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임금
※ 위 임금정보는 직업당 평균 30명의 재직자를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로, 재직자의 자기보고에 근거한 통계치입니다. 재직자의 경력, 근무업체의 규모 등에 따라 실제 임금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직업간 비교를 위한 참고자료로 활용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조사년도: 2021년>
직업만족도
※ 직업만족도는 해당 직업의 일자리 증가 가능성, 발전가능성 및 고용안정에 대해 재직자가 느끼는 생각을 종합하여 100점 만점으로 환산한 값입니다.
<조사년도: 2021년>
재직자가 생각하는 일자리전망
※ 위의 그래프는 직업당 평균 30명의 재직자가 해당 직업의 향후 5년간 일자리 변화에 대해 응답한 결과입니다. 직업전문가와 재직자들의 입장과 견해에 따라 일자리 전망에 차이가 있을 수 있으므로, 참고자료로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전문가가 분석한 일자리전망
(연평균 증감률 %)
향후 10년간 대중무용수(백댄서)의 일자리는 현 상태를 유지할 것으로 전망된다.
대중무용수는 방송무대나 공연무대에서 대중음악에 맞춰 직업적으로 춤을 추는 일을 한다. 한류와 케이팝(K-pop) 인기의 영향으로 중국, 일본, 미국, 동남아, 유럽, 남미 등에서 대중가수의 콘서트 등 공연이 증가하고, 온라인 플랫폼, 소셜미디어를 통해 댄스를 인정받을 기회가 늘어나면서 대중문화 분야에서 활동하는 대중무용가의 일자리 증가에 긍정적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한국콘텐츠진흥원 「2021년 콘텐츠산업통계조사」에 따르면, 국내 음악산업은 음악 콘텐츠의 수출 증가에 힘입어 매출액과 수출액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음악산업과 관련한 사업체 수와 종사자 수는 감소 추세이지만, 한류, 케이팝(K-pop) 인기의 영향으로 중국, 일본, 미국, 동남아, 유럽, 남미 등에서 매출이 신장되고 있다.
음악산업 총괄
구분 | 사업체 수(개) | 종사자 수(명) | 매출액 (백만 원) |
부가가치액 (백만 원) |
부가가치율 (%) |
수출액 (천 달러) |
수입액 (천 달러) |
---|---|---|---|---|---|---|---|
2015 | 36,770 | 77,490 | 4,975,196 | 1,808,677 | 36.4 | 381,023 | 13,397 |
2016 | 37,501 | 78,393 | 5,308,240 | 1,913,102 | 36.0 | 442,566 | 13,668 |
2017 | 36,066 | 77,005 | 5,804,307 | 2,043,488 | 35.2 | 512,580 | 13,831 |
2018 | 35,670 | 76,954 | 6,097,913 | 2,102,219 | 34.5 | 564,236 | 13,878 |
2019 | 34,145 | 77,149 | 6,811,818 | 2,173,092 | 31.9 | 756,198 | 13,766 |
2020 | 33,138 | 65,464 | 6,064,748 | 1,982,931 | 32.7 | 679,633 | 12,146 |
2021 | 34,001 | 59,583 | 9,371,728 | 3,141,082 | 33.5 | 775,274 | 14,031 |
자료 : 한국콘텐츠진흥원, 「2021년 기준 콘텐츠산업조사」(2023)
기존 방송이나 유흥시설(놀이공원, 호텔, 클럽 등)에서 대중무용수에 대한 수요가 꾸준한 것 외에도 공연문화의 활성화와 케이팝(K-pop) 인기에 힘입어 각종 댄스경연 대회가 개최되는 등 대중무용수의 활동 영역이 확대되고 있다. 앞으로도 음악산업 및 연예 기획 사업의 꾸준한 성장이 예상됨에 따라 대중무용수가 활동할 기회가 많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고용 안정성을 보장받을 수 있는 방송사 무용단의 경우에는 인원이 한정되어 있다. 또 일부 유명 무용수에게 일이 편중되는 편이어서 전체적으로 대중무용수의 일자리가 크게 증가하기는 어려운 편이다. 사설무용단의 경우 수시로 실력을 갖춘 무용수를 채용하고 있는데, 긴 연습 생활 때문에 중도 포기자도 많아 대체 인력 수요가 많은 편이다.
종합하면, 한류 및 케이팝(K-pop) 인기로 인한 연예 기획 및 음악산업 성장, 온라인 플랫폼의 발달로 인한 기회 요인 증가, 대중무용수 수요 증가 등의 긍정적 영향이 있지만, 고용이 안정적인 직업무용단의 채용이 많지 않아 향후 10년간 대중무용수의 일자리는 현 상태를 유지할 전망이다. (2020년 작성, 2023년 수정)
전망 요인 | 증가 요인 | 감소 요인 |
---|---|---|
인구구조 및 노동인구의 변화 | - | - |
가치관과 라이프스타일의 변화 |
|
- |
과학기술의 발전 | - | - |
국내외 경기 변화 | - | - |
기업 등의 경영전략 변화 | - | - |
산업 특성 및 산업구조의 변화 |
|
|
환경과 에너지, 자원 | - | - |
법·제도 및 정부 정책 | - | - |
기타 요인 | - | - |
※ 위의 일자리전망은 직업전문가들이 「중장기인력수급전망」,「정성적 직업전망조사」,「KNOW 재직자조사」등 각종 연구와 조사를 기초로 작성하였습니다.
일자리현황
한국직업전망
해당 직업 정보가 없습니다.
테마별 찾기
듣는 이의 감성을 자극하는 애절한 R&B 창법과 매력적인 저음의 목소리로 대중을 사로잡는 가수 휘성. 그에게는 ‘뛰어난 가창력의 소유자’라는 수식어가 항상 따라붙습니다. 그런데 그도 한때는 걸그룹 뒤에서 춤을 추던 백댄서였습니다. 예능 프로그램에서 어리바리하고 수수한 이미지로 인기를 끌고 있는 가수 김종민(코요태). 그 역시 가수 엄정화의 백댄서 출신입니다. 백댄서로 활약할 당시 화려한 춤 솜씨와 깔끔한 외모로 이미 수많은 팬을 거느린 스타였습니다. 여자 백댄서로 이름을 알린 이도 있습니다. 걸그룹 애프터스쿨의 박가희 씨는 역시 백...
대상별 찾기
해당 직업 정보가 없습니다.
이색직업별 찾기
비보이(비걸)는 브레이크 댄스를 전문적으로 추는 사람입니다. 브레이크 댄스란, 몸 전체를 사용하는 즉흥적인 춤을 말합니다. 비보이들은 배틀대회를 비롯해 각종 공연, 행사 등에서 브레이크 댄스를 전문적으로 추고 있죠.
신직업별 찾기
해당 직업 정보가 없습니다.
동영상
해당 직업 정보 동영상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