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임금
※ 위 임금정보는 직업당 평균 30명의 재직자를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로, 재직자의 자기보고에 근거한 통계치입니다. 재직자의 경력, 근무업체의 규모 등에 따라 실제 임금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직업간 비교를 위한 참고자료로 활용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조사년도: 2021년>
직업만족도
※ 직업만족도는 해당 직업의 일자리 증가 가능성, 발전가능성 및 고용안정에 대해 재직자가 느끼는 생각을 종합하여 100점 만점으로 환산한 값입니다.
<조사년도: 2021년>
재직자가 생각하는 일자리전망
※ 위의 그래프는 직업당 평균 30명의 재직자가 해당 직업의 향후 5년간 일자리 변화에 대해 응답한 결과입니다. 직업전문가와 재직자들의 입장과 견해에 따라 일자리 전망에 차이가 있을 수 있으므로, 참고자료로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전문가가 분석한 일자리전망
(연평균 증감률 %)
향후 10년간 안무가의 일자리는 다소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안무가는 무용을 새로운 시각으로 재해석하거나 창작무용을 고안하는 등 무용을 창작하며, 무용가 또는 대중무용수의 안무를 지도하는 일을 한다. 케이팝(K-pop) 인기의 영향으로 미국, 유럽, 일본, 동남아, 남미 등에서 대중가수의 콘서트가 증가하고 관련 콘텐츠의 소비시장이 성장을 거듭하는 점은 대중무용 안무가의 일자리에 긍정적이다. 공연문화의 활성화와 케이팝(K-pop)의 인기에 힘입어 각종 댄스경연 대회가 개최되고 있고, 유튜브 등 온라인 플랫폼을 통해 활동하는 안무스튜디오가 증가하며, 세계적 인기를 끄는 안무스튜디오도 많아져 음악 방송이나 콘서트를 통하지 않아도 대중무용 자체 공연만으로도 대중무용 안무가의 활동 영역이 확대되고 있다. 앞으로도 음악 산업 및 연예기획 산업의 꾸준한 성장이 예상됨에 따라 대중무용 안무가의 활동 기회가 더욱 많아질 것으로 보인다. 다만, 유명 안무가에게 일이 집중되는 편이어서 신규 안무가의 진입이 쉽지 않지만, 온라인 플랫폼, 소셜미디어를 통해 자신의 안무 실력을 인정받을 수 있는 기회가 많아지고 있다. 현대무용이나 한국무용 같은 순수무용의 경우, 「2022 문예연감」의 무용 공연 현황을 보면, 코로나19 팬데믹이 발생하기 전인 2019년까지 공연 건수가 꾸준히 증가한 것을 볼 수 있다. 무용 공연의 주를 이루는 한국무용과 현대무용, 발레 공연이 꾸준한 편이고, 무용을 비롯한 문화예술 분야에 대한 정책적 지원이 이뤄지고 있다는 점은 안무가의 일자리에 긍정적이다.
연도별 무용 공연 추이
(단위 : 건, 회)
구분 | 2015 | 2016 | 2017 | 2018 | 2019 | 2020 | 2021 |
---|---|---|---|---|---|---|---|
공연 건수 | 1,924 | 2,355 | 2,583 | 2,525 | 3,159 | 880 | 1,962 |
자료 : 한국문화예술위원회, 「2022년 문예연감」(2021)
종합하면, 한류 및 케이팝(K-pop)의 인기와 엔터테인먼트 산업의 성장에 힘입어 대중무용 안무가의 일자리를 중심으로 향후 10년간 다소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2020년 작성, 2023년 수정)
전망 요인 | 증가 요인 | 감소 요인 |
---|---|---|
인구구조 및 노동인구의 변화 | - | - |
가치관과 라이프스타일의 변화 |
|
- |
과학기술의 발전 | - | - |
국내외 경기 변화 | - | - |
기업 등의 경영전략 변화 | - | - |
산업 특성 및 산업구조의 변화 |
|
- |
환경과 에너지, 자원 | - | - |
법·제도 및 정부 정책 |
|
- |
기타 요인 | - | - |
※ 위의 일자리전망은 직업전문가들이 「중장기인력수급전망」,「정성적 직업전망조사」,「KNOW 재직자조사」등 각종 연구와 조사를 기초로 작성하였습니다.
일자리현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