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임금
※ 위 임금정보는 직업당 평균 30명의 재직자를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로, 재직자의 자기보고에 근거한 통계치입니다. 재직자의 경력, 근무업체의 규모 등에 따라 실제 임금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직업간 비교를 위한 참고자료로 활용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조사년도: 2021년>
직업만족도
※ 직업만족도는 해당 직업의 일자리 증가 가능성, 발전가능성 및 고용안정에 대해 재직자가 느끼는 생각을 종합하여 100점 만점으로 환산한 값입니다.
<조사년도: 2021년>
재직자가 생각하는 일자리전망
※ 위의 그래프는 직업당 평균 30명의 재직자가 해당 직업의 향후 5년간 일자리 변화에 대해 응답한 결과입니다. 직업전문가와 재직자들의 입장과 견해에 따라 일자리 전망에 차이가 있을 수 있으므로, 참고자료로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전문가가 분석한 일자리전망
(연평균 증감률 %)
향후 10년간 방송연출가의 일자리는 다소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방송연출가는 라디오 혹은 텔레비전의 보도, 교양, 오락(예능, 드라마, 스포츠) 등의 프로그램 기획부터 촬영, 편집 등 제작과정과 섭외, 예산에 이르기까지 방송 제작 전반을 총괄한다. 경기 침체의 장기화로 인한 광고매출이 감소하는 등 지상파방송과 유선방송의 매출이 다소 감소하고 있지만, 방송과 통신이 융합되면서 케이블방송, 인터넷방송, IPTV 등의 다매체?다채널화로 재편되면서 방송시장이 확대되고 있다. 특히 온라인동영상서비스(OTT, Over The Top)가 확대되고, 통신 3사가 자체 콘텐츠 제작 스튜디오를 설립하는 등 제작 프로그램 수가 늘어나고, 한류 인기의 영향으로 드라마?예능 프로그램이 꾸준히 해외로 수출되는 점은 방송연출가의 일자리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방송통신위원회의 「2022년 방송산업 실태조사 보고서」에 의하면, 방송연출가(PD)는 2021년 4,861명으로 2015년 4,724명과 비교해 거의 변동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방송국의 방송연출가 신규 채용은 매우 적은 편이다. 상당수 프로그램이 외주제작으로 전환되고 있어 외주제작사를 중심으로 고용이 발생하는 편이다. 다만, 외주제작사는 소규모이고 예산 부족해 실력이 우수한 경력직을 중심으로 채용하기 때문에 신규 구직자의 취업경쟁은 치열한 편이다. 독립 프로덕션이나 종합유선방송사의 경우, 규모가 작고 계약직 직원이 많으며, 근무환경이나 임금이 열악한 편이다.
방송산업 직종별 종사자 수
(단위 : 명)
구분 | 전체 | 대표 | 임원 | 경영진 | 방송직 | 기술직 | 연구직 | 영업/홍보 | 기타 | ||||
---|---|---|---|---|---|---|---|---|---|---|---|---|---|
기자 | PD | 아나운서 | 제작관련 | 기타 | |||||||||
2015 | 35,096 | - | 771 | 5,578 | 3,992 | 4,724 | 730 | 4,766 | 1,855 | 4,215 | 404 | 5,439 | 2,622 |
2016 | 35,992 | - | 763 | 5,926 | 4,000 | 4,628 | 717 | 4,745 | 2,105 | 4,362 | 432 | 5,392 | 2,922 |
2017 | 36,815 | - | 809 | 6,120 | 4,225 | 4,822 | 708 | 4,843 | 2,021 | 4,243 | 503 | 6,048 | 2,473 |
2018 | 37,288 | - | 744 | 6,053 | 4,074 | 4,921 | 694 | 4,884 | 2,197 | 4,239 | 965 | 6,245 | 2,272 |
2019 | 37,553 | 258 | 540 | 6,010 | 4,057 | 4,935 | 678 | 4,849 | 2,051 | 4,290 | 469 | 6,206 | 3,210 |
2020 | 37,133 | 251 | 552 | 6,016 | 3,864 | 4,831 | 661 | 4,807 | 1,668 | 4,622 | 555 | 6,774 | 2,532 |
2021 | 36,592 | 249 | 537 | 5,867 | 3,918 | 4,861 | 639 | 4,637 | 1,564 | 4,784 | 548 | 5,914 | 3,074 |
자료 : 방송통신위원회, 「2022년 방송산업 실태조사 보고서」(2022)
주: ‘-’ 표시는 해당연도의 조사항목에 없는 직종임
영상물 유통 방식이 방송 송출 중심에서 유튜브 등 인터넷 채널로 옮겨가면서 1인 미디어 영역이 크게 확대돼 이 분야에서 일자리가 증가하고 있다. 영상물을 연출하고 제작하는 미디어콘텐츠창작자는 전통적인 개념의 방송연출가는 아니지만, 영상 제작의 기획과 연출, 제작 등을 일괄 책임지고 창작한다는 점에서 유사 업무 종사자로 볼 수 있다. 온라인 영상 플랫폼 이용 확대에 따라 영상 제작 및 유통 방식의 변화로 관련 1인 미디어 산업 종사자 수는 더욱 늘어날 전망이다.
종합하면 방송시장의 다매체?다채널화, 인터넷 영상 유통 채널 확대 등 방송 영역의 확장에 따라 기존 방송사 중심의 방송연출자는 일자리 증가에 한계가 있지만, 온라인 미디어 플랫폼 등 새로운 채널을 겨냥한 콘텐츠 기업을 중심으로 향후 10년간 방송연출가의 일자리는 다소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2020년 작성, 2023년 수정)
전망 요인 | 증가 요인 | 감소 요인 |
---|---|---|
인구구조 및 노동인구의 변화 | - | - |
가치관과 라이프스타일의 변화 |
|
- |
과학기술의 발전 | - | - |
국내외 경기 변화 | - | - |
기업 등의 경영전략 변화 | - |
|
산업 특성 및 산업구조의 변화 |
|
- |
환경과 에너지, 자원 | - | - |
법·제도 및 정부 정책 | - | - |
기타 요인 | - | - |
※ 위의 일자리전망은 직업전문가들이 「중장기인력수급전망」,「정성적 직업전망조사」,「KNOW 재직자조사」등 각종 연구와 조사를 기초로 작성하였습니다.
일자리현황
한국직업전망
감독은 연극, 영화, 라디오, TV프로그램 및 광고 등의 제작을 감독, 연출한다. 기술감독은 연출에 필요한 촬영, 무대장치, 편집 등의 기술적 업무를 계획, 지도, 조정하는 업무를 한다. 방송연출가는 방송프로듀서(PD : Producer, Program Director)라고도 하며 지상파방송사, 종합 유선방송사, 종합편성채널, 독립프로덕션 등에서 근무한다. 라디오 혹은 텔레비전의 보도, 교양, 오락 (예능, 드라마, 스포츠) 등의 프로그램 기획부터 촬영, 편집 등 제작과정과 섭외...
테마별 찾기
"인생의 지루한 면을 걷어내고 보여주는 사람!" “영화를 사랑하는 첫 단계는 영화를 두 번 보는 것이다. 두 번째 단계는 영화에 관한 평을 쓰는 것이고, 세 번째는 영화를 만드는 것이다. 그 이상은 없다.” 누벨바그(Nouvelle Vague)를 대표하는 감독 프랑수와 트뤼포의 말입니다. 여기서 영화는 연극, 드라마, 다큐멘터리로 바꾸어 생각할 수도 있겠죠. 누벨바그는 ‘새로운 물결’을 뜻하는 프랑스어로, 1950년대 후반 프랑스의 젊은 감독들을 중심으로 일어난 새로운 풍조를 말합니다. 그들은 전통과 관습에서 벗어나 감독의 ...
“영화를 사랑하는 첫 단계는 영화를 두 번 보는 것이다. 두 번째 단계는 영화에 관한 평을 쓰는 것이고, 세 번째는 영화를 만드는 것이다. 그 이상은 없다.” 누벨바그(Nouvelle Vague)를 대표하는 감독 프랑수와 트뤼포의 말입니다. 여기서 영화는 연극, 드라마, 다큐멘터리로 바꾸어 생각할 수도 있겠죠. 누벨바그는 ‘새로운 물결’을 뜻하는 프랑스어로, 1950년대 후반 프랑스의 젊은 감독들을 중심으로 일어난 새로운 풍조를 말합니다. 그들은 전통과 관습에서 벗어나 감독의 창조적 개성이 반영된 영화를 만들고자 했어요. 작가...
대상별 찾기
해당 직업 정보가 없습니다.
이색직업별 찾기
지역의 문화, 역사, 관광, 예술, 축제 등을 소재로 해서 국민들에게 서비스할 수 있는 영상을 기획, 제작하는 문화전달자의 역할을 한다.
신직업별 찾기
직업 생성배경>취미에서 직업으로, 1인 미디어 콘텐츠1인 미디어는 진입장벽이 낮고 성공사례가 많아 관심이 집중되는 분야다. 국내 미디어콘텐츠창작자가 주로 활동하는 매체는 유튜브, 아프리카TV, 페이스북, 인스타그램 등이다. 아프리카TV는 2006년, 유튜브는 2008년, 페이스북은 2010년에 국내 서비스를 시작하며 개성 있는 미디어 콘텐츠를 제작해 업로드하는 사람들이 활동하기 시작했다. 서비스 초반엔 취미처럼 간단한 영상을 올리는 수준이었으나 2013년 본격적으로 콘텐츠 제작을 통한 광고수익 발생이 가능하면서 전문 창작자들이...
동영상
해당 직업 정보 동영상이 없습니다.