 크게 늘지 않는 한 일자리가 크게 증가하기는 어렵다. 관현악단이나 교향악단은 국가나 지자체 소속으로 신규 악단 구성이 어렵고, 구성된 악단은 활동이 계속 유지되기 때문이다. 다만, 연주가의 활동무대가 온라인 무대로 확대되는 등 활동 영역이 확대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장기적인 경기 불황은 순수음악 공연산업에도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전자음악의 발전과 음원으로 음악을 즐기는 사람들이 늘면서 연주가가 공연무대에 설 기회가 줄어들 수 있다. 연주가들은 음악 활동만으로 얻는 수입으로는 생활을 유지하기 어려운 편이어서 대학이나 학원에서 강의를 하는 등 다른 일을 겸하는 경우가 많은 편이다. 또한 국공립 단체에 소속되어 활동할 경우에는 보수가 안정적이고 고용이 보장되지만, 채용인원이 한정적이고 정기적인 채용보다는 결원이 생길 때 수시로 채용하는 경우가 많아 입직 경쟁이 치열한 편이다.
종합하면, 공연문화의 대중화, 음원 플랫폼의 발달, 문화예술에 대한 정책적 지원 등에 따라 향후 10년간 연주가의 일자리는 다소 증가할 전망이다. (2020년 작성, 2023년 수정)
전망 요인 | 증가 요인 | 감소 요인 |
---|---|---|
인구구조 및 노동인구의 변화 | - | - |
가치관과 라이프스타일의 변화 |
|
- |
과학기술의 발전 | - | - |
국내외 경기 변화 | - | - |
기업 등의 경영전략 변화 | - | - |
산업 특성 및 산업구조의 변화 |
|
|
환경과 에너지, 자원 | - | - |
법·제도 및 정부 정책 |
|
- |
기타 요인 | - | - |
※ 위의 일자리전망은 직업전문가들이 「중장기인력수급전망」,「정성적 직업전망조사」,「KNOW 재직자조사」등 각종 연구와 조사를 기초로 작성하였습니다.
일자리현황
한국직업전망
해당 직업 정보가 없습니다.
테마별 찾기
로만 폴란스키 감독의 영화 ‘ 피아니스트’를 본 적이 있나요? 이 영화에는 추위와 허기에 지친 유대인 피아니스트 ‘스필만’이 생존을 위해 피아노를 연주하는 명장면이 나옵니다. 폐허 속에 홀로 숨어있다 아사 직전에 놓인 스필만은 음식을 찾다가 그만 독일인 장교에게 발각되어 죽을 위기에 처하게 됩니다. 스필만은 직업이 무엇이냐고 묻는 독일장교에게 떨리는 목소리로“I.....am.....a.....pianist.(나는 피아니스트입니다.)'라고 답합니다. 굶주림으로 지친 초라한 스필만이 피아니스트로 보일 리는 만무했습니다. 독일군 장교는 ...
윤도현 밴드의 콘서트장, 파워풀한 연주에 맞춰 열 곡 가까이 열창한 윤도현은 무대 조명을 밝히고 관객을 향해 섰습니다. 채 흥분이 가시지 않은 관객들은 윤도현을 향해 열광적인 환호를 보냈지요. 마이크를 고쳐 잡은 윤도현은 두 번째 손가락을 입술에 갖다 대며, 환호를 잠시 멈춰줄 것을 요구하고 나서 이야기를 시작했습니다. “여러분~! 콘서트는 즐거우신가요? 다음 곡을 부르기 전에 하고 싶은 이야기가 있어 이렇게 여러분 앞에 섰습니다. 저희 가수들이 눈부신 조명과 요란한 갈채를 받는 동안 무대 뒤편에서 악기를 연주하는 이들이 많습니...
대상별 찾기
해당 직업 정보가 없습니다.
이색직업별 찾기
해당 직업 정보가 없습니다.
신직업별 찾기
해당 직업 정보가 없습니다.
동영상
해당 직업 정보 동영상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