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뎁스 2뎁스 3뎁스 현재 페이지

직업정보 찾기

직업·진로 직업정보 직업정보 찾기
예술·디자인·방송·스포츠직 > 창작·공연 전문가(작가, 연극 제외) > 가수
가수

임금

가수 하위(25%) 2,340만원, 중위값 2,901만원, 상위(25%) 3,613만원

※ 위 임금정보는 직업당 평균 30명의 재직자를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로, 재직자의 자기보고에 근거한 통계치입니다. 재직자의 경력, 근무업체의 규모 등에 따라 실제 임금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직업간 비교를 위한 참고자료로 활용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조사년도: 2021년>

직업만족도

가수에 대한 직업 만족도는 63.8% (백점 기준)입니다.

※ 직업만족도는 해당 직업의 일자리 증가 가능성, 발전가능성 및 고용안정에 대해 재직자가 느끼는 생각을 종합하여 100점 만점으로 환산한 값입니다.
<조사년도: 2021년>

재직자가 생각하는 일자리전망

< 조사년도: 2021년 >

※ 위의 그래프는 직업당 평균 30명의 재직자가 해당 직업의 향후 5년간 일자리 변화에 대해 응답한 결과입니다. 직업전문가와 재직자들의 입장과 견해에 따라 일자리 전망에 차이가 있을 수 있으므로, 참고자료로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전문가가 분석한 일자리전망

(연평균 증감률 %)

-2% 미만: 감소, -2% 이상 -1% 이하: 다소 감소, -1% 초과 1% 미만: 현 상태 유지, 1% 이상 2% 이하: 다소증가, 2% 초과: 증가 중 현 상태 유지에 해당 됨

향후 10년간 가수의 일자리는 현 상태를 유지할 것으로 전망된다.

가수는 공연장이나 콘서트 무대에서 발라드, 댄스, 힙합, 록, R&B, 트로트 등의 대중가요를 부르는 등의 음악 활동을 한다. 한국콘텐츠진흥원 「2021년 콘텐츠산업통계조사」에 따르면, 국내 음악산업은 음악 콘텐츠의 수출 증가에 힘입어 매출액과 수출액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음악산업과 관련한 사업체 수와 종사자 수는 감소 추세이지만, 한류, 케이팝(K-pop) 인기의 영향으로 중국, 일본, 미국, 동남아, 유럽, 남미 등에서 매출이 신장되면서 음악 제작업, 음반 복제 및 제작업, 음반도소매업, 온라인 음악 유통업 등 매출이 크게 성장하는 등 음반 시장 규모가 지속적인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스마트폰의 대중화로 음원을 언제 어디서나 쉽게 감상할 수 있고, 「저작권법」의 강화로 음악 서비스가 유료화되면서 디지털 음원시장의 성장은 앞으로도 계속될 전망이다.

음악산업 총괄

연도별 음악산업의 사업체 수(개), 종사자 수(명), 매출액(백만 원), 부가가치액(백만 원), 부가가치율(%), 수출액(천 달러), 수입액(천 달러) 항목으로 구성
구분 사업체 수(개) 종사자 수(명) 매출액
(백만 원)
부가가치액
(백만 원)
부가가치율
(%)
수출액
(천 달러)
수입액
(천 달러)
2015 36,770 77,490 4,975,196 1,808,677 36.4 381,023 13,397
2016 37,501 78,393 5,308,240 1,913,102 36.0 442,566 13,668
2017 36,066 77,005 5,804,307 2,043,488 35.2 512,580 13,831
2018 35,670 76,954 6,097,913 2,102,219 34.5 564,236 13,878
2019 34,145 77,149 6,811,818 2,173,092 31.9 756,198 13,766
2020 33,138 65,464 6,064,748 1,982,931 32.7 679,633 12,146
2021 34,001 59,583 9,371,728 3,141,082 33.5 775,274 14,031

자료 : 한국콘텐츠진흥원, 「2021년 기준 콘텐츠산업조사」(2023)

음악 산업의 성장과 함께 청소년을 비롯해 대중가수를 꿈꾸는 사람이 많아지고 있어, 신인가수의 등장은 꾸준할 것으로 보인다. 온라인 미디어 플랫폼의 발달로 ‘데뷔’라는 개념이 모호해지고 자신을 홍보할 수 있는 기회가 늘면서 가수에 도전하는 사람들도 증가하고 있다. 다만, 치열한 경쟁 속에 대중가수들의 유입과 이탈이 더욱 빈번해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인기를 얻는 가수는 한정적일 것으로 예상된다.

종합하면, 음악산업 발전 및 디지털 음원시장의 성장, 케이팝 인기에 따른 음악 콘텐츠의 수출 증가 등이 영향으로 향후 10년간 가수의 일자리는 현 상태를 유지할 것으로 전망된다. (2020년 작성, 2023년 수정)

일자리 전망 요인, 증가 요인, 감소 요인 항목으로 구성
전망 요인 증가 요인 감소 요인
인구구조 및 노동인구의 변화 - -
가치관과 라이프스타일의 변화
  • 음원 플랫폼 발달에 따른 음원 콘텐츠 소비 증가
-
과학기술의 발전 - -
국내외 경기 변화 - -
기업 등의 경영전략 변화 - -
산업 특성 및 산업구조의 변화
  • 음악산업 및 음원시장 성장
  • 음악 콘텐츠 수출 증가
  • 한류 및 케이팝(K-pop) 인기
-
환경과 에너지, 자원 - -
법·제도 및 정부 정책 - -
기타 요인 - -

※ 위의 일자리전망은 직업전문가들이 「중장기인력수급전망」,「정성적 직업전망조사」,「KNOW 재직자조사」등 각종 연구와 조사를 기초로 작성하였습니다.

일자리현황

‘가수’ 더 알아보기

  • 한국직업전망

    가수 및 성악가

    가수는 공연장이나 콘서트 무대에서 발라드, 댄스, 힙합, 록, R&B, 트로트 등의 대중가요를 부르며 음악활동을 한다. 성악가는 성악 독창을 하거나 합창단의 일원으로 활동한다. 가수는 공연장이나 콘서트 무대에서 발라드, 댄스, 힙합, 록, R&B, 트로트 등의 대중가요를 부르며 혼자서 활동하거나 여러 명이 팀을 이루어 활동한다. 직접 노래를 만들고 편곡하는 싱어송라이터도 있고, 녹음할 때 본인이 직접 음반 프로듀싱을 겸하는 경우도 있다. 연습실에서 노래 연습을 하거나 음반 준비를...

  • 테마별 찾기

    가수

    영국의 전설적인 록그룹 비틀즈, 2012년 런던올림픽. 개막식과 폐막식의 주인공은 영국여왕도 총리도 아닌 비틀즈였습니다. 개막식 마지막을 그룹 멤버인 폴 매카트니가 장식했고, 폐막식에는 또 다른 멤버인 존 레논의 노래가 울려 퍼졌죠. 이는 영국이 세계에 가장 자랑하고 싶은 것은 바로 비틀즈라는 가수임을 의미합니다. 영국은 한때 세계 최고의 강대국이었지만, 1·2차 세계대전을 거치면서 미국에 그 자리를 내어주고 자존심에 상처를 입었어요. 하지만 1960년대 비틀즈를 필두로 한 영국가수들이 미국 음반시장을 평정하며 ‘브리티시 인 베이...

    대중가수

    영국의 전설적인 록그룹 비틀즈. 2012년 런던올림픽. 개막식과 폐막식의 주인공은 영국여왕도 총리도 아닌 비틀즈였습니다. 개막식 마지막 순서는 비틀즈의 멤버 중 ‘폴 매카트니’가 장식했고, 폐막식에는 또 다른 멤버인 ‘존 레논’의 노래가 울려 퍼졌죠. 사상 최초로 3번이나 올림픽을 개최했다고는 하지만, 언제 또 자국에서 열릴지 모르는 올림픽의 시작과 끝을 비틀즈가 장식했습니다. 이는 영국이 세계에 가장 자랑하고 싶은 것은 바로 비틀즈라는 가수임을 의미합니다. 영국은 한때 세계 최고의 강대국이었지만, 1·2차 세계대전을 거치면서 ...

  • 대상별 찾기

    해당 직업 정보가 없습니다.

  • 이색직업별 찾기

    해당 직업 정보가 없습니다.

  • 신직업별 찾기

    해당 직업 정보가 없습니다.

  • 동영상

    가수

    가수 (00:09) NA. 이 아름다운 선율의 주인공은? 이윤화 / 테이크어반 : 안녕하세요. 테이크어반의 미남 오빠 이윤화라고 합니다. (00:20) NA. 그렇다. 오늘의 주인공은 가수. 도시를 점령하다 라는 뜻을 갖고 있는 테이크어반. 지금부터 만나볼까요? Q: 가수란? 이윤화 / 테이크어반 : 가수란 이야기를 하고 자신의 경험이나 아픔들이나 삶을 이야기하는 직업이라고 생각합니다. (00:47) NA. 요즘 대부분의 음반 기획사에서는 오디션에 합격했다 하더라도 일정의 연습생 기간을 둔다. 테이크어반 역시 ...

담당부서 : 미래직업연구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