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1뎁스 2뎁스 3뎁스 현재 페이지

직업정보 찾기

직업·진로 직업정보 직업정보 찾기
예술·디자인·방송·스포츠직 > 창작·공연 전문가(작가, 연극 제외) > 안무가
안무가

임금

안무가 하위(25%) 3,000만원, 중위값 3,200만원, 상위(25%) 4,144만원

※ 위 임금정보는 직업당 평균 30명의 재직자를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로, 재직자의 자기보고에 근거한 통계치입니다. 재직자의 경력, 근무업체의 규모 등에 따라 실제 임금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직업간 비교를 위한 참고자료로 활용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조사년도: 2021년>

직업만족도

안무가에 대한 직업 만족도는 69.8% (백점 기준)입니다.

※ 직업만족도는 해당 직업의 일자리 증가 가능성, 발전가능성 및 고용안정에 대해 재직자가 느끼는 생각을 종합하여 100점 만점으로 환산한 값입니다.
<조사년도: 2021년>

전문가가 분석한 일자리전망

향후 5년간 안무가의 고용은 현 상태를 유지할 것으로 전망된다. 무용 공연 횟수가 줄면서 일자리 증가를 기대하기 어려는 상황이다. 순수예술 측면의 공연은 점차 줄어들고 있으며, 점차 뮤지컬이나 방송프로그램 출연을 위한 안무 기회도 크게 증가하지 않고 있다. 또한 안무 영역도 일부 유명 안무가에게 일이 편중되는 편이어서 신입 안무가가 활동할 무대는 더욱 협소해지고 진입을 위해서는 뛰어난 실력을 갖춰 경쟁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다만, 문화예술 활성화를 위한 정책들이 마련되면서 무용 공연 및 공연의 헤외 진출 기회가 다시 활성화될 전망이어서 부정적인 고용전망이 다소 해소돼 당분간 현 상태를 유지할 것으로 보인다.

※ 위의 일자리전망은 직업전문가들이 「중장기인력수급전망」,「정성적 직업전망조사」,「KNOW 재직자조사」등 각종 연구와 조사를 기초로 작성하였습니다.

재직자가 생각하는 일자리전망

< 조사년도: 2021년 >
재직자가 생각하는 일자리전망 분포
감소 다소 감소 유지 다소 증가 증가
3% 40% 33% 23% 0%

※ 위의 그래프는 직업당 평균 30명의 재직자가 해당 직업의 향후 5년간 일자리 변화에 대해 응답한 결과입니다. 직업전문가와 재직자들의 입장과 견해에 따라 일자리 전망에 차이가 있을 수 있으므로, 참고자료로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일자리현황

담당부서 : 미래직업연구팀
담당자 : 이주현, 이혜나(1577-71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