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임금
※ 위 임금정보는 직업당 평균 30명의 재직자를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로, 재직자의 자기보고에 근거한 통계치입니다. 재직자의 경력, 근무업체의 규모 등에 따라 실제 임금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직업간 비교를 위한 참고자료로 활용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조사년도: 2021년>
직업만족도
※ 직업만족도는 해당 직업의 일자리 증가 가능성, 발전가능성 및 고용안정에 대해 재직자가 느끼는 생각을 종합하여 100점 만점으로 환산한 값입니다.
<조사년도: 2021년>
재직자가 생각하는 일자리전망
※ 위의 그래프는 직업당 평균 30명의 재직자가 해당 직업의 향후 5년간 일자리 변화에 대해 응답한 결과입니다. 직업전문가와 재직자들의 입장과 견해에 따라 일자리 전망에 차이가 있을 수 있으므로, 참고자료로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전문가가 분석한 일자리전망
(연평균 증감률 %)
향후 10년간 웹디자이너의 일자리는 다소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웹디자이너는 디자인의 기본 원리를 기반으로, 사용자가 용이하게 접근할 수 있는 환경을 고려해 웹의 구축 목적 및 내용을 웹사이트상에 시각적으로 구현하는 일을 한다. IT 기기의 지속적인 발전으로 새로운 플랫폼, 앱, 웹사이트 등이 등장하면서 각종 프로그램 및 모바일 콘텐츠에 대한 수요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정보통신정책연구원의 「미디어패널조사」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스마트폰 보유율은 2022년 기준 94.2%로 세계 최고 수준이다. 스마트폰을 비롯한 모바일 기기의 사용 증가는 최신 웹 트렌드를 반영한 디자인과 반응형 웹디자인(감지된 화면 크기에 따라 자동으로 페이지가 재배열되는 디자인) 등 웹디자인에 대한 기대 수요를 높인다. 다만, 일부 웹사이트 제작 프로그램이 일반인도 쉽게 제작할 수 있을 만큼 사용성이 높아지면서 웹디자이너의 고용 증가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앞으로도 웹디자인에 신기술이 등장함에 따라 웹디자인에서 특화된 전문성을 갖춘 인력에 대한 수요가 커질 것으로 보인다. 대학뿐만 아니라 사설학원 등에서 배출되는 인력이 많고, 업체에서도 경력자를 선호하는 편이기 때문에 신규 구직자는 취업경쟁률이 높을 것으로 보인다.
종합하면 새로운 플랫폼, 웹사이트 등의 지속적인 등장, 모바일 기기 사용의 대중화 등은 웹디자인에 대한 기대를 높여 향후 10년간 웹디자이너의 일자리는 다소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2020년 작성, 2023년 수정)
전망 요인 | 증가 요인 | 감소 요인 |
---|---|---|
인구구조 및 노동인구의 변화 | - | - |
가치관과 라이프스타일의 변화 |
|
- |
과학기술의 발전 |
|
|
국내외 경기 변화 | - | - |
기업 등의 경영전략 변화 | - | - |
산업 특성 및 산업구조의 변화 | - | - |
환경과 에너지, 자원 | - | - |
법·제도 및 정부 정책 | - | - |
기타 요인 | - | - |
※ 위의 일자리전망은 직업전문가들이 「중장기인력수급전망」,「정성적 직업전망조사」,「KNOW 재직자조사」등 각종 연구와 조사를 기초로 작성하였습니다.
일자리현황
한국직업전망
미디어콘텐츠디자이너는 컴퓨터그래픽 등을 활용하여 웹페이지, 동영상, 게임, 컴퓨터 및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같은 미디어 콘텐츠에 필요한 아이콘, 자막, 이미지, 영상효과 등의 시각적 구성요소 및 사용자 환경을 디자인한다. 웹디자이너는 컴퓨터 그래픽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인터넷 홈페이지상의 여러 가지 이미지를 고안하고 제작해 인터넷에 구현한다. 즉, 웹사이트가 전달하고자 하는 정보를 가장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도록 이미지 형태, 사이즈, 동영상, 애니메이션, 텍스트, 서체, 레이아웃...
테마별 찾기
해당 직업 정보가 없습니다.
대상별 찾기
해당 직업 정보가 없습니다.
이색직업별 찾기
핸드폰, 내비게이션 등에 음성인식을 기반으로 한 사용자환경을 개발하는 사람을 음성인식UX디자이너라고 한다.
신직업별 찾기
해당 직업 정보가 없습니다.
동영상
해당 직업 정보 동영상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